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2231939B1
公开(公告)日:2021-03-25
申请号:KR1020200076250A
申请日:2020-06-23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F9/00821 , A61B3/1025 , A61F9/00823 , A61B2018/00904 , A61B2018/2253 , A61F2009/00844 , A61F2009/00863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안구로 가이드빔을 조사하는 가이드빔 조사부, 가이드빔 조사부와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반사부, 안구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안구로부터 반사되어 반사부를 통해 굴절된 반사빔을 수신하여 안구의 망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망막이미지를 취득하는 영상획득부 및 적어도 하나의 망막이미지를 매핑하여 안구의 황반부에 대한 전체 이미지인 황반부 이미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에 조사되는 레이저 피드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피드백방법을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WO2021230534A1
公开(公告)日:2021-11-18
申请号:PCT/KR2021/005285
申请日:2021-04-27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럽연구소
Abstract: 본 명세서는 환자의 두개골을 촬영한 타깃 의료 영상을 입력받아, 타깃 의료 영상을 제1 딥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환자의 안와 구조물에 대한 분류 결과를 생성하고, 분류 결과를 제2 딥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안와 구조물에 병변이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 추정 결과를 생성하고, 추정 결과에 따라 분류 결과를 제3 딥 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안와 구조물에 발생한 병변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예측 결과를 생성하고, 추정 결과 및 예측 결과를 출력하고, 샘플 의료 영상, 샘플 의료 영상에 대응하는 조직 검사 정보 및 샘플 의료 영상 및 조직 검사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합성 의료 영상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제1 딥 러닝 모델, 제2 딥 러닝 모델 및 제3 딥 러닝 모델을 학습하는 안와 및 안와주변 병변 예측 장치 및 예측 방법을 개시한다.
-
公开(公告)号:WO2021167264A1
公开(公告)日:2021-08-26
申请号:PCT/KR2021/001196
申请日:2021-01-29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H05B45/20 , H05B47/105 , H05B47/16 , A61N5/06
Abstract: 건강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조명 장치는 백색광을 발산하는 백색광 LED, 제1파장 광을 발산하는 제1파장 LED, 및 제1파장보다 긴 파장대역을 갖는 제2파장 광을 발산하는 제2파장 LED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 LED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공급되는 전원을 조정하여 백색광, 제1파장 광, 제2파장 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광량조절부를 제어하여 백색광, 제1파장 광 및 제2파장 광의 혼합 비율이 시간에 따라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설정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21167239A1
公开(公告)日:2021-08-26
申请号:PCT/KR2021/000105
申请日:2021-01-06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마취용 기화기의 마취액용기 가압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마취액용기가 끼워지는 용기삽입포트를 구비한 마취용 기화기에, 마취액용기를 지지시키되, 상기 용기삽입포트에 끼워진 상태의 마취액용기를 상기 용기삽입포트측으로 가압하여, 마취액이 마취용 기화기 내부로 연속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마취용 기화기의 마취액용기 가압유지장치는, 기화기의 용기삽입포트에 도킹된 상태의 마취액용기가 용기삽입포트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마취액 보충을 위한 인력을 대체할 수 있어 취급이 간편하다. 또한, 인력으로 마취액용기를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기화기 자체나 기화기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나 외부 장비와의 연결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1045355A1
公开(公告)日:2021-03-11
申请号:PCT/KR2020/007436
申请日:2020-06-09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안검 검사를 돕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검 검사를 돕는 장치는, 눈꺼풀의 결막이나 마이봄선을 관찰하기 위해 눈꺼풀을 외전(eversion)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상기 눈꺼풀 주위에 있는 눈썹을 잡는 클램핑부; 일측은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눈꺼풀의 안구라인을 따라 형성된 상안검판의 윗경계 부분에 접촉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눈꺼풀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부에 상기 눈꺼풀 외전을 위한 힘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그 클램핑부와 각도를 이루면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公开(公告)号:WO2023013989A1
公开(公告)日:2023-02-09
申请号:PCT/KR2022/011188
申请日:2022-07-29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개시는 이미지 분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료 영상 이미지 내의 키워드 및 좌표를 이용하여 표준 유형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하고 텍스트를 추출함으로써, 이미지로부터 표준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딥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이미지를 분류하고 항목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빅데이터로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1261699A1
公开(公告)日:2021-12-30
申请号:PCT/KR2021/000807
申请日:2021-01-21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A61F9/008 , A61B3/10 , A61B18/22 , A61B18/00 , A61B2018/00904 , A61B2018/2253 , A61B3/1025 , A61F2009/00844 , A61F2009/00863 , A61F9/00821 , A61F9/00823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안구로 가이드빔을 조사하는 가이드빔 조사부, 가이드빔 조사부와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반사부, 안구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안구로부터 반사되어 반사부를 통해 굴절된 반사빔을 수신하여 안구의 망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망막이미지를 취득하는 영상획득부 및 적어도 하나의 망막이미지를 매핑하여 안구의 황반부에 대한 전체 이미지인 황반부 이미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매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에 조사되는 레이저 피드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피드백방법을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WO2021112370A1
公开(公告)日:2021-06-10
申请号:PCT/KR2020/010481
申请日:2020-08-07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각막적출체로부터 여러층의 각막을 얻을 수 있는 다중각막수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각막수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측에 각막적출체가 얹혀지며, 상기 각막적출체의 각막에 해당하는 부위가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제1약액충전공간이 형성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얹혀진 각막적출체의 공막부위를 상기 마운트에 고정하며, 상기 각막에 해당하는 부위는 개구된 제2개구부가 형성된 스테빌라이저, 상기 각막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운에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마운트를 지지하며, 상기 각막의 상측에 제2약액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다중각막수확장치가 제공된다.
-
公开(公告)号:WO2022025437A1
公开(公告)日:2022-02-03
申请号:PCT/KR2021/007870
申请日:2021-06-23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안저 후극부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한 병적 근시 판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저 후극부의 황반, 시신경 유두 및 DPE(눈의 가장 깊은 지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후극부에서의 황반, DPE 및 시신경유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황반과 상기 DPE 간의 고도차(TEPSfovea-DPE), 상기 시신경 유두와 상기 DPE 간의 고도차(TEPSdisc-DPE) 및 상기 황반과 상기 시신경 유두 간의 고도차(TEPSfovea-disc) 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황반과 상기 DPE 간의 고도차(TEPSfovea-DPE), 상기 시신경 유두와 상기 DPE 간의 고도차(TEPSdisc-DPE) 및 상기 황반과 상기 시신경 유두 간의 고도차(TEPSfovea-disc) 의 값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고도차를 이용하여 병적 근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公开(公告)号:WO2019221359A1
公开(公告)日:2019-11-21
申请号:PCT/KR2018/016202
申请日:2018-12-19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권형구
Abstract: 접힘 가능한(foldable) 인공수정체(IOL)의 이동을 위한 인공수정체 교환기가 개시되며, 이러한 인공수정체 교환기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통로가 형성되는 아우터 튜브,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 튜브 및 상기 제2 통로와 연결되는 가변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너 튜브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가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튜브는, 상기 제1 통로의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미구속 상태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너비가 커지는 확장부를 가지되, 상기 미구속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통로의 내부에 상기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구속 상태로 전환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