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公开(公告)号:KR1019960005902B1
公开(公告)日:1996-05-03
申请号:KR1019910025209
申请日:1991-12-30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13/00
Abstract: The suspension system consists of a sub frame(1) which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a body frame, central and rear arms(3)(4) which are connected to a wheel supporting body(2) and the sub frame(1), a front arm(5) which is connected to a wheel supporting body(2) and the body of a automobile, a knuckle(7) which is connected to a wheel supporting body(2) and an upper arm(6), a strut arm(8) which is connected to the knuckle(7) and the body of a car. The rubber stoppers(20)(20') having different strength in rear and front connect between an inner pipe(12) and an outer pipe(13) of a front connection point of the front lower arm(5). The rubber stoppers(20)(20') have strength which is changing along with the diagonal direction and a wing part(9) of a sub frame(1), which has inside connection with center and rear lower arm(3)(4), is formed to look back.
Abstract translation: 悬挂系统由固定在车体框架下部的副车架(1)和连接到车轮支撑体(2)和副车架(1)的中央和后臂(3)(4)组成 ),与车轮支撑体(2)连接的前臂(5)和汽车车体,连接到车轮支撑体(2)和上臂(6)的转向节(7) 连接到转向节(7)和汽车车身的支柱臂(8)。 在前下臂(5)的前连接点的内管(12)和外管(13)之间,前后不同强度的橡胶塞(20)(20')连接在一起。 橡胶塞(20)(20')具有随着对角线方向变化的强度和与中心和后下臂(3)内部连接的副框架(1)的翼部(9)(4) ),形成回头看。
-
公开(公告)号:KR1019950017279A
公开(公告)日:1995-07-20
申请号:KR1019930027571
申请日:1993-12-14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11/14
Abstract: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롤 센터(Roll-Center)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 및 조종 안정성, 그리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지지체와 ; 쇽 업소오버 및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상기 휠 지지체의 상단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스트러트 아암과 ; 상기 휠 지지체의 하단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아암과 ; 상기 로워아암의 차체측단 연결부와 차체 사이에 배치되어 유압에 의하여 마운트 높이를 상하 조절하여 롤 센터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는 롤 센터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롤 센터 조절수단은 상하 유체실의 유압 조절로 로워아암의 차체측 마운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부재와 ;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에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전환밸브와 ; 차속센서와, 횡력센서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방향 전환밸브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KR1019950017268A
公开(公告)日:1995-07-20
申请号:KR1019930027181
申请日:1993-12-10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3/28
Abstract: 주행조건에 따라 캠버 및 트레드의 변화를 휠의 범프 및 리바운드 전구간에 걸쳐서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로서,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향너클과; 조향너클의 하부를 차체에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링크와; 상기 조향너클의 상단에 연결되어 컨넥팅 링크와; 상기 컨넥팅 아암을 차체에 연결하여 주기 위해 이것과 피벗 연결되어 있는 어퍼컨트롤 링크와;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차체의 상하로 전달되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그리고 상기 어퍼컨트롤 링크와 상기 로워 컨트롤 링크의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컨트롤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링크는 어퍼컨트롤 링크의 차체측 저면에 피벗연결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차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아암과, 그리고 상기 힌지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로워컨트롤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아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는 그 상단이 인슐레이터에 의해서 차체에 연결되고, 그 하단은 상기 컨트롤 링크의 수평아암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륜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KR1019950013757A
公开(公告)日:1995-06-15
申请号:KR1019930023008
申请日:1993-11-01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5/00
Abstract: 완충부재를 서브 프레임에 배치하여 차체로 입력되는 충격등을 완화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점유공간의 축소로 실내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선회시 조종성과 안전성을 양립시킬 목적으로 ,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의 상측단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이의 연장부 선단이 휠보다 높은 위치가지 연장되며, 하측부에 구동축 관통공을 갖는 휠 지지체와 ; 상기 휠 지지체의 상단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어퍼 콘트를 아암과 ; 상기 휠 지지체의 하측을 차체에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를 링크와 , 차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휠 지지체의 전측부를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트레일링 아암과 ;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구동축의 전후측에 서브 프레임과 로워 콘트 롤 아암 사이로 배치되는 2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이들 완충부재의 특성을 각각 를리게 해줌으로써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KR1019950013755A
公开(公告)日:1995-06-15
申请号:KR1019930023006
申请日:1993-11-01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5/00
Abstract: 킹핀축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여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완충기구의 스트로크를 작게하여 후드 라인을 하향시키며, 어퍼 콘트를 아암을 서브 프레임에 장착하여 조립성 및 현가장치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휠 지지체와 ; 상기 휠 지지체의 상단을 서브 프레임과 연결하여 주는 어퍼 콘트를 아암과 , 상기 휠 지지체(2)의 하단을 서브 프레임(1)에 연결하여 주는 로워 콘트를 아암(41)(42)과 ;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그의 하단부가 상기 어퍼 콘트를 아암(3)에 탄성부시를 개재시켜 연결되는 완충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KR1019940007409B1
公开(公告)日:1994-08-18
申请号:KR1019920014975
申请日:1992-08-20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G21/051 , B60G9/003
Abstract: The mounting structure is disclosed in which links of different lengths are connected by a hinge bolt above and under a slide pivot joint, the hinge bolt being inserted into a hole formed to a trailing arm, and pivot shafts are fitted to a mounting bracket formed on a body side chamber through the hole formed on the link, thereby obtaining a virtual pivot point.
Abstract translation: 公开了一种安装结构,其中不同长度的连杆通过铰链螺栓连接在滑动枢轴接头上方和下方,铰链螺栓插入到形成于牵引臂的孔中,并且枢转轴装配到形成在 通过形成在连杆上的孔的身体侧室,从而获得虚拟枢轴点。
-
公开(公告)号:KR1019940013902A
公开(公告)日:1994-07-16
申请号:KR1019920023103
申请日:1992-12-02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3/20
Abstract: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의 연결부를 통하여 차체와 너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휠을 포함하는 너클이 차체에 대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주는 어퍼 및 로워 콘트롤 아암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의하여 휠이 상승될때 이에 연동되는 로워 콘트롤 아암의 상승동작에 의하여 상기 어퍼 및 로워 콘트롤 아암을 외측으로 밀어주어 캠버 및 트레드를 제어할 수 있는 캠버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19940013900A
公开(公告)日:1994-07-16
申请号:KR1019920023099
申请日:1992-12-02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3/02
Abstract: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인슐레이터을 개재시켜 차체에 지지되는 스트러트 아암과;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의 연결부를 통하여 차체와 너클에 연결되어 상기 휠을 포함하는 너클이 차체에 대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의 하부와 너클의 하측부분을 연결하여 주는 로워아암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의하여 휠이 상용구간 이상으로 상승될 때 "-" 캠버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휠의 상승에 따라 상승되는 스트러트 아암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로워아암을 외측으로 밀어줄 수 있는 캠버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19940013893A
公开(公告)日:1994-07-16
申请号:KR1019920024236
申请日:1992-12-17
Applicant: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ventor: 이언구
IPC: B60G3/18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이 인슐레이터 지지부로 차체에 현가지지 되고 하단에 커넥팅 아암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의 커넥팅 아암 외측 돌출부의 선단이 보올이음으로 조향너클과 연결되는 스트러트 아암과; 양 선단으로 지지부를 두고 탄성부시를 개재시켜 전,후 평행하게 배치되어 자체측과 커넥팅 아암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어퍼 아암과; 상기 어퍼 아암의 하측에 내측단 지지부가 큰 간격을 두고 탄성부시를 개재시켜 차체에 고정되고 외측단의 지지부가 작은 간격으로 좁아지면서 조향너클의 하측에 평면으로 보올이음 고정되어 펑면에서 볼 때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로워 아암으로 형성되어 휠의 승강 동작시 길이가 긴 가상의 어퍼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보올이음과 로워 아암의 외측단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점의 연결선이 킹핀축이 되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함으로써, 가상 킹핀(kingpin)축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가상의 링크를 만들어 롤 센터(Rol1-Center)의 높이 변화율을 작게하여 설계 자유도를 높히고 조향 현상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켜 직진 안전성을 위시한 제반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