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편향기 집적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의 직접변조 시 발생하는 처프(Chirp)량을 제거하고, 소자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높은 소광비 특성과 단면 반사율에 의한 처프(Chirp)량을 줄일 수 있는, 편향기 집적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편향기 집적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시킨 빔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구비하되, 상기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편향기가 집적되어 편향각에 따라 광섬유와의 광 결합효율을 변화/변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Abstract:
본 발명은 광 편향기가 집적된 광소자에 있어서, 하부 클래딩층, 코어 및 상부 클래딩층으로 구성되어 광 신호를 가이딩하여 전달하는 수동 도파로와, 수동 도파로의 일영역의 상부에, 상부 클래딩층이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된 광 편향기를 구비하되, 광 편향기에 전류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소정 형상의 하부에 있는 코어의 굴절률을 변화시켜 진행광이 편향되는 광 편향기가 집적된 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외부 구동 회로가 필요 없이 광의 방향을 편향시킬 수 있는 광 편향기가 집적된 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거울의 미세한 조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회절격자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어서 폭 넓은 파장가변 영역을 구현할 수 있는 파장가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튜닝거울의 회전에 의해 파장가변이 행해지는 외부 공진기형 파장 가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로서, 광 출력단에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와 컴바이너 또는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와 어레이 도파로 회절격자(AWG)를 나란히 배치시켜서 상기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배치 간격과 반사거울의 회전 조절을 통하여 다채널의 파장을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컴바이너 또는 AWG와 광섬유 사이의 정렬이 쉽고, AWG의 경우는 커플링 손실이 현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반사거울의 미세 조정이나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배열 간격과 렌즈 초� ��거리의 정확도 등을 요하지 않으며, 패키지를 간편히 할 수 있고 제작 수율과 소자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편향기 집적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의 직접변조 시 발생하는 처프(Chirp)량을 제거하고, 소자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높은 소광비 특성과 단면 반사율에 의한 처프(Chirp)량을 줄일 수 있는, 편향기 집적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편향기 집적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변조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시킨 빔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구비하되, 상기 동적 단일모드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편향기가 집적되어 편향각에 따라 광섬유와의 광 결합효율을 변화/변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Abstract:
PURPOSE: An optical element in which an optical deflector is integrated, and an external resonant wavelength variable las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deflect light without a complex external driving circuit, and integrate the optical deflector and InP, a semiconductor material. CONSTITUTION: A passive waveguide is formed of a lower cladding area(301), a core(302), and an upper cladding area(304), and guides a light signal. An optical deflector(303) is formed by patterning an upper cladding layer at one area of the passive waveguide in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as a current or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optical deflector, a refractive index of the core under the predetermined shape is changed to deflect proceeding light.
Abstract:
PURPOSE: An ultra high speed optical signal processor where a saturated absorber and a constant gain optical amplifier are integrated is provided to increase a response time in a high spe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to transmit data without distortion as to an input pulse having a narrow width. CONSTITUTION: A constant gain optical amplifier region corresponds to a diffraction grating(4) formed in an N-type InP substrate(2). An undoped InGaAsP active layer(6), a P type InP clad layer(8) and an InGaAs ohmic contact layer(10) ar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N type InP substrate in sequence. A pair of top metal electrodes(12a,12b) ar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GaAs ohmic contact layer and are insulated by an etched groove. A bottom metal electrode(14) is stacked below the N type InP substrate. And an anti-reflective thin film(16) is stacked on both sides, and a saturated absorber region and a constant gain optical amplifier region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InGaAs ohmic contact layer.
Abstract:
PURPOSE: A logic element using saturable absorbers is provided to apply the same current to the first saturable absorber and the second saturable absorber, without a change of a path phase difference caused by optical strength of an input signal, thereby alleviating restrictions on an operational input optical strength range. CONSTITUTION: The first saturable absorber(117) inputs power in which the first input signal is synthesized with a reference signal, has a more passing power than an absorbing power if the power is more than the first transparent input optical strength, and has a more absorbing power if the power is less than the optical strength. The second saturable absorber(118) inputs power in which the first input signal, the second input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are synthesized together, has a more passing power if the power is more than the second transparent input optical strength, and has a more absorbing power if the power is less than the optical strength. Combiners(114a,114b) combine an output of the first saturable absorber(117) with an output of the second saturable absorber(118).
Abstract:
PURPOSE: A distributed reflection laser diode including a spot-size converter and a DFB(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 is provided to increase a single mode yield and an optical output regardless of a phase of a diffraction grid by forming the spot-size converter and the DFB laser diode with one body. CONSTITUTION: A distributed reflection laser diode including a spot-size converter and a DFB laser diode includes a substrate(700), a bottom clad layer(710), a diffraction grid(720), a passive waveguide layer(740), an intermediate clad layer(750), an active layer(760), a top clad layer(770), and a ridge(780). The bottom clad layer(710) is formed on the substrate(700). The diffraction grid(720) is formed on the bottom clad layer. A bottom clad layer and an optical waveguide layer are formed on the diffraction grid. The passive waveguide layer(740) is formed on the optical waveguide layer to transmit beams to the third region. The intermediate clad layer(750) is formed on the passive waveguide layer. The active layer(760)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clad layer to transfer the beams from the second region to the passive waveguide layer. The top clad layer(770)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The ridge(780) is formed on the top clad layer. The ridge has a tapering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한번의 객체 탐색으로 모든 객체를 최적의 순서로 적재/하적할 수 있는 객체지향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에서의 객제의 적재와 하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객체지향 DBMS에서의 객체의 참조관계 그래프를 MRC로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집합을 공집합으로 정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집합이 노드들의 집합인 제2집합과 같은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제1집합이 상기 제2집합과 같다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제1집합이 상기 제2집합과 다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집합을 뺀 차집합으로부터 진행할 수 있는 경로들의 집합을 제3집합이라고 정의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집합의 원소인 노드들로부터 진행할 수 있는 경로들의 집합인 제4집합이 상기 제3집합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상기 제4집합이 상기 제3집합을 포함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집합을 상기 제2집합의 원소인 각 노드들로부터 진행할 수 있는 경로들의 집합으로 재정의하는 제6과정 및 상기 제1집합과 상기 제3집합의 합집합을 상기 제1집합으로 재정의하고 상기 제2과정으로 진행하는 제7과정을 포함하는 데에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고 체계적인 객체를 적재/하적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클래스들을 지정하여 적재/하적을 수행하더라도 객체 적재/하적기가 클래스간의 참조관계를 검사하여 최적의 순서로 적재/하적을 수행할 수 있다는 데에 그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