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biosensor using conductive graphen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ffer good conductivity, and to increase detection sensitivity of biological molecules with a small amount of sources. CONSTITU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graphene includes a step for manufacturing the graphene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 step for manufacturing the graphene reformed to a thiol group by combining the carboxyl group with an amino group of chemical materials having an amino group and the thiol group at the same tim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graphene film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in which the thiol group is exposed; attaching the conductive graphene on the substrate by combining the thiol group with the conductive graphene; laminating the conductive graphenes by combining the attached conductive graphenes to the conductive graphenes; and enhancing the density of the conductive graphenes.
Abstract:
본 발명은 탄저균 포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탄저균 포자의 검출 또는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저균( Bacillus
anthracis ) 포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스크리닝하고, 상기 결합 펩타이드를 부착시킨 나노입자 복합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탄저균 포자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결합 펩타이드를 부착시킨 자성입자 복합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탄저균 포자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저균 포자를 신속하게 검출, 분리함으로써 병원성 균체의 진단 또는 분리에 유용하다. 탄저균, 결합 펩타이드, 진단, 나노입자, 분리, 자성입자
Abstract:
A micro-mixing device of samples is provided to simplify the device and improve the mixing efficiency and rapidness, so that the device realizes various lab-on-a-chips in combination with various micro-analysis devices. A micro-mixing device of samples comprises: a sample-mixing chamber equipped with a magnetic disc which is operated by the magnetic field; and an inlet and an outlet which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ample-mixing chamber, respectively, wherein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nalysis chamber for analysis of mixing efficiency of samples between the sample-mixing chamber and the outlet and the magnetic disc is impregnated into a polymer film of polydimethyl siloxane. A lab-on-a-chip contains the micro-mixing device of samples and a solid phase extra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micro-mixing device, which is packed with polymer solid phase-extracting agents through in-situ polyme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탄저균의 포자외막 단백질을 이용한 목적단백질의 미생물 표면발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 표면발현 모체(cell surface anchoring motif)로서 탄저균( Bacillus anthracis ) 포자외막(exosporium) 단백질(BclA)을 코딩하는 bclA 유전자 또는 bclA 유전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될 경우, 목적단백질이 BclA 또는 그 일부와 융합된 형태로 세포 표면에 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발현벡터 및 이를 이용한 목적단백질의 미생물 표면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현벡터는 탄저균 유래 포자 외막 단백질(BclA)을 세포 표면 발현 모체로 사용하여, 목적단백질이나 펩타이드를 세포 표면에 효율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고, 상기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이를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안정적으로 다량 발현시킬 수 있어, 재조합 생백신, 전세포 흡착제, 전세포 생물전환 등의 다양한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탄저균, 세포 표면발현, BclA, 목적단백질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조립(self-assembly)물질을 탄소나노튜브 상에 자기조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조립물질로 랩핑(wrapping)된 수용성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자기조립물질로 랩핑되어 있는 수용성 탄소나노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조립물질로 랩핑된 탄소나노튜브는 수용성 성질을 나타내므로 일반 탄소나노튜브와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응용성을 가지게 된다. 특히, 상기 자기조립물질로 랩핑된 탄소나노튜브에 표적 바이오물질 혹은 유기화합물과 결합하는 리셉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바이오센서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기조립, 탄소나노튜브, 자기조립, 수용성, 랩핑(wrapping), 바이오센서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가 노출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에 자기성 물질을 결합시키고, 상기 자기성 물질이 고정된 CNT를 기질 상에 위치시킨 다음,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CNT를 기질상에 어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정렬된 CNT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CNT 어레이에 바이오 리셉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바이오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CNT-바이오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리셉터와 결합하거나 반응하는 표적 바이오물질 또는 유기화합물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화학합성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한 성장 또는 마이크로 패턴(micro pattern)에 의한 어레이 방법에 비하여 결함이 적으면서도 고도로 CNT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어레이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이고 편리한 미세 유체 제어를 위한 미세유체 디바이스 어셈블리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유체 유동 블럭 및 미세 유체 밀봉 블럭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미세 유체 유동장치 형성방법은 미세 유체를 유동시키는 블럭들의 형상을 맞춤식 형태로 설계하여 추가적인 공정 및 튜빙 조작 및 에너지 없이도 미세 유체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럭 단위로 제작 및 설계 변경이 용이함으로 미세 유체 유동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유체 유동 블럭 및 미세 유체 밀봉 블럭을 이용해 미세 유체의 유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이와 같은 제어 기능을 필요로 하는 단백질 칩, 디엔에이 칩, 약물 전달 시스템, 미세 생물/화학 분석 시스템 및 생화학 반응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바이오 랩온어칩(Lab-On-a-Chip)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게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결합펩타이드 (copper binding peptide, CBP)를 이용한 탐침단백질이 고정된 다중 스팟 (multi-spot) 구리 증착형 나노구조체 배열 바이오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상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 상기 금속 박막층 상에 다중 스팟을 형성시키고, 상기 다중 스팟의 각 스팟 표면에 나노구조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킨 나노구조체 배열층, 상기 나노구조체 배열층 상에 형성된 구리 박막층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중 스팟 구리 증착형 나노구조체 배열 바이오칩; 상기 다중 스팟 구리 증착형 나노구조체 배열 바이오칩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CBP와 탐침단백질이 결합된 융합단백질이 구리층 표면에 고정되어 있어 표적 바이오물질 또는 후보 표적 바이오물질과의 상호작용을 검출 및 정량화할 수 있는 CBP를 이용한 탐침단백질이 고정된 다중 스팟 구리 증착형 나노구조체 배열 바이오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BP를 이용한 탐침단백질이 고정되어 있는 다중 스팟 구리 증착형 나노구조체 배열 바이오칩은, 상기 바이오칩에 광원, 검출기, 분광광도계 및 컴퓨터를 포함한 광학특성 분석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DNA, 단백질 등의 다양한 바이오 물질의 상호작용을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비표지 광학 바이오센서로의 응용이 가능하며, 온-사이트 모니터링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BP를 이용한 탐침단백질이 고정되어 있는 다중 스팟 구리 증착형 나노구조체 배열 바이오칩은 화학적인 표면 처리공정 없이 선택적으로 탐침단백질을 고정함으로써 칩 제작공정이 단순화되고 복잡한 탐침단백질 정제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에 큰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실리카 결합물질을 이용한 플렉서블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 센서는 플렉서블 하부 기판; 상기 플렉서블 하부 기판의 상부에 접촉하며,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실리콘 상부 기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 사이의 실리콘 기판을 지나는 미세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미세유체 채널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흘리는 방식으로 표적 물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플렉서블 기판상에 구현되므로, 종래의 실리콘 기판상에 구현된 바이오센서가 가지는 기판의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