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신호 변환 및 위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입력된 병렬신호를 기준 클럭으로 리타이밍하여 입력신호간의 위상차를 줄이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동일한 속도의 병렬신호를 출력하거나 다른 속도의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 변환 및 위상 정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클럭 및 프레임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타이밍 발생부;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신호의 폭을 넓히는 적어도 하나의 역다중화부; 외부로부터 기준 클럭 및 프레임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타이밍 발생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다중화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기준 타이밍 발생부의 로드신호에 의해 로딩시킨후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로딩된 신호의 위상을 정렬하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화부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광전송 시스템 등에 이용됨.
Abstract:
본 발명은 STM-N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채널의 오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B2바이트를 이용하여 STM-1 단위의 EB를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동기식 전송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전송 오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STM-N 프레임내의 B2 오버헤드 바이트를 사용한 BIP(Bit Interleaved Parity)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B2 바이트를 사용한 전송 오류 측정은 BIP를 각각 검출하여 누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EB(Errored Block)을 사용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기본적인 설계개념은 모두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STM-4에 대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8병렬 STM-4 신호를 수신하여 B2 바이트의 오류를 검출하고 최종적으로 STM-1 단위의 EB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수신된 8병렬 STM-4 신호에서 BIP 계산기를 이용하여 B2 바이트 값을 계산한다. 이후 계산된 B2 바이트 값과 다음 프레임의 B2 바이트를 BIP 오류 검출기에서 비트별로 비교하여 STM-4 신호 전체에 대한 BIP 오류를 먼저 찾아낸다. BIP 오류를 찾아낸 후 이를 STM-1단위로 분리하여 EB를 검출한다. STM-N 광전송 시스템의 전송 오류 평가 방법이 EB로 변경되는 추세에 맞추어 EB를 이용한 전송 오류 방식을 구현하는 회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최근에 개정된 국제 표준안을 수용하는 광전송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소방활동 지원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방활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방요원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추출하는 트랙커와, 소방요원의 시선 방향을 추출하고, 그래픽 및 문자 정보를 부가하여 소방요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소방요원에게 보여주는 투시형 HMD(Head-mounted display)와, 건물의 구조 및 그와 관련된 명칭의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저장하여, 상기 트랙커에서 추출된 소방요원의 이동 정보 및 상기 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의거하여 소방요원의 건물안에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투시형 HMD에서 추출된 소방요원의 시선 방향 정보와 상기 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의거하여 소방요원의 현재 위치에서 주시하고 있는 건물 내부의 구조 및 구조물에 대한 부가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투시형 HMD로 전송하는 외부 컴퓨터와, 상기 트랙커 및 � �시형 HMD와 상기 외부 컴퓨터간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타 송수신장치로 구성되어, 소방요원에게 현재 있는 위치에서 건물의 내부 구조 및 주요 물체의 문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다.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저속에서 프레임 위상 정렬 가능한 프레임 위상 정렬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위상 정렬기와 직렬 변환기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EN, RD)의 주파수를 낮추고, 글리치(Glitch)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위상 정렬과 신호가 복원되는 직렬 변환과정이 기준 클럭(CKr)에 동기 되도록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어드레스 신호 발생이 가능한 Johnson 계수기(4,5)를 이용하였으며, 또한, 계수기(4,5)의 어드레스 신호를 적접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대신, 글리치(Glitch)가 없는 1 비트의 저주파 제어 신호를 이용한 동기식 위상 정렬기(8,9) 및 직렬 변환기(12,13)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타 재생 과정이 필요 없도록 하였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교환기 또는 중계기 내의 위상 정렬장치에 적용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STM-N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수신국에서 전송 오류 상태를 송신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M1 바이트 전달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M1 바이트 처리기술은 미비하고 다중화기와 역다중화기간의 M1 바이트 전송시 M1바이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는지 판단하는 방식이 제안되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국의 다중화기에서 검출된 BIP를 근거로 생성한 M1 바이트를 직렬신호로서 다중화기로 전달 및 M1 바이트 전달시 발생가능한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을 제공하여 오류검출을 위해 역다중화기에서 8비트로 부호화된 M1 바이트만을 다중화기로 전달하면 다중화기에서는 수신된 M1 바이트를 병렬 로딩한 후 다시 2진 합산하여 역다중화기에서 보내온 짝수 패리티비트와 비교하여 역다중화기와 다중화기간의 M1 � ��이트 전송시 오류 발생을 검출하고 검출된 오류는 성능평가에 활용함으로써 SRM-N 시스템 적용을 통해 M1 바이트 전달시 발생할 수 있는 전송오류를 평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클럭소스를 사용하는 역다중화기와 다중화기간의 신호전송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STM-N 신호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