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취입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체압력을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부풀려 반구형이나 반실린더형의 용기를 제조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기체압력을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성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체출입구를 가지는 상형 및 하형과, 상기 상형 또는 하형에 고정되고 자신이 고정되지 아니한 상기 상형 또는 하형 사이에 금속판재를 고정시켜 상기 금속판재를 성형시키는 가운데 부분에 성형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교체 가능한 중형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지름이 동일하면 그 형상과 금속판재의 종류 및 두께에 관계없이 금형을 전부 새로 만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도 두꺼운 금형을 만들지 않고 두께가 얇은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고 저렴한 구조의 금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전단변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금형로의 굴곡부에서 소재하부와의 틈이 발생하여 소재의 전단변형량이 불균일하고 불충분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재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금형로로 들어가는 위치에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상기 금형로의 입구가 협력하여 굴곡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굴곡부를 제외한 금형로 부분에서의 마찰을 감소시켜 작은 힘으로 효과적으로 전단변형을 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은 전단변형된 소재를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대량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continuous shearing strain is provided to enable mass production of a shearing strained material in succession without restriction of material length by successively supplying the material to a shearing strain mold. CONSTITUTION: A material(3) is successively supplied into a mold(1) by using a frictional contact between a rotary roll and the material(3). The material(3) is flexed and shearing strained in the mold(1), and discharged via an outlet. A guide supplying unit(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otary roll to smoothly supply the material(3) into the mold(1) even if the material(3) is thin. A cutter i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mold(1) to cut the material(3) into a suitable size. Slip takes place between the material(3) and the guide supplying unit(2) as a safety function when the guide supplying unit(2) is overloaded. Undesired break down of the guide supplying unit(2) due to overload is prevented.
Abstract:
PURPOSE: A polymer elastic structure having an elastic modulus slope for biasing a forming material uses an elastic polymer making a complete forming although having low forming weight. CONSTITUTION: A polymer elastic structure having an elastic modulus slope for biasing a forming material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a compressing device about a forming material(2). The elastic modulus on an unneeded portion is lowered and on a needed portion is elevated. Thus, needed compressive stresses are equivalently applied to respective parts, thereby making a complete forming and lowering a total forming weight. Further, many groups of polymer elastic structures are mounted on a switchboard of rotating type or reciprocating type, thereby elevating the producing speed of the elastic polymer.
Abstract:
PURPOSE: A method is provided to obtain a compound having a low gravitational segregation, reduced size of crystal grain, improved yield strength and superior tensile strength. CONSTITU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arbon steel having a composition containing 0.02 to 0.5% C, 0.05 to 2.0% Si, and the residual part of F3, to make the crystal grain fine, 0.01 to 0.3% B and 0.05% to 0.8% Zr are simultaneously added to produce ZrB2 compound which has a high gravity of approximately 6.2. The size of the crystal grain is reduced by 1/3 approximately, while the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are increased by 60 to 100MPa approximately.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5000계 알루미늄 합금의 초소성화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초소성화 공정은 특수 합금원소를 많이 첨가하거나, 별도의 특수 제조설비를 필요로 하고,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초소성 변형 중 다량의 기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용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저온과 고온에서 2단계 열처리하거나, 서서히 가열 후 고온에서 열처리 조건의 제어에 의해 우수한 초소성을 얻도록 하여 특수한 합금원소나 제조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균질화, 용체화, 급냉, 시효, 재결정 등을 분리하여 열처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균질화와 동시에 석출이 진행되게 하고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사용하지 않아 경제성과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합금은 초소성 변형시기공발생이 적기 때문에 초소성 변형이 용이하고, 성형 후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연성이 우수한 고연성 알루미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특수 합금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는 방법 또는 분말야금법은 제조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고 실용성이 낮은 결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Al을 용해하는 단계와, 합금원소 중 Mn과 Zr을 첨가하여 고온에서 완전 용해하는 단계와, 온도를 일정하게 낮추고 합금원소인 Mg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주조를 실시하는 단계의 순서로 수행하는 고연성 알루미늄의 제조방법과, 이때의 합금원소를 Mg 3~7%, Mn 0.3~1.2%, Zr 0.05~0.25%의 함량으로 첨가하는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여 적절한 합금설계와 제조조건에 의해 고가의 Li, Sc, Cr, Zr 및 Cu등의 합금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거나 특수한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고온연성을 갖는 합금을 제조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전단 변형 장치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금형과; 상기 금형의 입구측에 인입된 소재를 지지하여 상기 금형의 출구측으로 방향을 변환하도록 전단 변형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표면이 상기 소재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변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소재와 금형간의 마찰 저항을 줄이며, 사각지대의 발생을 방지하여 변형 저항을 줄일 뿐만아니라, 균일하게 전단 변형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성 판재 성형품의 대량 생산을 위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성형장치에 다층 구조의 금형을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성형용 판재를 설치하고, 기체로 압력을 가하여 성형함으로써 저렴한 설비투자비로 한꺼번에 다수의 성형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용 판재로 예비성형체를 이용하면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균일한 두께의 성형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alibrating an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A method of calibrating an orientation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obtaining a first orient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relative orientation of a first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with respect to a first reference coordinate system; (b) obtaining a second orient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relative orientation of a second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with respect to a second reference coordinate system; and (c) calculating a third orient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orientation of the second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with respect to the first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and a fourth orient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relative orientation of the second reference coordinate system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system, using the first orientation value and the second orientation value, with a calculation apparatus. The step (c) corresponds to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hird orientation value and the fourth orientation value, which minimize an error between a fifth orient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relative orientation of the second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system calculated from the first orientation value and the third orientation value, and a sixth orient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relative orientation of the second orientation measurement senso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system calculated from the second orientation value and the fourth orientation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