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이동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이동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좌판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프레임의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지면과 접촉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패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중 다른 하나의 소정 부분에 마련되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이격부; 상기 제1이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며,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서로 이격되는 전개상태에서 상기 롤러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서로 근접하는 접철상태에서 상기 롤러 또는 상기 마찰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 또는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수의 의자를 편리하고 쉽게 설치, 철거 및 거치 할 수 있으며, 롤러 및 마찰패드의 내구성이 향상된 롤러 이동 접이식 의자가 제공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연석 조립체를 구비하는 모듈형 거더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연석 조립체를 구비하는 모듈형 거더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호 결합되는 복수개의 거더; 상기 거더 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강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기 강관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석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석 조립체는 상기 강관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결합하여 삽입공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석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형 연석 조립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체를 구비하는 모듈형 거더가 제공된다.
Abstract:
PURPOSE: A modular girder having a kerb assembl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eparate only the damaged assembly, thereby easily replacing and repairing the damaged assembly. CONSTITUTION: A modular girder (100) having a kerb assembly includes a girder (110), a steel pipe (120), and the kerb assembly (130). The multiple girders are mutually coupled, and are formed with precast concrete. The multiple steel pipes on the girder are mutually separated. The kerb assembly on the girder is formed with the precast concrete, and has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steel pipes are inserted. The steel pipe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kerb assembly, and a post member is mounted on the protruding part of the steel part. A guard fence is connected between the neighboring post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보에 강선재를 프리스트레싱 방식으로 매립하여 보수 및 보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보수 및 보강 방법은 보수 또는 보강할 보(G)의 본체(10)를 확인한 후 그 본체(10)의 해당 보수 또는 보강영역(E)을 표시하는 단계(S100); 보(G)의 본체(10)에 표시된 보수 또는 보강영역(E)을 따라 수용홈(20)을 형성하는 단계(S110); 보(G)의 본체(10)에 프리스트레싱 장치(50)를 설치하는 단계(S120); 강선재(30)를 본체(10)의 수용홈(20)에 배치한 후 그 강선재(30)의 양단을 프리스트레싱 장치(50)에 연결하는 단계(S130); 프리스트레싱 장치(50)의 유압잭(56)을 작동시켜 강선재(30)에 인장력을 가하여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단계(S140); 본체(10)의 수용홈(20)에 수용된 강선재(30)에 예정된 프리스트레스트가 인가되면 본체(10)의 수용홈(20)에 보호부재(40)를 압입하는 단계(S150); 및 보호부재(40)가 완전히 경화되면 프리스트레싱 장치(50)를 모두 제거한 후, 강선재(30)의 양단을 마무리하여 보수 및 보강을 완료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진다.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슈트로부터 보조슈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레미콘 차량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레미콘 차양용 슈트는, 레미콘 차량의 메인슈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보조슈트 포함하는 레미콘 차량용 슈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슈트 메인슈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메인슈트로부터 인출 연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태양의 고도각 변화에 따른 반사경의 회전 및 기울기 각도가 변하더라도 항상 일정하게 원하는 반사광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채광을 위한 광학계에서 태양으로부터 광량을 최대한 채광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채광용 가변길이 반사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중간의 고정반사경 상.하측에 상.하부 슬라이드 반사경이 슬라이드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반사경 유니트를 구성하고, 상기 반사경 유니트는 하부지지판에 의해 하부지지판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지지되며, 상기 하부지지판은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집광효율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레미콘 드럼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레미콘 차량의 차체 위에 고정되어 레미콘 드럼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수류공간을 유지하면서 상기 외주면을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수류공간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상기 레미콘 드럼을 냉각시키도록 되어 있는 물재킷을 구비하고 있는 레미콘 드럼 냉각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물재킷으로 주입되는 물로 레미콘 드럼을 냉각시켜 온도 상승으로 인한 레미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재킷에 의해 레미콘 드럼 냉각을 위해 주입되는 물의 냉각효율 및 사용 후 회수율을 높여 레미콘 드럼 냉각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현장 주변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레미콘, 드럼, 냉각, 물재킷
Abstract:
PURPOSE: A charging apparatus of a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and a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ultiply using time of the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by charging a sub-charge part for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CONSTITUTION: A button(110) for data input including character or number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a keyboard(100). A printed circuit board(400) i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keyboard. A piezoelectric element(200) i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transformed by pressure which is applied to the keyboard. A sub-charge part(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 controller secludes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sub-charge part when a signal which informs that charging of the sub-charge part is completed is input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