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원은 HIF1-α단백질과 SET7/9 메틸트랜스퍼라아제 또는 LSD1 디메틸라아제의 상호작용을 표적으로하는 혈관신생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본원에 따른 방법에 의해 스크리닝된 물질은, 망막증 또는 항암제 등과 같은 혈관신생의 억제가 필요한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개발될 수 있다.
Abstract:
본원은 핵내에서 작용하는 CARM1-PONTIN-FOXO3a 신호전달체계를 표적으로 하는 자가포식 조절 방법, 또는 자가포식 조절제 스크리닝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에 따른 방법은 상기 기전 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수준에서 자가포식 조절 문제로 인한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원은 RORα가 장에서 NF-κB 전사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그 결과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기전에 근거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 스크르닝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에 따른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발굴된 후보물질은 염증 반응의 균형 유지를 통해 염증성 장 질환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에서 리신 특이적 디메틸라아제 1(Lysine Specific Demethylase 1, LSD1)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초기의 인산화 정도보다 증가된 것을 확인하는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시차 부적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원에서 규명된 기존에 독립적으로 알려진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두 히스톤 변형인 H2BK12의 아세틸화 및 H2BK120의 유비퀴틴화를 하나의 기능 단위로 작동하게 하는 PHF6의 에피제네틱 조절 기전을 표적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은 PHF6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질환 치료제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원은 PKCα-LSD1-NF-κB을 표적으로 하는 염증반응 조절제 스크리닝 방법을 개시한다. 과도한 염증성 자극에 반응하여, PKCα는 핵으로 이동하여 LSD1을 인산화 시킨다. LSD1 인산화는 p65 결합에 필요하며, p65의 탈메틸화를 촉진하여 p65 단백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원에 따른 방법은 PKCα 또는 LSD1 활성의 억제를 통해 패혈증을 포함한 전신성 염증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원은 PHF7의 히스톤3 유비퀴틴화를 표적으로 하는 정자 크로마틴 응축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 의해 규명된 물질은 히스톤 H3K14에 대한 PHF7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 BRDT의 전사 조절 기능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도, BRDT의 안정화를 방해함으로써 이의 농도를 감소시켜 히스톤 제거에 있어서 이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전을 통해 규명된 물질을 이용한 PHF7의 특이적인 억제는 남성 피임약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원에 따른 O-GlcNAcylation된 ULK1이 ATG14L과 결합하여 이의 인산화를 유도하는데 중추적이 역할을 하고, 이는 이어 VPS34의 활성화로 이루어져 이에 따라 PI3P의 증가로 인한 파고포어(phagophore) 형성과 자가포식작용의 개시로 이어지는 기전에 근거한 본원의 방법은 자가포식작용과 관련된 질병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의 표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ULK1 O-GlcNAcylation은 오토파고좀과 리소좀의 융합이 아닌 초기의 오토파고좀 진행에 기여함을 규명하여 초기 자가포식 작용 조절에 유용한 신약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원은 JAK2-STAT3- KDM3A 신호 전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방법은 KDM3A 인산화의 저해를 통해 악성 종양의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JAK2-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제어할 수 있어 효과적인 새로운 암 치료제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