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알려진 SARS-CoV의 RBD와 ACE2의 결합부위를 모사하는 펩타이드(P6)에 비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SARS-CoV2 RBD의 새로운 에피토프와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만들기 위해 아미노산을 구성하는 원자들 차원의 상호작용을 원천적으로 디자인한, 아미노산의 새로운 서열을 추가한 새로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RBD와 hACE2 사이의 기존에 알려진 결합 경계면의 후면에 있는 D420, K458의 전하를 띄는(Charged) 아미노산들과 추가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확장된 펩타이드를 독창적으로 디자인하여 기존 알려진 펩타이드 보다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펩타이드를 제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향후 COVID-19 치료제로서 높은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를 일으키는 SARS-CoV2의 신규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파이크(Spike) 단백질 S1-RBD와 hACE2 사이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는 중화 펩타이드(neutralization peptide) 단백질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RBD 구조 속에 존재하는 수많은 전하를 띈 아미노산들 중에서도 hACE2와 직접 상호작용하지는 않지만, 결합부위 근처의 배후에 존재하는 D420, R457, K458, E471 등을 RBD 표면의 새로운 에피토프로 발굴하였다. 상기 신규 RBD 에피토프는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중화 펩타이드와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본 발명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 치료제 단백질 CTP 알파, CTP 베타, CTP 감마, CTP 델타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알려진 SARS-CoV의 RBD와 ACE2의 결합부위를 모사하는 펩타이드(P6)에 비해, 본 발명의 치료제 단백질 CTP 알파, CTP 베타, CTP 감마, CTP 델타는 SARS-CoV2 RBD의 새로운 에피토프와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만들기 위해 아미노산을 구성하는 원자들 차원의 상호작용을 원천적으로 디자인한, 아미노산의 새로운 서열을 추가한 새로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RBD와 hACE2 사이의 기존에 알려진 결합 경계면의 후면에 있는 D420, K458의 전하를 띄는(Charged) 아미노산들과 추가적으로 상호작용하거나, R454, K458, D467, E471 등의 전하를 띄는(Charged) 아미노산들과 추가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확장된 치료제 단백질 CTP 알파, CTP 베타, CTP 감마, CTP 델타를 독창적으로 디자인하여 기존 알려진 펩타이드 보다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치료제 단백질 CTP 알파, CTP 베타, CTP 감마, CTP 델타를 제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치료제 단백질 CTP 알파, CTP 베타, CTP 감마, CTP 델타는 향후 COVID-19 치료제로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나타낸다.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 분비능을 갖는 플라노코쿠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카르테노이드 화합물을 분비하는 플라노코쿠스 속(Planococcus sp.) 균주에서 아스타잔틴을 분비하는 신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플라노코쿠스 속(Planococcus sp.) 균주는 아스타잔틴을 분비하는 신규 미생물로 사료, 식품첨가제, 화장료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cell scaffold, and more specifically, to a PLGA cell scaffold that is safe as it does not have cytotoxicity; includes the PLGA approved by U.S. FDA; and effectively solves a problem caused by an existing PLGA cell scaffold having reduced cell adhesion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