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막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in vitro에서 연골유래 세포외기질 소재에 대한 섬유세포의 부착효율이 낮고, 마우스를 이용한 피하유착 동물모델 및 랫을 이용한 장유착 모델에서 우수한 유착방지 효능을 보임을 관찰하였다. 또한 폴리-L-리신(poly-L-lysine; PLL)을 이용하여 본 소재의 표면 전하를 중성으로 개질할 경우 유착방지 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기질 소재를 이용하여 체내 안정성과 유착방지 효능이 뛰어난 유착방지제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손상 재생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GM-CSF는 GM-CSF 전장 유전자, GM-CSF 유전자 절편(subdomain), 상기 유전자들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 및 상기 유전자들을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골수이식술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또는 줄기세포이식술 (stem cell transplantation) 시술 시 이식물에 처리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이를 통해 상기 GM-CSF는 손상된 연골의 재생 치료제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연골에서 분리된 연골세포를 단층으로 배양할 때 배양된 연골세포에서 분비되어 막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된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막을 이용한 신규한 신생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각막 또는 결막 이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생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각막 또는 결막 이식재는 혈관내피세포 부착 및 증식을 억제하고 혈관내피세포 이동을 저해함으로써 혈관 생성 및 혈관 침투를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이식 시 발생하는 면역반응을 억제/조절할 수 있는 태아연골유래 세포를 이용한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태아연골유래 세포는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오히려 활성화된 림프구의 증식을 억제하고, 상기 활성화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면역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제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고, 증식 능력과 다양한 세포조직으로의 분화능력이 성체줄기세포에 비해 월등하여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함께 이식 시 발생할 수 있는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조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인공 지지체 없이 연골로 사용에 적합한 크기의 3차원 조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조성물이 젤 형태로 투여 가능하면서도 높은 도포성과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여 부위의 연골결손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쉽게 이식이 가능하며, 숙주조직과의 높은 결합능을 보이면서 성숙한 연골조직의 표현형을 가짐으로써 연골재생 효능이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Abstract:
본 발명은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손상 재생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GM-CSF는 GM-CSF 전장 유전자, GM-CSF 유전자 절편(subdomain), 상기 유전자들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 및 상기 유전자들을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골수이식술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또는 줄기세포이식술 (stem cell transplantation) 시술 시 이식물에 처리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이를 통해 상기 GM-CSF는 손상된 연골의 재생 치료제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