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인버터의 전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인버터와 차량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전 선로로의 진입 및 진출 예상 시간을 예측하여 인버터의 전력을 제어하는 차량 위치 기반 무선 충전 인버터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공간 변조 기반 송신기는 복수의 단위 안테나들, 입력 신호에 대한 비직교 다중 접속 및 공간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안테나들 중에서 현재 시점에서 공간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깃 단위 안테나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힌다. 상기 단위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유닛이 출력하는 전자기파의 위상을 변경하는 렌즈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유닛들이 서로 다른 방사 패턴을 갖도록 상기 위상을 변경한다.
Abstract:
다중 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다중 접속 통신 방법은 사용자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스프레딩 코드를 할당하는 단계와, 스프레딩 코드가 할당된 사용자 송신 신호를 복수의 빔들 간에 스프레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파일럿 신호들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에 기반하여 빔 기반 랜덤 액세스 참여를 결정하고, 랜덤 액세스 시 빔 기반 랜덤 액세스 참여이면 빔 기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며, 그렇지 않으면 일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랜덤 액세스 시도에 따라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주파수 변화에도 전송효율 안정성을 유지하는 급집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진주파수 변화에 의해 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급전장치로부터 집전장치로의 전력전송 효율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급집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집전 시스템의 Q-팩터를 낮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공진주파수 변화에 의해 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급전장치로부터 집전장치로의 전력전송 효율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급집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변환 진행 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가 검출되면, 검출된 터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 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된 컨텐츠 영역을 참조 컨텐츠로 하여, 두 개 이상의 컨텐츠 비교가 용이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제어장치(VCU, vehicle control unit)의 통신오류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제어장치가 모니터링하고 있는 장치로부터 전송이 중단된 메시지의 아이디(ID)를 탐지해냄으로써 차량내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오류를 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제어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자장치들을 모니터링하여, 그 장치들로부터 전송이 중단된 메시지의 아이디(ID)를 탐지해냄으로써 차량내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오류를 탐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은 (a) 2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 적산에 의해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을 연산하는 단계; (b)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또는 무부하 상태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이 종료되면 상기 단계(a)에서 연산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연산/도출하는데 있어 기존 방법과 다르게 충/방전량 기반으로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연산/도출이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공조 소모 전력 제어에 있어서, 캔 시스템을 기반으로 차량내 전력을 소모하는 유닛들의 전력 소모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전력 상태를 판단하고, 차량의 전력 상태에 따라 공조 시스템의 소모 전력을 제어함으로서, 전기로 구동하는 자동차, 순수 전기자동차 또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에서 주행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최적의 차량 실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