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와 비스테로이드 항염제 셀레콕시브 (celecoxib)가 전 처리된 연골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세포외기질 또는 세포외기질 내 세포외소포를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처리한 경우, 골관절염 모델에서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전 처리된 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 또는 세포외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로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판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성장판 재생용 조성물은 지지체없이 성장판 손상 부위의 골 가교를 억제하고 성장판 연골 조직으로 분화하여 손상 부위를 효과적으로 충전 및 재생시킬 수 있으며, 재생된 성장판 조직은 성장능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생체 조직에 적합하고 안전하며, 재현성 및 균질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둘레를 통해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일측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정 길이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지정 각도로 굴절 형성된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천공팁부를 포함하여, 상기 천공팁부로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골하골이 천공되면서 발생한 골조각은 천공팁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내부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천공의 내면에 골조각이 잔류하는 문제가 해소되어, 골수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해 연골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연골에서 분리된 연골세포를 단층으로 배양할 때 배양된 연골세포에서 분비되어 막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된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막을 이용한 신규한 신생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각막 또는 결막 이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생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각막 또는 결막 이식재는 혈관내피세포 부착 및 증식을 억제하고 혈관내피세포 이동을 저해함으로써 혈관 생성 및 혈관 침투를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이식 시 발생하는 면역반응을 억제/조절할 수 있는 태아연골유래 세포를 이용한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태아연골유래 세포는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오히려 활성화된 림프구의 증식을 억제하고, 상기 활성화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면역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제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고, 증식 능력과 다양한 세포조직으로의 분화능력이 성체줄기세포에 비해 월등하여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함께 이식 시 발생할 수 있는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조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관련 유전자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 접착성 및 결합력이 증가된 조직 유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CAN, CTGF 또는 EXT1을 삽입하여 발현이 증가된 태아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로 제작한 연골 조직 유합제 조성물은 상기 유전자가 삽입되지 않은 태아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로 제작된 연골 조직 유합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VCAN, CTGF 또는 EXT1을 발현 증가시킨 세포 조성물은 생체 조직 접착성 및 결합력이 증가된 조직 유합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VCAN, CTGF 또는 EXT1은 조직 유합제 첨가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막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in vitro에서 연골유래 세포외기질 소재에 대한 섬유세포의 부착효율이 낮고, 마우스를 이용한 피하유착 동물모델 및 랫을 이용한 장유착 모델에서 우수한 유착방지 효능을 보임을 관찰하였다. 또한 폴리-L-리신(poly-L-lysine; PLL)을 이용하여 본 소재의 표면 전하를 중성으로 개질할 경우 유착방지 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기질 소재를 이용하여 체내 안정성과 유착방지 효능이 뛰어난 유착방지제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손상 재생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GM-CSF는 GM-CSF 전장 유전자, GM-CSF 유전자 절편(subdomain), 상기 유전자들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 및 상기 유전자들을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골수이식술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또는 줄기세포이식술 (stem cell transplantation) 시술 시 이식물에 처리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이를 통해 상기 GM-CSF는 손상된 연골의 재생 치료제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연골조직 유래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척추 수핵 재생용 조성물, 추간판 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척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척추 수핵 재생용 조성물은 압축 및 인장강도 등 척추 수핵의 특징을 모사하여 이와 유사한 조직으로 재생될 수 있고, 상기 추간판 조직 재생용 조성물은 추간판 내에 이식되어 손상된 추간판 조직을 효과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척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추간판 탈출증 등과 같은 척추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인공 지지체 없이 연골로 사용에 적합한 크기의 3차원 조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조성물이 젤 형태로 투여 가능하면서도 높은 도포성과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여 부위의 연골결손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쉽게 이식이 가능하며, 숙주조직과의 높은 결합능을 보이면서 성숙한 연골조직의 표현형을 가짐으로써 연골재생 효능이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