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허티 전력 증폭기(Doherty power amplifier)에 있어서, 제1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제2 전력 증폭기, 제1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 4-포트(4-port) 커플러(coupler), 및 부하 임피던스(load impedance)를 포함하고, 상기 4-포트 커플러는 제1 포트, 제2 포트, 제3 포트 및 제4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4-포트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4 포트를 통해 상기 4-포트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부하 임피던스는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4-포트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송 선로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와 상기 4-포트 커플러의 상기 제1 포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단일 수 있다.
Abstract:
도허티전력증폭기의부하네트워크를소형화하기위해서는전송선로가아닌집중소자들을이용하여구현할수 밖에없다. 하지만전송선로에비해상대적으로손실이크다는단점이있고인덕터를집적화하는데있어서매우제한적이다. 본명세서에따른도허티전력증폭기부하네트워크는집중소자들을최소한으로사용하므로매우단순한구조를가질수 있다. 부하네트워크에사용되는집중소자들을개수를매우줄일수 있으며, 특히손실에큰 영향을미치는직렬인덕터를사용하지않음으로써성능저하를최소화할 수있다. 이와같은구조는 N-way로의확장에있어서도쉽게응용될수 있다. 더불어제안하는단순한구조의도허티전력증폭기부하네트워크는최근스몰셀과같은초소형기지국시스템이나모바일디바이스용소형전력증폭기모듈에적용될수 있다. 또한무선에너지하베스팅을위한 RF 전력송신기에적용되어효율향상에기여할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락선 추적 전력 증폭 장치는 저레벨 모드와 고레벨 모드 중 어느 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전류 구동 능력이 가변하는 선형 증폭기 및 스위칭 증폭기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될 RF 신호의 포락선 신호로부터 포락선 변조된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멀티 모드 바이어스 변조기 및 포락선 변조된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되며, RF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안테나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도허티(Doherty) 증폭기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전력 증폭기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다중 병렬 전력 증폭기를 위한 동적 바이어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적 바이어스 공급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병렬 전력 증폭기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다중 병렬구조의 전력증폭기를 위한 다중의 분산형 동적 바이어스 스위칭 회로로 분산하여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연결 구조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성능 열화를 제거하여 전력증폭기 고 효율화와 고 선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동적 바이어스 공급장치, 다중 스위치 병렬 전력 증폭기, ET(Envelope Tracking), EER(Envelope Elimination & Restoration), Doherty 증폭기
Abstract:
PURPOSE: A reader of a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provided to efficiently remove a phase noise component in order to improve anti-collision performance. CONSTITUTION: A signal branch unit(307) applies a transmission signal to a transmitting antenna from a spurious wave removing filter. The signal branch unit receives a receiving signal of a wireless frequency ban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An extraction-signal controll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signal. The extraction-signal controlling unit controls the phase of the extraction signal.
Abstract:
PURPOSE: A frequency conversion mixer is provided to reduce malfunction by maintaining a constant voltage between the DC voltage of first and second oscillation signals and the DC voltage of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CONSTITUTION: A biasing circuit includes a voltage follower(31), a current source(32,33), and a first diode(34). The voltage follower detects the DC voltage of a first input signal. The current source is connected to a DC power source. A first diode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current source of the voltage follower. The first diode obtains the DC voltage which is constantly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voltage follower. The first diode is formed with a P-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The source of the P-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voltage follower. The gate and drain of the P-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전치 왜곡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코딕 알고리듬을 사용한 완전 파이프라인 구조의 디지털 전치 왜곡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어부와 다항식부를 파이프라인 형태로 구성하여 디지털 전치 왜곡기의 사용 면적을 줄임으로써 개발 비용 및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실시간으로 높은 선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코딕 알고리듬을 사용한 완전 파이프라인 구조의 디지털 전치 왜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왜곡하는 역함수의 계수를 환경에 따라 변경하여 비선형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코딕 알고리듬을 사용한 완전 파이프라인 구조의 디지털 전치 왜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코딕, 파이프라인, 계수, 디지털, 왜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