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지원을 요청하는 유저를 위해 각각 다른 지원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지원장치를 통신로를 통해서 접속한다. 리모트 지원장치는, 선택한 처리유닛을 이용한 지원 처리의 실행 요구, 또는 처리유닛을 선택된 특정한 처리유닛으로의 전환 요구 및 지원 처리의 실행 요구를 화상형성장치에 송신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지원처리의 실행 요구를 따르는 처리유닛에 의한 지원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하고, 처리유닛의 전환 요구에 따라 처리 수단을 전환하여 전환된 처리유닛에 의한 지원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실행된 지원 처리 결과 중에서 회신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리모트 지원장치에 회신한다.
Abstract:
전송된 비디오 신호의 품질을 수신기 측에서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수신된 입력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비디오 비트 스트림 분석기에 제공하기에 앞서 수신된 입력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캡쳐하는 단계; b) 측정 시간 윈도우 동안, 상기 비트 스트림 분석기에 의해 캡쳐된 입력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패킷 헤더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추출하는 단계; c) 하나 이상의 특징들로부터, 그리고 슬라이싱 구성과 같은 미디어 스트림에 대하여 알려진 메타 정보로부터 패킷 손실에 따른 신호 감쇠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일 파라미터(xwpSEQ)를 결정하는 단계; d) 결정된 파라미터를 품질 추정 모듈에 제공하는 단계; 및 e) 품질 추정 모듈에 의하여, 비디오 해상도 정보 및 채택된 비디오 코덱에 기반하여 그리고 패킷 손실에 따른 신호 감쇠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일 파라미터(xwpSEQ)에 기반하여 패킷 손실에 따른 품질 척도(Qtrans)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능동적 윤곽선 방법을 이용한 CAD 시스템을 위한 전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인공물 제거부는 입력된 이미지에 대해 스레쉬홀드를 이용하여 2치 영상(binary image)을 획득하고, 2치 영상을 사전에 설정된 개수로 나누어 분할된 영역에 대해 픽셀 합을 계산하여 포인터의 시작점을 결정하고 시작점을 이용하여 입력 이미지에 대해 불필요한 인공물을 검색하여 제거한다. 윤곽선 추출부는 흉근 경계 정보를 포함하는 윤곽선을 획득하여 새로운 영역 기반의 에너지 함수를 정의하고, 입력된 이미지의 최외곽선을 기초로 점차적으로 내부로 이동하면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점들을 만나면 이동을 정지하고 정지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하나 이상의 윤곽선을 생성한다. 흉근 제거부는 윤곽선의 마스크 텀(mask term)에 대한 변수를 이용하여 흉근 이치 영상(binary image of the pectoral muscle)을 추출하여 흉근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양 조직(tumor tissue)의 정확한 검출을 위해 디지털 유방조영상 이미지(digital mammogram image) 내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인공물(artifact)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영상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