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19221337A1
公开(公告)日:2019-11-21
申请号:PCT/KR2018/009740
申请日:2018-08-23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김재민
IPC: C12Q1/6883 , C12Q1/683
Abstract: 본 발명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후 흔히 발생하는 재발과 사망 등 예후를 검사하는 진단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안과 이를 조절하는 세로토닌 수송체의 유전자다형성을 분석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재발 및/또는 사망 등을 포함하는 주요심장부작용사건의 발생위험을 검사할 수 있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장기예후 검사방법 및 진단키트에 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WO2019208871A1
公开(公告)日:2019-10-31
申请号:PCT/KR2018/007034
申请日:2018-06-21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로 제어되는 로봇 시스템으로 물류 창고 또는 물류 야적장 전체에 걸쳐 화물 이송 및 분류가 가능한 다중 물류이송 케이블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엔드이펙터(13)와, 제1엔드이펙터(13)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제1윈치 모듈(11) 및 제1엔드이펙터(13)를 이동시키는 케이블(121,122,123)로 구성되는 제1케이블 로봇(10)과, 제1엔드이펙터(13) 및 제1윈치 모듈(11)과 동일한 제2엔드이펙터(23)와 제2윈치 모듈(21) 및 케이블(221,222,223)로 구성되는 제2케이블 로봇(20)과, 제1 및 2엔드이펙터(23)에 각각 설치되는 제3윈치 모듈(31)과 제1 및 제2엔드이펙터(23) 사이에 배치되는 제3엔드이펙터(33)와 케이블(321,322,323)로 구성되는 제3케이블 로봇(30) 및, 제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 없이도 물류 이송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케이블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
公开(公告)号:WO2019198917A1
公开(公告)日:2019-10-17
申请号:PCT/KR2019/000953
申请日:2019-01-23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저장 및 보관을 위한 압력용기(Pressure Vessel) 및 이에 이용되는 3차원 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3차원 쉘 구조체는, 내부가 계면에 의해 서로 꼬인 형태의 제1 부공간 및 제2 부공간으로 이루어진 2개의 부공간으로 분리 구획되는 압력용기용 3차원 쉘 구조체로서, 상기 2개의 부공간 중 적어도 하나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으로 제공되되, 상기 저장공간으로 제공되는 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중 상기 유체의 반출입을 위한 부분을 제외하고 차폐판으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의 경우, 내부가 계면에 의해 서로 꼬인 형태의 2 개의 부공간(subvolume)으로 분리 구획되고 각각의 부공간이 연속된 형태의 쉘(shell) 구조체를 압력용기 본체로 구성하는 한편 2개의 부공간을 고압 유체의 저장공간 또는 열교환매체의 수용이나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독립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벽 두께는 얇게 하고 무게 대비 저장체적은 크게 하면서도 우수한 내압 특성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비표면적, 유체 투과성 및 열전달 특성을 갖는다.
-
公开(公告)号:WO2019132438A3
公开(公告)日:2019-07-04
申请号:PCT/KR2018/016417
申请日:2018-12-21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전처리기술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상 및 해상 바이오매스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전처리 후 환경 및 생물에 유해한 유해물질이 합성되지 않는 육상 및 해상 바이오매스 공용 전처리조성물 및 상기 전처리조성물을 이용한 육상 및 해상 바이오매스 전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WO2019078606A2
公开(公告)日:2019-04-25
申请号:PCT/KR2018/012234
申请日:2018-10-17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A61K36/03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K36/03
Abstract: 본 발명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또는 감태 추출물이 세포실험에서 항염증 활성과 항알러지 활성을 보이고 그리고 동물실험에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으로,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
公开(公告)号:WO2019066446A9
公开(公告)日:2019-04-04
申请号:PCT/KR2018/011350
申请日:2018-09-27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레틴의 대사산물 중 3-하이드록시 플로레틴 제조를 위한 야생형 CYP102A1 돌연변이체에 관한 것으로,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 효소인 야생형 CYP102A1의 점 돌연변이체, 야생형 CYP102A1의 점 돌연변이체의 헴 영역과 야생형 CYP102A1의 자연적 변이체의 환원효소를 융합한 키메라 CYP102A1 및 키메라 CYP102A1의 점 돌연변이체를 촉매로 이용하여 플로레틴을 산화시켜 3-하이드록시 플로레틴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9066446A3
公开(公告)日:2019-04-04
申请号:PCT/KR2018/011350
申请日:2018-09-27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레틴의 대사산물 중 3-하이드록시 플로레틴 제조를 위한 야생형 CYP102A1 돌연변이체에 관한 것으로, 박테리아 시토크롬 P450 효소인 야생형 CYP102A1의 점 돌연변이체, 야생형 CYP102A1의 점 돌연변이체의 헴 영역과 야생형 CYP102A1의 자연적 변이체의 환원효소를 융합한 키메라 CYP102A1 및 키메라 CYP102A1의 점 돌연변이체를 촉매로 이용하여 플로레틴을 산화시켜 3-하이드록시 플로레틴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9059599A3
公开(公告)日:2019-03-28
申请号:PCT/KR2018/010908
申请日:2018-09-17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Abstract: 본 발명은 아시벤졸라-에스-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아시벤졸라-에스-메틸의 방제효과가 유도저항성에 기인함을 인 비트로( in vitro )에서 확인하였다. 유도저항성은 일반적으로 적은 양으로 효과가 있고 식물체에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기작으로 약효를 보이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해 친환경 약제 개발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제 개발의 가능성을 매우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소나무재선충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살선충제제의 수간주입 방법을 유도저항성 제제의 토양관주나 엽면살포 방법으로 전환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제의 살포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公开(公告)号:WO2019045411A1
公开(公告)日:2019-03-07
申请号:PCT/KR2018/009913
申请日:2018-08-28
Applicant: 주식회사 코렌텍 , 전남대학교병원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PC: A61F2/42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발목관절 거골요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와 접하는 관절면, 뼈와 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거골 절단면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하여 절단면을 모두 수복해 응력을 분산시키고 수술 후 골용해 또는 이소성골화증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발목관절 거골요소에 대한 것이다.
-
260.
公开(公告)号:WO2019039878A2
公开(公告)日:2019-02-28
申请号:PCT/KR2018/009703
申请日:2018-08-23
Applicant: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bstract: 본 발명은 3종의 리포펩타이드계 화합물을 생산하고,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JCK-12 균주 및 항진균성 합성농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JCK-12 균주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인 이투린, 펜기신 및 서펙틴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기에 식물병 방제에 대한 생물농약으로 활용하여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생물적 방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