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견인형 판재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성형장치에 있어서, 다이와; 판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이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펀치와; 상기 다이와 펀치 사이에 고정된 제1방향으로 제1자속을 갖는 제1자성부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한 제2자속을 갖는 제2자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자속의 전환에 따라 상기 제1자속 및 제2자속에 의해 발생되는 제1자기력(F 1 ) 및 제2자기력(F 2 )이 상호 중첩 및 상쇄되면서 상기 다이 및 펀치가 접근 및 이격을 반복하며 상기 판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1자성부에 의한 제1자기력이 제2자성부에 의한 제2자기력의 전환에 따라 상호 중첩 및 상쇄되면서 펀치와 다이를 상호 견인 및 이격시켜 판재를 수행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펀치의 왕복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판재성형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제2자성부를 솔레노이드로 마련함으로써 입력되는 교류전류의 세기 및 주파수 조절을 통해 펀치가압력의 크기 및 가압주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펀치가 별도의 펀치지지부에 의해 물리적으로 지지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펀치의 왕복운동에 따른 피로하중이 펀치지지부에 누적되어 판재성형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판재에 딤플 성형시 곡률부의 변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속 판재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금속 판재 선형 방법은 선행 스탬핑 툴을 이용하여 금속 판재에 상부 곡률부와 하부 곡률부를 갖는 가 형상의 딤플을 1차 스탬핑하는 단계와, 그리고 1차 스탬핑된 딤플을 기본 스탬핑 툴을 이용하여 실 형상의 딤플로 2차 스탬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measuring the foamed and contracted volume of a foam material comprising a lower plate; an upper plate arranged above the lower plate and having one end fixed on the lower plate; and a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defl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upper plate. The device is to measure the foamed or contracted volume of a foam material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foaming or contraction of the foam material when the foam material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between the lower and upper plates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easuring the foamed and contracted volume of a foam material comprising a step of attaching the foam material in the predetermined section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rranged above the lower plate and having one end fixed on the lower plate; and a step of measuring the defl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foaming or contraction of the foam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구속형 플라잉다이를 갖는 판재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성형 판재의 일측면에 자유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라잉다이; 상기 판재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펀치; 상기 펀치를 지지하는 펀치지지부; 상기 펀치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펀치를 상기 판재를 향하여 상대이동시켜 성형을 수행하게 하는 펀치구동부; 및 상기 판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라잉다이가 상기 펀치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자기력에 의해 상기 플라잉다이의 위치를 구속하는 다이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기구적인 지지나 구동없이 다이를 자기력에 의해 고정 및 이동할 수 있으므로, 판재성형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성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종류 및 성형목적에 따라 플라잉다이를 교체하여 판재에 안착시키기만 하면되므로 성형작업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중소형 제품에서부터 대형제품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판재의 굽힙변형 뿐 아니라 성형성 향상을 위한 압축 잔류응력용 가압작업이 가능하여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n excitation type board incremental formation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a board from torning etc. generated in a shear deform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ool rotation. CONSTITUTION: An excitation type board incremental formation device comprises a board fixing unit (50), a die (10), a punch (20), a punch supporting part (21), an excitation unit (23), a punch transport unit (25), and an inverter (237). The board fixing unit fixes a formed board material. The die is prepared in one side of the board. The punch is prepared in the other side of the board. The punch supporting part supports the punch. The excitation unit performs a molding by pressurizing the punch with a vibration towards the board. The punch transport unit transfers the punch supporting part to a molding position fixed with corresponding to the board. The excitation unit comprises a first magnetic part and a solenoid. The inverter controls a frequency and a current strength of an alternating current inputted to the solenoid.
Abstract:
본 발명은 링 압연 공정의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이용한 링 압연 스케줄의 최적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링 압연 스케줄의 최적 설계 방법은 링 압연 공정에 있어서, 링 소재의 속도장을 산출하기 위한 스페이셜 메시 시스템(Spacial Mesh System)과 산출된 상기 속도장에 따른 상기 링 소재의 변형 및 회전을 반영하기 위한 액추얼 메시 시스템(Actual Mesh System)을 상호 연동하여 상기 속도장과 상기 변형 및 회전에 관한 정보를 시간증분에 대해 갱신해 가면서 유한요소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링 압연 공정의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이용한 링 압연 스케줄의 최적 설계 방법으로서, 압력롤의 이송속도와 원추롤의 이송속도를 연동하여 링 롤링 머신의 롤에 최소의 하중 및 토크가 부과되는 최적화된 링 압연 스케줄을 설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셜 메시 시스템과 액추얼 메시 시스템을 상호 연동하여 링 압연 공정의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계산량 및 계산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링 압연 공정의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통해 압력롤의 이송속도와 원추롤의 이송속도를 연동하여 설계함으로써, 링 롤링 머신의 롤에 부과되는 하중 및 토크가 최소화 되는 최적화된 링 압연 스케줄을 제안할 수 있다.
Abstract:
A rearward pulling condition determinative method of the upper jaw front-end tooth is provided, which is capable of the effective orthodontics. A rearward pulling condition determinative method of the upper jaw front-end tooth comprises: a step(S01) for creating at least one FE model of the tooth of the upper jaw front-end; a step(S02) for simulating each rotation angle of at least one tooth model; and a step(S07) for determining location and the length of the power arm in the optimum condition. The step for determining location and the length of the power arm in the optimum condition comprises: a step(S04) for calcul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ooth model; a step of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power arm to the optimum length; and a step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power arm to the optimum lo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성형조건에서의 소재의 변형거동의 예측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압축 속도에 따른 압축 실험을 통하여 실험 데이터를 얻는 제 1단계; 제 1단계에서의 실험 조건 및 유동응력 함수의 미정계수의 가정에 따른 FEM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된 하중과, 제 1단계에서의 실험데이터의 하중에 의해 결정되는 목적함수 값을 결정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목적함수 값이 수렴조건을 충족할 때까지 제 2단계를 반복하여 유동응력함수의 미정계수를 결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링 압축 실험과 이에 의한 역공학에 의해 FEM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소재의 유동응력과 공구와 소재간의 마찰을 동시에 결정하게 되어, 미지의 소재의 변형 거동을 쉽게 예측하여 부품 산업이나 소재 개발이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성형조건, 변형거동, 예측방법, 역공학
Abstract:
A method for simulating a condition of an ultra-sonic vibration of injection molding is provided to set an efficient condition for analyzing filling up in an injection molding. Conditions having a plurality of ultrasonic wave condition are set. A fluid velocity field is predicted in the cavity(1) inside of a mold about the ultrasonic wave conditions. The predicted fluid velocity field is converted and expressed as a functional coordinate. A fluid filling rate in the cavity in each mode is extracted by applying the functional coordinate. An optimum condition of ultra-sonic vibration is set by analyzing filling rates in each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