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온라인 서비스 별 사용자 정보에 대한 명시적인 활용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서비스 별로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범위에 대하여 상기 온라인 서비스의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픈 API와 연동하여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범위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사물 정보의 가상객체 생성을 위한 인스턴스 프로파일 스키마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방법은, 사물(Thing)에 대한 정보의 가상화 오브젝트(Virtualization 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인스턴스 프로파일 스키마를 통해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인스턴스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인스턴스의 메시지를 상기 사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스크린과 제2 스크린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서버는 제1 스크린 장치와 제2 스크린 장치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수신하는 위치 감지부;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콘텐트를 정렬하는 콘텐트 정렬부; 및 정렬된 콘텐트의 배치 정보를 제1 스크린 장치와 제2 스크린 장치로 각각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bstract:
세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캡쳐하고 이를 소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캡쳐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1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하여 제2 단말을 이용하여 캡쳐를 요청하면 상기 제2 단말 또는 사용자가 등록된 소셜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가 캡쳐를 요청한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에 따라 콘텐츠의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쳐하는 미디어 서버가 포함된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캡쳐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수신하여 제2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b service supporting the movability of a web object are provided. A web server creates movability information for a movable web object in a webpage in order to process the movement of the web object. The web server inserts a link indicative of the movability information into a header of the webpage and transmits the webpage with the link inserted thereinto to a primary device. The primary device obtains the movability information for the web object from the web server using the link. [Reference numerals] (1710) Load web page; (1715) Generate mobility information; (1720) Insert a link; (1725) Webpage; (1730) Request an object; (1735) Object; (1740) Confirm the mobil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1745) Obtain primary device information; (1750) Request the registration of the information; (1760) Information of a secondary device and information of capability thereof; (1765) Register the secondary device and the capability thereof; (1770) Information of the capability; (1775) Request web object movement information; (1780) Generate the web object movement information; (1785) Web object movement information; (1790) Web object-related data; (1795) Update the web object; (310) Web server; (320) Primary device; (350) Secondary device
Abstract: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한 동적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센서가 감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추정한다. 전자 장치는 추정된 반응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한다. 전자 장치는 동영상 중 재생되고 있는 부분과 관련된 부분의 재생 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동영상은 서로 상이한 재생 시간을 갖는 복수 개의 편집 본들을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system for participating an interactive broadcasting program using a friend setting function of a mobile instant messenger. A program enabler service method providing an interactive service for user participation in a broadcast program may comprise: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and generating script-type information for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inputted information; opening a chat room for the broadcast program by setting a user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broadcasting program as a friend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IM) enabler; and reading the generated script-type information by being linked to the broadcast program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hat room. [Reference numerals] (1810) Program generation part; (1811) Input module; (1812) Writing module; (1820) Program execution part; (1821) Portal module; (1822) Management module; (1823) Execution engine; (1824) Record module; (1825) Monitor module; (1826) Registration module; (1827) Bus module; (1828) Storage module; (1830) Service connection part; (1841) Interface module; (1842) Message control module; (1843) Statistics module; (1844) Friend management module; (1845) Chat room control module; (1846) Response record module; (1850) Mobile IM service platform; (1860) Mobile IM app; (1861) UI management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