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composi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for skin care or plasty is provided to promote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to adipocytes.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promo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contains Linderae Radi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increases fat tissue and promotes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to adipocytes. The mesenchymal stem cells are derived from human bone marrow.
Abstract:
PURPOSE: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ntaining a useful pigment is provided to implement an optical property such as hologram when applied on skin or lip. CONSTITUTION: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50.0-99.999 wt%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ntaining a useful pigment. The composition contains 0.001-10.0 wt% of the useful pigment.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s a liquid crystal mixture containing a nematic liquid crystal(NLC) with chiral dopant which induces a periodic helical structure.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selectively reflects light according to the pitch of a repetitive structure and the twisting direction of the helix. [Reference numerals] (AA) Optical characteristic from external appearances; (BB) Optical characteristic after being applied on lips; (CC) Comparative example 1; (DD) Comparative example 2; (EE) Comparative example 3; (FF) Example 1; (GG) Example 2
Abstract:
본 고안은 편광필름을 부착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광필름을 화장품 용기에 부착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가변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외선과 가시광선에 대한 내용물 보호효과와 내용물 식별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하는 투명 내부 용기(10); 상기 투명 내부 용기(10)의 외주연부에 부착되고,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세로방향 편광필름(21)과 가로방향 편광필름(22)이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되는 내부 편광필름(20); 상기 투명 내부 용기(1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투명 외부용기(40)의 외주연부에 부착되고,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한쌍의 세로방향 편광필름(31)과 가로방향 편광필름(32)이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되는 외부 편광필름(30)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외부용기(40)와 외부편광필름(30)이 고정된 상태에서 투명내부용기(10)의 회전에 의해 내부편광필름(20)이 회전하면, 내부편광필름(20)과 외부편광필름(30)의 방향이 일치할 경우 투명해지고, 불일치할 경우 불투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고안은 피부미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달걀 형태로 마련된 투명재질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되 안정된 상태에서는 서로 잘 섞이지 않는 이종(異種)의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피부미용장치를 손에 쥐고 피부를 용이하게 마사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하부에 돌출 구비된 용기 몸체; 및, 상기 토출구를 감싸되 상기 토출구가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토출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화장품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사용자의 피부에 존재할 수 있는 병원성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고안은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펌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상부에 장착된 펌프 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 본체 내측의 안내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토출구를 구비하는 누름 버튼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내용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실린더의 내부에 유입된 상기 내용물을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펌프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누름 버튼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펌프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안내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안내관과 연결되어 상기 누름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는 개폐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1탄성 수단을 제어하는 � ��내 피스톤 및 상기 누름 버튼 및 상기 안내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상기 안내 유로를 이동하는 상기 내용물을 살균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Abstract:
PURPOSE: A composition containing herb extract for skin care or plasty is provided to promoter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to adipocytes.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contains Cinnamomum cass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increases fat tissue. The mesenchymal stem cells are human bone marrow stem cells.
Abstract:
PURPOSE: A composition containing pharbitidis seed, Anthriscs aemula Schisch and their mixture for body sliming is provided to suppres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duce lipid level.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body sliming contains pharbitidis seed extract, Anthriscs aemula Schisch extract or their mixture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contains the pharbitidis seed extract, Anthriscs aemula Schisch extract or their mixture as an active ingredient. Mesenchymal stem cells from human bone marrow are differentiated to adipocytes. The composition for sliming is used in the form of cosmetic composition, health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