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은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 포트 및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장착이 가능한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연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동 모듈의 출력 포트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동 모듈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Abstract:
스킵모드를이용한영상복호화방법및 이러한방법을사용하는장치가개시되어있다. 영상복호화방법은잔차블록정보의부호화여부를나타내는소정의정보를기초로예측대상블록의잔차블록정보가존재하는지여부를판단하는단계와잔차블록정보가존재하는경우상기예측대상블록의화면내 예측값및 잔차블록정보를기초로상기예측대상블록을복원하는단계를포함할수 있다. 따라서, 화면의유사도에따라잔차정보블록이필요한예측대상블록에대해서만화면의잔차정보를부호화및 복호화를수행하여부호화및 복호화효율을증가시킬수 있다.
Abstra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view video using a two-dimensional display is disclosed.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view video includes: a selection unit which selects a multi-view video file to be outputted through a two-dimensional display, selects at least one of output time and viewpoint from the selected multi-view video file, and outputs the multi-view video file to the two-dimensional display; and a real-time multi-view synthesis unit which performs multi-view synthesis of the selected multi-view video file, when the multi-view synthesis of the selected multi-view video file is required, but performs the multi-view synthesis, based on the at least one of the time and the viewpoint, and provides the two-dimensional display with a synthesized multi-view video.
Abstract:
PURPOSE: An independent type display system for portable terminals is provided to install a connection module capable of connecting to an independent type displa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thereby displaying the screens of the portable terminals using the independent display device. CONSTITUTION: An independent type display device(200) performs a function of a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by connec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input port connected to a control unit, an output port, and a connection module(210). The connection module outputs a display signal, which is obtained through the input port, to the output port. The independent typ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output port of the connection module and displays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display signal outputted by the connection module. [Reference numerals] (200) Independent type display device; (210) First connection module; (211) First main device; (220) Second connection module; (221) Second main device; (230) Third connection module; (231) Third main device; (AA,BB,CC) Instal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의 엘리애징 제거를 위한 필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의 입체 시차 (parallax) 또는 변이 (disparity) 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저주파 필터링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특정한 다시점 모니터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다시점 모니터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다시점 영상의 엘리애징 제거를 위한 필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점 영상, 시차값, 앤티 앨리애징, 필터?DP n="2" type="HARD"/>
Abstract:
A device for controlling a sense of recognition depth of a multi-viewpoint imag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trol a sense of depth even by the multi-viewpoint image regardless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depth information. A multi-viewpoint image information input unit(111) inputs a multi-viewpoint image and depth data of the multi-viewpoint image. A time difference calculator(120) calculates time difference data of the multi-viewpoint image by using the image and the depth data. A time difference converter(130) calculates a conversion tim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a user's request depth information by using the time difference data. A conversion image generator(140) generates a multi-viewpoint conversion image by using the conversion time differenc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축소/보간 필터링을 이용한 디지털 입체 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디지털 입체 영상을 축소 필터링(decimation filtering)과 보간 필터링(interpolation filtering)을 통하여 정보 손실을 줄이고, 기존의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에서 입체 영상의 전송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비 추가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고화질의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입체 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 입체 영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영상을 입력받아, 각각의 좌우 영상을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 축소 필터링(decimation)하여 축소 영상을 얻기 위한 축소연산수단; 상기 축소연산수단에서 축소 필터링된 각각의 좌우 영상을 수평 방향 혹은 수직 방향으로 합쳐서 하나의 다중화된 영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수단;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수단;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상기 부호화수단에서 부호화된 영상 신호나 상기 저장수단에 부호화하여 저장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에 이용됨. 축소 필터링(decimation filtering), 보간 필터링(interpolation filtering), 입체 영상, 영상처리 장치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객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장면내 객체의 차폐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객체를 추적 가능하고,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변이 추출에 소요되는 계산량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Depth 카메라를 이용한 깊이 정보 및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내 객체 검출 및 객체의 3차원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3차원 객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3차원 객체 추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비디오 카메라들(다시점 카메라)로부터 동일 시간에 취득된 영상의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다시점 비디오 저장수단;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비디오 카메라 중 깊이(depth) 카메라로부터 동일시간에 취득된 적어도 하나의 깊이 맵(depth map)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깊이 맵 저장수단; 각 시점의 카메라 초점 거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정보, 시점간 위치와 방향에 대한 기반행렬을 구하기 위한 카메라 보정수단; 상기 카메라 정보와 상기 기반행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다시점 영상 및 상기 깊이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내 배경으로부터 움직이는 객체 영역을 추출하기 위 한 객체 영역 추출수단; 추출된 객체 영역의 움직임 객체를 검출하여, 이 객체의 3차원 운동 벡터들을 구하기 위한 객체 움직임 추정수단; 및 상기 객체 영역에서 차폐 영역을 검출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역방향 움직임 추정을 통해 차폐로 인해 가려진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차폐 영역 처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동영상 객체 검출 및 움직임 추정 기술 등에 이용됨. 다시점 카메라, 깊이(depth) 카메라, 깊이 맵, 움직임 추정, 차폐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