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모델, CAD 이력 및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된 통합 도해 저작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3D 모델 정보, 군수지원 정보를 근거로 3D 모델 임포트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파일을 통합 도해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는 3D VRML 모델 파일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제1과정과; 교범 저작 시스템에서 도해 작성을 요청한 요청 리스트를 기준으로 3D 모델을 읽어오는 제2과정과; 신규 모델 파일이 존재하면, 3D 모델을 근간으로 뷰잉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해 3D 모델의 이동, 변환 및 각도를 조정하고, 보급 도해 및 분해도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 3D 모델의 부품 간격을 최적으로 조정하여 자동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제3과정과; 기존 모델 파일이 존재하면, CAD-Log 변경 절차에 따라 기존의 3D 및 2D 변경 이력 및 캐드-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일괄적으로 3D 및 2D 도해를 변경 및 수정하는 제4과정과; 2D 라인 리터치/에디트, 2D ID 그룹 셋업, 2D ID 센터라인 셋업, 2D ID 핫스폿 셋업 작업을 수행하여 2D 도해 작업이 완료되면 3D/2D 정보 저장/리턴 작업을 수행하고, 획득된 기술교범 및 전자교범을 기술도서 및 전자교범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여 모든 교범에서 도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5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모델, CAD 이력 및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된 통합 도해 저작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3D 모델 정보, 군수지원 정보를 근거로 3D 모델 임포트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파일을 통합 도해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는 3D VRML 모델 파일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제1과정과; 교범 저작 시스템에서 도해 작성을 요청한 요청 리스트를 기준으로 3D 모델을 읽어오는 제2과정과; 신규 모델 파일이 존재하면, 3D 모델을 근간으로 뷰잉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해 3D 모델의 이동, 변환 및 각도를 조정하고, 보급 도해 및 분해도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 3D 모델의 부품 간격을 최적으로 조정하여 자동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제3과정과; 기존 모델 파일이 존재하면, CAD-Log 변경 절차에 따라 기존의 3D 및 2D 변경 이력 및 캐드-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일괄적으로 3D 및 2D 도해를 변경 및 수정하는 제4과정과; 2D 라인 리터치/에디트, 2D ID 그룹 셋업, 2D ID 센터라인 셋업, 2D ID 핫스폿 셋업 작업을 수행하여 2D 도해 작업이 완료되면 3D/2D 정보 저장/리턴 작업을 수행하고, 획득된 기술교범 및 전자교범을 기술도서 및 전자교범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여 모든 교범에서 도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5과정에 의해 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