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수증기 등으로 구성된 기포가 있는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 되는 수용기 상부에서 초음파 발생기를 사용하여 수용기의 벽면에 위치한 기포의 크기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기포 방향으로 조사하여 기포의 체적을 증가 및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기포의 체적을 조절하며, 더 나아가 기포가 존재하는 액체의 액면의 높이를 초음파의 파장에 따라 조절하는 방법으로 공진효과에 의한 기포의 체적 조절 기능을 극대화하는 기포의 체적 조절방법 및 기포의 체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영상을 처리하는 멀티플렉싱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방사선을 섬광신호로 변환하는 섬광체 유닛에서 출력된 섬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 검출기, 상기 각 광센서에 결합되며, 각 광센서의 출력 신호를 양극성 펄스로 변환하는 복수의 신호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때, 각 신호 변환부가 출력하는 상기 양극성 펄스의 펄스폭 또는 영점 교차위치는 서로 상이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심뇌혈관 질환의 원인인 죽상 동맥경화반을 영상화하기 위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해 표지되고 죽상 동맥경화반을 선택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펩타이드가 2개 내지 4개 결합되어, 적은 양으로 빠른 시간 내에 혈류가 빠른 동맥 내의 동맥 경화반에 대해 우수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화합물과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죽상 동맥경화반을 영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원 자가구동 전기삼투펌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전기삼투펌프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경로부, 유체경로부에 구비되며,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멤브레인, 멤브레인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전극물질을 포함하는 환원전극, 멤브레인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 전극물질의 전위값보다 낮은 전위값을 갖는 제2 전극물질을 포함하는 산화전극, 및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간의 연결회로에 구비되어, 유체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을 포함한다. 유체는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이동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간동맥 화학색전술에 사용되는 항암제인 아드리아마이신을 대신하여 아드리아마이신을 효과적으로 담지하는 생체 단백질인 인간 혈청 알부민 기반의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간동맥 화학색전술의 효과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아드리아마이신을 담지하는 인간 혈청 알부민 나노입자는 약물을 효과적으로 세포에 집중 침투시킬 뿐만 아니라, 입자로부터 지속적인 약물 방출효과를 이용하여 장기간 치료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가진다.
Abstract:
전기삼투펌프를 이용한 유체 펌핑 시스템은 이송대상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1 이송라인 및 제2 이송라인, 제1 전극은 상기 제1 이송라인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상기 제2이송라인에 연결되는 전기삼투펌프, 상기 제1이송라인 중 상기 용기와 상기 전기삼투펌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1 밸브, 상기 제2 이송라인 중 상기 용기와 상기 전기삼투펌프 사이에 장착되는 제2 밸브, 상기 전기삼투펌프의 제1 전극과 유체 출력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3이송라인, 상기 전기삼투펌프의 제2전극과 유체 출력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4 이송라인, 상기 제3 이송라인 중 상기 전기삼투펌프와 유체 출력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3밸브, 상기 제4이송라인 중 상기 전기삼투펌프와 유체 출력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4밸브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강 캐뉼라는 내측에 사용자의 코와 입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코로 산소 공급이 가능한 산소 공급부, 그리고 내측에 상기 산소 공급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 공급부의 내측에 사용자의 코와 입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착용이 가능하고, 또한, 산소 공급부가 마스크부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착용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코로 산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여과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