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T 세포 에피토프가 삽입된 구제역 A형 재조합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제역 A형에 T 세포 매개-세포성 면역반응 유도가 가능한 3A 에피토프가 삽입된 구제역 A형 재조합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구제역 A형 바이러스에 대해 강력한 방어능을 갖는 재조합 구제역 바이러스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제역 발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마우스를 비롯한 소, 돼지 등의 우제류에서의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 동시유도를 통한 강력한 메모리 반응 유도와 안전하고 최적화된 아쥬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제역 발생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긴급백신으로써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우제류 동물에 안정화된 상시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및 이를 이용한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주 Flc-LOM-BErns를 세포간 교대연속배양하여 얻은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CSFV BErns attenuated C-P50), 이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 및 돼지열병 바이러스 야외 감염 돼지와 상기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접종 돼지의 혈청학적 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CSFV BErns attenuated C-P50은 종래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주의 문제점인 임신모돈에서의 유·사산 등의 부작용이 완화되었으므로 안전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은 미끼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돼지가 손쉽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주사제로만 사용되어 성질이 사나운 사육멧돼지 및 흑돼지들에게 백신 투여가 어려웠던 종래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청학적 감별방법을 통해 돼지열병 바이러스 야외 감염 돼지와, 상기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CSFV BErns attenuated C-P50로 접종된 돼지의 항원 및 항체를 감별할 수 있어 DIVA(differentiating infection in vaccinated animals)의 효과가 우수하다.
Abstract:
본 발명자들은 선천성 면역 반응 및 T 세포 소진 경로(exhaustion pathway)가 소에서 보다 돼지에서 더 많이 과발현되어, 적응성, 체액성 면역반응이 잘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강력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의 동시 유도 및 새로운 백신 보조제로서 T 세포 작용제를 사용하여 돼지에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의 개선을 위한 혁신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소와 돼지의 면역 반응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주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돼지에서 소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면역반응 및 백신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대표도} 도 8b
Abstract:
본 발명은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및 이를 이용한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주 Flc-LOM-BErns를 세포간 교대연속배양하여 얻은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CSFV BErns attenuated C-P50), 이를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 및 돼지열병 바이러스 야외 감염 돼지와 상기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접종 돼지의 혈청학적 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CSFV BErns attenuated C-P50은 종래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주의 문제점인 임신모돈에서의 유·사산 등의 부작용이 완화되었으므로 안전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은 미끼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돼지가 손쉽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주사제로만 사용되어 성질이 사나운 사육멧돼지 및 흑돼지들에게 백신 투여가 어려웠던 종래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백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청학적 감별방법을 통해 돼지열병 바이러스 야외 감염 돼지와, 상기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CSFV BErns attenuated C-P50로 접종된 돼지의 항원 및 항체를 감별할 수 있어 DIVA(differentiating infection in vaccinated animals)의 효과가 우수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재조합 바이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제역 2A 유전자의 삽입을 통해 돼지 인터페론 알파와 인터페론 감마를 동시에 발현시켜 돼지 인터페론 알파와 감마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하여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