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위치 기준 노드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들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중계기들에 대한 무게중심 좌표를 산출하고, 무게중심 좌표와 사용자의 위치 좌표를 잇는 벡터를 법선 벡터(normal vector)로 갖는 평면을 결정하며, 중계기들의 좌표를 평면에 정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들의 정사영된 좌표와 무게중심 좌표에 기초하여, 무게중심 좌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소정 개수의 중계기들을 공중 위치 기준 노드로 선정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 기반 다중접속방법 및 그 제어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OFDM 기반 다중접속 방법은 불특정 다수의 단말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동기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기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테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제어 신호의 송신 후 미리 결정된 기준시로부터 제1 단위시간 내에 상기 테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말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시로부터 임의의 n 번째 단위시간 내에 상기 테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말을 제n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서브채널들의 사용 허용 시간을 상기 그룹별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들이 해당 그룹에 할당된 시간에 상기 서브채널들 및 심볼들을 부분적으로 점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WiMAX 대비 시간 동기에 대한 오버헤드를 대폭 감소시켜 데이터 처리량 및 동시 서비스 이용자 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종래 무선랜 기술과 대비할 때에도 전송 채널의 사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전송할 때 발생하는 충돌 확률을 감소시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랜덤 액세스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제된 데이터 패킷의 수를 제어하는 위성 네트워크의 슬랏 예약 방식을 활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랜덤 액세스를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한 프레임 주기 동안 통신 채널을 수신하여 슬랏의 점유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빈 슬랏을 선택하고 각각의 빈 슬랏에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전송하는 단계; 복제된 데이터 패킷 중 다른 데이터 패킷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된 슬랏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슬랏 중 어느 하나를 예약 슬랏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아날로그 네트워크 코딩 기반의 위성통신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통신 방법은 위성 단말의 위성통신 방법에 있어서, 위성으로 전송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피더(feeder)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데이터와 상기 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데이터가 아날로그 네트워크 코딩된 중첩 신호를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 신호와 상기 수신된 상기 전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중첩 신호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피더에 구비된 전방향 안테나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피더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미리 설정된 이종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피더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아날로그 네트워크 코딩 방식을 이용한 다대다 위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파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신호를 이용한 위성통신 방법은 위성 네트워크 내의 보안국으로부터 보안 키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국과 상기 보안 키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위성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 또는 제1 위성 단말로부터 업 링크를 경유하여 전송된 전송 데이터와 상기 보안국으로부터 업 링크를 경유하여 전송된 상기 보안 키가 아날로그 네트워크 코딩된 중첩 신호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중첩 신호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해서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해서 다대다 통신 중에도 통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홉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홉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은, (a) 통신장애가 있음을 판단한 노드에서 통신장애에 관한 통보메시지를 일정 홉수 범위에 있는 이웃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이웃 노드에서 통신장애에 관한 통보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에서 상기 통보메시지에 기초하여 통신장애요소의 접근특성을 도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신장애요소의 접근특성에 기초하여 라우팅 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통신장애요소의 접근특성에 따라 통신장애가 예상되는 경로를 파악해 적응적으로 안정적인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도약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존 네트워크의 증가를 위한 그룹 기반의 주파수 도약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할당 방법은 전체 가용 채널 중 일부의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채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복수 개의 사용자 네트워크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그룹 중 하나를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네트워크들 각각이 주파수 도약 기법을 적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제1 채널 그룹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그룹 중 일부는 서로 간에 겹치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직교 채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그룹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직교 채널 그룹에 속하는 채널 그룹과 겹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는 비직교 채널 그룹을 형성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네트워크의 MAC계층에서 가상 슬롯을 이용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기적인 우선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할 때에 우선 콘텐츠 데이터의 QoS(Quality of Service)에 맞는 주기 간격으로 가상 슬롯을 할당하고, 우선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여 우선 콘텐츠 데이터의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송 지연변이(jitter)의 허용 범위를 고려하여 타 단말들이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우선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 또한 가상 슬롯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QoS를 보장하는 한편, 전체 네트워크의 스루풋(throughput)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교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드들로 구성된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계층 또는 라우팅 계층에서 통신의 교란이 이루어지는 통신 교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교란 지역 내의 제1 이웃노드가 정상적으로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다고 오인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펄스 주기를 도출한다. 이 때 본 발명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이웃노드를 확인하고자 하는 이웃노드 발견 메시지의 주기, 상태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펄스 주기를 도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측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기준국에서 위성항공중계국의 위치정보와 지상기준국의 위치를 수신국으로 전송하고 수신국에서 수신된 위성항공중계국의 위치정보와 지상기준국의 위치를 이용하여 수신국의 위치를 계산하는 측위 시스템, 측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 세계적 서비스 능력을 갖춘 중궤도 위성을 기반한 측위 시스템에 종속되는 것이 아닌, 지상기준국과 위성항공중계국을 활용하여 국가치안체계, 재난경보체계, 산업 인프라 네트워킹을 위한 능력을 지원하는 측위/상황정보 수집 통제를 위한 국방/안보/재난의 복합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독자적인 측위 시스템 구조 및 구현 기술을 개발 하는 것이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