Abstract:
본 발명은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히팅롤러, 히팅유닛 및 히팅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은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 입자 0.2 내지 6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0.5 내지 30 중량부, 혼합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유기 용매 29 내지 80 중량부, 분산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저전압 및 저전력으로 고온 발열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히터,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전압에서 대면적으로 높은 발열량을 순간적으로 필요로 하는 리튬 배터리의 히팅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성을 갖는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양면에 형성된 전극 배선 패턴, 베이스 기판의 양면에 형성되며 전극 배선 패턴 사이를 메우는 절연층, 및 베이스 기판의 양면에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전극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면상 발열체 어레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히터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광 소결용 잉크 조성물, 그를 이용한 배선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얇은 연성 배선기판의 손상 없이 배선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리산화막이 있는 나노산화구리입자, 광 조사에 의해 산화된 구리를 환원시켜 나노구리입자로 형성하는 환원제, 분산제,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소결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소결용 잉크 조성물을 플렉서블한 기판 몸체 위에 스크린 프린팅하여 예비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예비 배선 패턴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예비 배선 패턴에 광을 조사하여 예비 배선 패턴에 포함된 나노산화구리입자의 산화된 구리를 환원시키고 소결하여 기판 몸체 위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선기판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배선기판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을 가지며, 스크린 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가 가능하고,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가 작고, 비저항이 낮아 저전압 및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소자 및 휴대용 저전력 발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탄소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입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가 혼합된 혼합 바인더, 유기 용매 및 분산제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electrode in a field emission surface light source reduces process time and costs by selecting and spreading an electrode unit and/or a non-electrode unit when a carbon nanotube ink layer is formed. CONSTITUTION: An electroless plating layer (120) is formed by electroless-plating a substrate. An electrode pattern (130) divided into an electrode unit and a non-electrode unit is formed on the electroless plating layer. A first metal layer (140) is formed on the electrode unit by performing first electroplating. A second metal layer (150) is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through second electroplating. A carbon nanotube ink layer (160) is formed on the electrode unit, or the carbon nanotube ink layer is formed on the electrode unit and the non-electrode unit. The non-electrode unit is rem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