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3009370930000S
公开(公告)日:2017-12-26
申请号:KR3020170032930
申请日:2017-07-17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公开(公告)号:KR101510147B1
公开(公告)日:2015-04-08
申请号:KR1020130085569
申请日:2013-07-19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박준석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 Y02T90/125
Abstract: 본발명은배터리교환스테이션에서배터리교환을위한교환위치로전기버스를안내하도록하는배터리교환스테이션에서의전기버스안내시스템에관한것이다.본발명에따른전기버스안내시스템은, 배터리교환스테이션의일측에고정설치되어상기배터리교환스테이션의입구에서부터배터리교환을위해기설정된교환위치까지주행하는전기버스의영상이미지를촬영하는카메라; 상기카메라에의해촬영된영상이미지로부터상기교환위치에대한상기전기버스의상대위치를검출하는위치검출부; 상기전기버스에서상기교환위치로의주행방향으로바라보는화면을생성하고상기생성된화면에상기검출된전기버스의상대위치에따른상기전기버스의실시간주행상황을표시하도록하는화면생성부; 상기전기버스의주행상황이표시된실시간화면을상기전기버스로전송하는전송부; 상기전송된실시간화면을상기전기버스에서수신하는수신부; 및상기수신된실시간화면을디스플레이하여상기교환위치까지상기전기버스를안내하도록하는디스플레이부를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1504987B1
公开(公告)日:2015-03-23
申请号:KR1020130060438
申请日:2013-05-28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IPC: H03K4/06
Abstract: 본 발명은 삼각파를 이용한 저전력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는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른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부; 상기 펄스 발생부와 연결되며, 클럭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펄스 신호와 클리어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클리어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발생부; 상기 구형파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형파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대응하여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승하는 제1 신호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하강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여 삼각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및 상기 삼각파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삼각파 신호의 전압과 발진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삼각파 신호의 전압이 상기 발진 기준전압 이상일 때 하이 레벨을 가지고, 상기 삼각파 신호의 전압이 상기 발진 기준전압 이하일 때 로우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저전력으로 발진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발진신호의 펄스폭과 발진 주파수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0150010476A
公开(公告)日:2015-01-28
申请号:KR1020130085569
申请日:2013-07-19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박준석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 Y02T90/125 , H02J7/00 , B60L11/18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교환을 위한 교환위치로 전기버스를 안내하도록 하는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에서의 전기버스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버스 안내시스템은,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입구에서부터 배터리 교환을 위해 기설정된 교환위치까지 주행하는 전기버스의 영상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로부터 상기 교환위치에 대한 상기 전기버스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위치추출부; 상기 전기버스에서 상기 교환위치로의 주행방향으로 바라보는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에 상기 추출된 전기버스의 상대위치에 따른 상기 전기버스의 실시간 주행상황을 표시하도록 하는 화면생성부; 상기 전기버스의 주행상황이 표시된 실시간 화면을 상기 전기버스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된 실시간 화면을 상기 전기버스에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실시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교환위치까지 상기 전기버스를 안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一种电池更换站的电动总线引导系统,其将电力总线引导到用于在电池更换站更换电池的更换位置。 根据本发明,电气总线引导系统包括摄像机,位置提取部分,画面生成部分,发送部分,接收部分和显示部分。 照相机安装并固定在电池更换站的一侧,并且将从电池更换站的入口驱动的电动总线的视频图像记录到用于更换电池的预定交换位置。 位置提取部从相机记录的视频图像中提取电动总线相对于交换位置的相对位置。 画面生成部生成从驱动方向朝向交换位置从电动总线看到的画面,并且基于所提取的电动总线的相对位置,在生成的画面上显示电动总线的实时驾驶状态。 传输部分将显示电动总线的驱动状态的实时屏幕发送到电动总线。 接收部分接收电力总线中发送的实时屏幕。 显示部分显示接收到的实时屏幕,并将电动总线引导到交换位置。
-
公开(公告)号:KR101402678B1
公开(公告)日:2014-06-11
申请号:KR1020120071284
申请日:2012-06-29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모텍스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Abstract: 본 발명은 권상거리 조절기능을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로프의 권상거리를 감지하여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작업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권상거리 조절기능을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상거리 조절기능을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차고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메인 이송레일장치와, 상기 메인 이송레일장치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교환하는 교환장치(M)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장치는, 상기 메인 이송레일장치를 타고 이동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견인장치; 상기 견인장치에 의해 감김 및 풀림되는 승강로프; 및 상기 승강로프에 접속되어 승강되고 배터리를 클램핑, 언클램핑 및 이동시키는 클램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견인장치본체; 상기 견인장치본체에 설치되는 견인구동모터; 상기 견인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해 접속되는 견인감속기; 및 상기 견인감속기의 출력부에 접속되어 회전되고 상기 승강로프가 권취되는 권상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권상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감지, 인가하여 제어부에 의해 상기 승강로프의 권상거리가 검출되도록 하며, 검출된 권상거리에 따라 상기 견인구동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드럼회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公开(公告)号:KR101402672B1
公开(公告)日:2014-06-11
申请号:KR1020120066205
申请日:2012-06-20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모텍스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Abstract: 본 발명은 요동방지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방식으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요동방지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차고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메인 이송레일장치와, 상기 메인 이송레일장치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교환하는 교환장치(M)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장치는, 상기 메인 이송레일장치를 타고 이동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견인장치; 상기 견인장치에 의해 감김 및 풀림되는 승강로프; 및 상기 승강로프에 접속되어 승강되고 배터리를 클램핑, 언클램핑 및 이동시키는 클램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장치에 파지된 배터리가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견인장치의 저부에 구성되는 제1 요동방지부재와; 상기 제1 요동방지부재가 접속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요동방지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클램핑장치에 배치, 구성되는 제2 요동방지부재를 구비한 요동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요동방지부재에 의해 클램핑장치가 견인장치에 구속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이송프레임 및 견인장치의 주행으로 승강로프가 흔들리게 되더라도 클램핑장치는 요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클래핑장치에 장착된 배터리가 승강로프의 흔들림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송프레임 및 견인장치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서 배터리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교체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公开(公告)号:KR101373597B1
公开(公告)日:2014-03-20
申请号:KR1020120067289
申请日:2012-06-22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모텍스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 Y02T90/16
Abstract: 본발명은배터리연결장치에관한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배터리를수작업에의존하지않고신속하고간편하게피장착부에장착및 분리할수 있고, 배터리의접속및 분리과정이정확하고안전하게수행될수 있는배터리연결장치에관한것이다. 상기목적을달성하기위해, 본발명에따른배터리연결장치는제1 전원연결부와, 상기제1 전원연결부와전기적으로접속되는제2 전원연결부로이루어진배터리연결장치에있어서, 상기제1 전원연결부는복수의소켓삽입홀이형성된상베이스판, 상기소켓삽입홀에설치되는제1 전원소켓, 제2 전원소켓, 접지소켓, 및복수의통신소켓이구비된통신소켓부를구비하고, 상기제2 전원연결부는복수의핀삽입홀이형성된하베이스판, 상기핀삽입홀에설치되어상기제1 및제2 전원소켓에접속되는제1 및제2 전원핀, 상기핀삽입홀에설치되어상기접지소켓에접속되는접지핀, 및상기핀삽입홀에설치되어상기통신소켓부에접속되는복수의통신핀이구비된통신핀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이에의하면, 공구등을이용하여별도의체결작업이나분리작업을수행하지않더라도제1 전원연결부또는제2 전원연결부를이동시키는동작에의해접속또는분리과정이수행되므로배터리의연결작업이신속하고간편하게이루어지는효과가있다. 특히, 제1 및제2 전원연결부의접속및 분리시에가이드핀에의해안내되므로배터리의접속및 분리과정이정확하게이루어지고, 제1 및제2 전원소켓, 접지소켓, 및통신소켓부와, 제1 및제2 전원핀, 접지핀및 통신핀부는독특한고정구조에의해견고하게고정되어있으므로제1 및제2 전원연결부의접속과정에서충격력이양쪽으로전달되거나제1 및제2 전원연결부의분리과정에서당김력이양쪽으로작용되더라도이탈되지않으므로내구성을확보할수 있는장점이있다. 또한, 제1 및제2 전원연결부의접속과정에서접지핀이제1 및제2 전원핀보다길이가길게형성되어있으므로제1 및제2 전원핀이제1 및제2 전원소켓에접속되기전에먼저접지소켓에접속되므로접지불량에따른전기안전사고를미연에방지할수 있는장점이있다.
-
公开(公告)号:KR101373595B1
公开(公告)日:2014-03-20
申请号:KR1020120071304
申请日:2012-06-29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모텍스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Abstract: 본발명은로프장력감지기능을갖춘전기자동차용견인식배터리자동교환시스템에관한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승강로프의장력을자동적으로감지하고승강로프의처짐및 파단과같은이상여부를신속하게검출하여적절하게대응할수 있도록함으로써, 배터리교체작업을안정적으로수행할수 있고, 배터리의추락과같은안전사고를미연에방지할수 있는로프장력감지기능을갖춘전기자동차용견인식배터리자동교환시스템에관한것이다.본발명에따른로프장력감지기능을갖춘전기자동차용견인식배터리자동교환시스템은전기자동차의차고보다높은위치에설치되는메인이송레일장치와, 상기메인이송레일장치에설치되어배터리를교환하는교환장치(M)로구성된전기자동차용견인식배터리자동교환시스템에있어서, 상기교환장치는, 상기메인이송레일장치를타고이동되는이송프레임; 상기이송프레임에탑재되어이동되는견인장치; 상기견인장치에의해감김및 풀림되는승강로프; 및상기승강로프에접속되어승강되고배터리를클램핑, 언클램핑및 이동시키는클램핑장치를포함하고, 상기견인장치는상기승강로프가감김되도록상기클램핑장치에설치되는복수의견인휠; 상기승강로프의이동을안내하도록상기견인휠과동일수직축선상에해당되는상기견인장치에마련된견인장치본체에설치되는안내휠; 및상기견인휠및 상기안내휠중 어느한 곳이상에설치되어상기승강로프의장력을감지할수 있는로드셀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이에의하면, 안내휠에설치된로드셀에의해승강로프의장력을자동적으로감지하여승강로프의처짐및 파단과같은이상여부를검출할수 있으므로, 승강로프의처짐발생시에신속하게승강로프의장력을조절하는유지보수작업을수행함으로써배터리교체작업을안정적으로수행할수 있고, 승강로프가파단된경우에는위험신호를경보함과동시에교환장치의작동중지와같은응급조치를신속하게수행할수 있어서클램핑장치나배터리의추락에따른전기자동차의손상이나인명사고를미연에방지할수 있는효과가있다.
-
公开(公告)号:KR101374711B1
公开(公告)日:2014-03-17
申请号:KR1020120071461
申请日:2012-06-29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커버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배터리의 교체 작업이 빠르고도 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배터리커버의 상면에 존재하는 수분의 흐름 방향이 배터리장착부로 향하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수분으로부터 배터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상부에 배터리장착부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장착부가 돌출되는 부위를 덮도록 저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커버; 상기 아웃루프패널의 상면 중 상기 배터리장착부의 후방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배터리커버가 상기 배터리장착부를 덮는 부위에 위치될 경우 상기 배터리커버의 개구된 후면을 폐쇄하는 후방커버; 그리고, 상기 배터리커버의 상면 전방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배터리커버의 상면 전방측으로 흐르는 빗물과 같은 수분을 해당 차량의 양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배수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가 제공된다.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是水的流动,以更换电池的方向,并且被配置为可移动的电池盖被安装到被打开和在车辆的上部封闭,并迅速和容易地进行,特别是,存在于发往电池装载电池盖的上表面上 并且更具体地,涉及能够安全地保护电池免受湿气影响的根据新形式的用于车辆顶部可更换电池的电池顶部打开/闭合装置。
-
公开(公告)号:KR101360926B1
公开(公告)日:2014-02-11
申请号:KR1020120071456
申请日:2012-06-29
Applicant: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T10/7005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장치에서는 배터리장착부(12) 내부의 배터리안착공간(14') 바닥을 형성하는 장착부플레이트(15)에 배수구(22)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를 향해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4')의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배수구(22)는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4')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의 출구와 연결되게 내부에 배수유로(52)가 형성된 손잡이바아(50)가 차량(10)의 차실(31)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배터리장착부(12)가 지지되는 보강부재(32)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섀시프레임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외관을 구성하는 장착케이스(14)의 장착부펜스(15') 선단에는 차단리브(160)가 더 형성되어 물이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내부로 들어가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상기 차실(31)을 관통하여 섀시프레임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4')에서부터 외부까지 물을 배출하는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바아(50)가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장착부(12)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