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n electric needle therapy apparatus is provided to enhance a medical treatment effect of the electric needle therapy apparatus. CONSTITUTION: An electric needle therapy apparatus comprises: a load sensor sensing the size of human body load(204); load compensation units(300) which generate output of power having compensation against the change of the human body load size; and a stimulation unit(103) which generates a fixed charge quantity of electrostimulation that is not influenced by the human body load size. The stimulation unit includes a voltage source having voltage of a fixed size.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공진을 이용한 데이터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무선통신장치는 제1 송신전극, 제1 인덕턴스 소자, 송신기, 제2 인덕턴스 소자 및 제2 송신전극을 포함하고, 제1 인덕턴스 소자는 제1 송신전극과 송신기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인덕턴스 소자는 송신기와 제2 송신전극 사이에 연결된 송신부 및, 제1 수신전극, 제3 인덕턴스 소자, 수신기, 제4 인덕턴스 소자 및 제2 수신전극을 포함하고, 제3 인덕턴스 소자는 제1 수신전극과 수신기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인덕턴스 소자는 수신기와 제2 수신전극 사이에 연결된 수신부를 포함하고, 제1 인덕턴스 소자 및 제2 인덕턴스 소자는 가변 인덕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환경 요인에 따른 민감한 채널 특성을 개선하고 보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 영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인체통신, 무선통신, 인체영역네트워크(Body Area Network), 전기장 통신(Electrical Field Communication), 근접장 통신(Near-Field Communication), 저에너지, 저전력, 채널 보상, LC 직렬공진, 가변 인덕터
Abstract:
PURPOSE: A computer system connecting a neuro-fuzz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or and an object recognizing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achieve the calculation quantity reduction and consumed power reduction of a neural network and purge network. CONSTITUTION: A neuro-fuzzy system(1100) includes an analog circuit unit, a digital circuit unit, and a conversion circuit unit. The conversion circuit unit converts each data value of the analog circuit unit and the digital circuit unit into domain information. The neuro-fuzzy system performs to processing to create global information for input data, and a parallel processor(1200) performs the processing to create local information for the global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aintain a form factor like a previous factor by excluding the addition of hardware to th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STITUTION: An antenna-combined electrode(310a) includes a first signal electrode(311a) and an antenna pattern(313a). A second signal electrode(320a) receives and transmits data with the first signal electrode.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330a) selectively executes a first or second communication mode. 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receives and transmits data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gnal electrode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the antenna pattern. A control unit(340a)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series resonance is provided to improve and compensate a sensitive channel characteristic depending on external environment. CONSTITUTION: A transmission unit(200a) comprises a transmission electrode, a transmitter, a first inductance element, and a first earth. The transmitter is connected between the transmission electrode and the first inductance element. A reception unit(200b) comprises a reception electrode, a receiver, a second inductance element and a second ground. The receiver is connected between the recep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inductance element. The second inductance element is connected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second earth.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모니터링 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모니터링 장치는, 피부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인덕티브 커플링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센서부의 위치 및 종류를 파악하고, 센서부의 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감지주기 및 전력전송강도로 센서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부착하여도 피부자극이 없도록 건식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 구동을 위한 전력을, 복대 혹은 의복과 같은 형태로 제작된 제어부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센서부 자체에는 별도의 독립전원이 필요 없다. 따라서, 피부에 근접하여 배터리가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땀이 나거나 물에 닿는 등의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무선 통신을 사용 할 경우, 간섭 및 침해의 위험성이 상존하는데 반면, 몸에 부착된 센서부와 그 위에 겹쳐 입은 복대 혹은 의복 형태로 제작된 제어부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우므로, 인덕티브 커플링을 이용할 수 있어, 간섭 및 보안에 강하며, 통신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생체신호, 보행심전도검사기, 보행혈압측정기, 습식 전극, 건식 전극, 인덕티브 커플링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구조를 갖는 직물형 인덕 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구조의 직물형 인덕터는 직물기판 및 직물기판 상에서 전도성 물질이 나선형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된 권선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인덕터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인덕터들은 서로 적층되되 각 권선 패턴은 각 권선 패턴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형 인덕터는 수 개의 인덕터들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적층되는 인덕터 개수만큼 인덕턴스가 증가된다. 또한, 직물의 두께 자체가 얇아서 여러 층으로 구성되더라도 부피의 증가가 거의 없으며, 면적은 일정하므로, 크기의 증가 없이 인덕턴스만 증가시킬 수 있다. 착용형 컴퓨터, 평면형 인덕터, 권선, 아일릿(Eyelet), 전도성 섬유
Abstract:
PURPOSE: An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for recognizing the kind of object and sensing the object in an image are provi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e the recognition speed. CONSTITUTION: A visual recognition unit(310) includes a visual recognition engine describing an interest area of the object as grid tile information. A parallel processor(320) includes a plurality of SIMD processing unit generating a describing vector of the object. An object determination unit(330) determines the kind of the object by comparing the describing vector with an object database.
Abstract:
PURPOSE: A fabric type input device is provided to be formed by using fabric that is pattern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 order to minimize foreign body sensation. CONSTITUTION: A fabric electrode unit(100) includes fabrics(101a,103a) and lead patterns(101b,103b) at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through patterning. The first fabric electrode faces the second fabric electrode. At a fabric substrate(110), the first fabric electrode is distanced from the second fabric electrode. A connection hole(111) is formed on the fabric substrate in order for each lead pattern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 control unit(120) supplies an input signal to the fabric electrode and senses the supplied input signal.
Abstract:
A digital hearing aid is provided to reduce an error and a gain correction time through a gain factor. A pre-amplifier(10) amplifies a signal inputted through a microphone. An AD converter(103) converts a test signal or an analog signal amplified in the pre-amplifier into a digital signal. A signal processing part performs a gain correction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bout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D converter. A DA converter converts the digital signal processed in the signal processing part into an analog signal. A receiver driver(106) outputs the analog signal converted by the DA converter through a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