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公开(公告)号:KR2019960017205U
公开(公告)日:1996-06-17
申请号:KR2019940029382
申请日:1994-11-07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B60R25/104 , B60R25/04
-
公开(公告)号:KR2019960010789U
公开(公告)日:1996-04-12
申请号:KR2019940024700
申请日:1994-09-26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B60R22/32
Abstract: 본고안은차량의시간당차속변화를감지하여그에해당하는전기적인신호를출력하는가속도감지수단과, 차내의화재발생여부를감지하여화재발생시에그에해당하는전기적인신호를출력하는화재감지수단과, 안전벨트의결합상태에따라동작상태가가변되어그에해당하는전기적인신호를출력하는안전벨트작동감지스위치와, 감지되는가속도가충돌시에해당하는설정값이상이거나, 차량에화재가발생하는경우에안전밸브의작동여부를감지하여, 안전벨트가장착된경우에일정시간이경과하면안전벨트탈거신호를출력하는제어수단과, 상기제어수단에서출력되는탈거신호에따라작동되어자동으로안전벨트를버클에서탈거시키는버클구동수단으로이루어지는차량충돌시의안전벨트자동탈거장치는, 차량이충돌하거나화재가발생하는긴급사태가발생한경우에일정시간이경과하면자동으로안전벨트를버클에서탈거시켜긴급사태발생시의차량탈출을용이하게하므로써안전성을향상시키고운전자의생명을보호할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纸内部以每对应于输出的电信号到加速度传感小时车速变化装置的车辆的此检测,检测是否车载火由消防和电气信号输出到火灾的对应的感测装置和安全 操作状态是可变的取决于带的键合状态或到相应的输出的电信号,以操作所述座椅安全带检测开关以及当检测到的加速度,即在碰撞时间大于设定值时其在火灾中的车辆的情况下的安全 控制装置,用于检测是否操作阀,并且当安装安全带时经过了一段时间时输出安全带分离信号; 用于自动剥离车辆碰撞包括带扣驱动的情况下的座椅安全带装置用于汽提器,在一定量的时间发生了紧急车辆的碰撞或火灾时 如果已通过从自动安全带脱落扣,以提高安全性。促进在紧急情况下车辆逃逸,并保护驾驶员的生命。
-
-
-
公开(公告)号:KR100303028B1
公开(公告)日:2001-11-22
申请号:KR1019960037073
申请日:1996-08-30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F02P15/00
Abstract: PURPOSE: An ignition auxiliary device for a diesel engine is provided to accelerate the ignition of initial start by rising an ignition accelerating pin in a piston just before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is finished, and generating compression ignition in the upper end of the ignition accelerating pin. CONSTITUTION: An Electronic Control Unit(ECU)(60) receives signals from an ignition switch(70), a piston sensing unit(50) and a fuel injection sensing unit(80). A driving unit(20) for an ignition accelerating pin(30) raises the ignition accelerating pi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ECU when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10) is finished.
-
公开(公告)号:KR100229466B1
公开(公告)日:1999-11-01
申请号:KR1019960037072
申请日:1996-08-30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B60R21/214 , B60R21/215 , B60R21/20 , B62D25/06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 에어백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탑 에어백장치는 평시 차량의 지붕에 설치됨에 따라 외관상의 제한과 설치 구조상의 어려움이 있어 에어백이 전개되기 위한 출구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루프 이니셜 트림부(10)의 에어백 모듈(12)에는 예시된 제2도와 같이 에어백 전개 출구를 확보하기 위한 제1차 고주파 라인(14)과 제2차 고주파 라인(16)을 설치하되;
상기 고주파 라인(14,16)은 각각의 고주파 구동부(40,50)에 의하여 제어되게 하며, 상기 각각의 고주파 라인 구동부(40,50)는 충격 센서부(20)의 신호와 가속도센서(30)의 신호를 입력 받은 ECU가 제어하게 하여, 에어백 전개 출구가 확보된 후 상기 ECU(60)가 에어백 모듈(12)에 에어백 폭발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탑 에어백의 도어 구조를 이용한 자동차는 차량의 전복 사고시에 전개되는 탑 에어백의 장치에 고주파 라인을 작동하여 출구를 확보함으로써, 루프 이니셜 트림부의 탑 에어백 장치에 대한 설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公开(公告)号:KR1019990058558A
公开(公告)日:1999-07-15
申请号:KR1019970078695
申请日:1997-12-30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F16H59/08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변속 모드와 수동 변속 모드를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변속기의 가변 모드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각 레인지 위치를 안내토록 스롯이 형성되어 제1모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1변속 조절 보드와, 상기 제1변속 조절 보드의 슬롯에 삽입되어 각 변속 레인지를 선택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노브 및 제1로드와, 상기 노브 및 제1로드가 일정 정도 회전되면 결합되어 노브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제2로드와, 상기 제2로드가 삽입되게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각 변속단 위치에 다수의 변속단 센서가 부착되어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제2변속 조절 보드로 구성되어; 상기 노브 및 제1로드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모드나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公开(公告)号:KR1019990039949A
公开(公告)日:1999-06-05
申请号:KR1019970060214
申请日:1997-11-15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F16H59/02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변속모드와 자동 변속모드가 전환가능한 수동 및 자동변속모드를 구비한 변속시스템에서의 변속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변속 모드 동작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악셀레이터 페달의 동작,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변속단 등을 기억시켜 이를 기초로하여 각 상황에 따른 변속기의 상태에 대한 자료를 학습하는 제 1 과정과, 자동 변속 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전환동작시 차량의 주행상태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악셀레이터 페달의 동작,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 1 과정에서 학습된 변속기의 변속기어단수를 억세스하는 제 2 과정과, 현재의 변속 기어단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된 변속기어단수와 비교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제 3 과정을 통해 비교되는 양측의 기어단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수동 변속모드를 해지하고 자동변속모드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된 변속기어단수로 현재의 변속기어단수를 조정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자동변속모드를 구비한 변속시스템의 변속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200128186Y1
公开(公告)日:1998-10-15
申请号:KR2019940033235
申请日:1994-12-08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하재준
IPC: B60Q1/52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충돌시의 긴급구조신호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충돌시에 자동으로 구급기관등에 구조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긴급구조신호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에어백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부(ECU)에 차량번호, 주행지역고유코드번호, 삐삐번호 및 구급기관 고유코드번호등을 입력시킨 후, 차량충돌에 의한 에어백시스템이 동작하게 되면 동시에 송신회로 및 송신안테나를 통해 구급기관 및 해당 삐삐에 구조신호를 보냄으로서 사고발생시에 신속하게 인명구조 및 사고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