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multi-spot metal-capped nanostructure array nucleic acid chip for diagnosing corneal dystrophy is provided to apply as an LSPR optical property-based non-labeled optical biosensor and to diagnose various corneal dystrophy at once.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spot metal-capped nanostructure array nucleic acid chip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 metal thin film(second layer) on a substrate(first layer); a step of forming multi-spot on the metal thin film and arranging nanostructure on each spot surface in constant interval to form a nanostructure layer(third layer); a step of forming the metal thin film on the nanostructure layer; and a step of fixing a probe nucleic acid on the metal thin film(fourth layer).
Abstract:
PURPOSE: A metal-protein grating pattern biochip of novel design is provided to detect various target proteins and control grating pattern size and array pattern. CONSTITU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metal-protein grating pattern biochip comprises: a step of depositing a metal thin film on an optical prism or grass substrate; a step of attaching microfluidic channel on the metal thin film and performing chemical etching to produce the metal grating pattern; and a step of injecting and fixing a protein to the metal grating patter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metal has property of SPR(surface Plasmon resonance) optical property and binding property.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시료의 수평 흐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극이 연결된 자유흐름 전기영동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영동 챔버의 양 말단에 각각 주입구 및 배출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시료의 미세전기탈염장치, 이를 포함하는 랩온어칩 및 이들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전처리 과정이 없이 미세전기탈염장치 또는 상기 미세전기탈염장치를 포함하는 랩온어칩 상에서 적은 양의 단백질 시료를 사용하면서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단백질로부터 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고속처리, 고순도 및 높은 재현성으로 원하는 시료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미세전기탈염장치, 자유흐름 전기영동 챔버, 랩온어칩, 단백질 정제, 전기장
Abstract:
본 발명은 골드 결합 단백질(GBP)을 이용한 바이오-골드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드 결합 단백질(GBP)을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또는 목적펩티드)을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표면 발현모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골드 결합 단백질(GBP)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표면 발현모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골드 결합 단백질(GBP)을 코딩하는 유전자 및 목적단백질(또는 목적펩티드)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골드 결합 단백질(GBP)-목적단백질의 융합단백질, 표면발현모체에 의해 골드 결합 단백질(GBP) 또는 골드 결합 단백질(GBP)-목적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이 표면발현된 세포를 제작한 다음, 이를 골드 칩에 위치특이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골드 칩의 제작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바이오-골드 칩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물질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드 결합 단백질(GBP)을 이용하여 골드 칩 표면의 전처리 없이 직접 바이오물질을 고정함으로써, 복잡한 금속 칩 수식화 공정없이 바이오-골드 칩을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과 경제성에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드 결합 단백질(GBP), 세포 표면 발현모체, 바이오-금속 칩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결합 단백질(MBP)을 이용한 바이오-금속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MBP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또는 목적펩티드)을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표면 발현모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MBP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표면 발현모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MBP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목적단백질(또는 목적펩티드)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MBP-목적단백질의 융합단백질, 표면발현모체에 의해 MBP 또는 MBP-목적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이 표면발현된 세포를 제작한 다음, 이를 금속 칩에 위치특이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금속 칩의 제작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바이오-금속 칩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물질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MBP를 이용하여 금속 칩 표면의 전처리 없이 직접 바이오물질을 고정함으로써, 복잡한 금속 칩 수식화 공정없이 바이오-금속 칩을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과 경제성에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금속 결합 단백질(MBP), 세포 표면 발현모체, 바이오-금속 칩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화된 탄소나노튜브에 생물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랩핑(wrapping)하는 수용성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상기 탄수화물로 랩핑된 탄소나노튜브에 표적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리셉터를 선택적으로 부착한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수화물이 랩핑된 탄소나노튜브는 수용성 성질을 나타내므로 일반 탄소나노튜브와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응용성을 가지게 된다. 탄소나노튜브, 탄수화물, 수용성, 랩핑(wrapping), 바이오센서
Abstract:
A method for whole surrounding surface display of target proteins using exosporium of a microorganism is provid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target proteins expressed on the surface, improving stability of a gene carrier against over-expression of the target proteins on the surface, improving survival of a host cell, and reducing the screening time of the spore or host cell in which the target proteins are expressed on the surface. The method for whole surrounding surface display of target proteins using exosporium of a microorganism comprises the steps of: (a) selecting a gene encoding an outer membrane protein of spore (exosporium); (b) constructing a gene construct or an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 gene encoding the target proteins and the exosporium gene in order to express the target proteins hybridized with the exosporium; (c) transforming a host cell selected from Gram negative bacteria, Gram positive bacteria, Actinomycetes, yeast and fungi with the gene construct or expression vector; (d) culturing the transformed host cell to express the target proteins on the surface of the host cell or a spore thereof; and (e) recovering the target proteins expressed on the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ionic liquid)를 이용한 전도성 탄소나노튜브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에 기능기의 도입과정 없이, 이온성 액체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액을 분쇄(grinding)시켜 음이온 기를 갖는 이온성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한 다음, 상기 이온성 탄소나노튜브의 이온기에 금속 입자를 결합시켜 수득되는 전도성 탄소나노튜브 및 상기 전도성 탄소나노튜브의 금속에 표적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리셉터가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유한 탄소나노튜브의 전도성을 유지하면서 금속 입자의 균일한 도입으로 저 농도 바이오물질 및 병원성 물질을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고, 바이오 리셉터와 결합하거나 반응하는 다양한 표적 바이오 물질을 금속입자에 부착하여, 한번에 대량으로 바이오 물질간 상호 반응을 전기화학적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방법 또한 간단하고 친환경적이며, 저렴하여 바이오 센서로 응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탄소나노튜브, 이온성 액체, 전도성, 금속입자, 바이오센서, 바이오칩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fluidic device assembly technology for an efficient and comfortable control of micro-fluid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microfluidic floating block, microfluidic sealing block, and a combining method of microfluidic floating device by using thereof can control the flow of microfluidic without additional process, tubing operation or energy, by designing the shape of blocks as a customized shape, and form the microfluidic floating device easily and simply by simply producing in block unit and changing the desig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pplying in various bio lab on a chip which requires the controlling function thereof including protein chips, DNA chips, drug delivery system, micro organism/chemical analysis system and biochemistry effectors etc,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microfluidic floating by using microfluidic floating block, microfluidic sealing block.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eparing a gold-fluorescence silica nanoparticle composite is provided to ensure excellent optical stability and to be used in a biosensor. CONSTITUTION: A gold-fluorescence silica nanoparticle composite contains: fluorescence nanoparticles; gold nanoparticle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fluorescence silica nanoparticle; and gold binding peptides conjugated on the surface of the gold nanoparticles. The fluorescence silica nanoparticles is formed in a sphere having 20-900 nm of average diameter. The fluoresence silica nanoparticles is formed by reaction of silica precursors with Rubpy(tris(2,2-bipyridyl)ruthenium(II)),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TRTIC(tetramethylrhodamine-5-(and 6)-isothiocyanate), rhodamine, texas red, alexa fluor 350, 405, 430, 488, 500, 514, 633, 647, 660, 680, 700, cy3, cy5, or cy7. A biosensor contains the gold-fluorescence silica nanoparticle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