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公开(公告)号:KR100926520B1
公开(公告)日:2009-11-12
申请号:KR1020070106174
申请日:2007-10-22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배경 분리 및 영상분할을 이용한 양안/다시점 스테레오 정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양안/다시점 영상을 객체 및 배경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분된 영역별로 양안/다시점 영상을 영상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Segment)을 기반으로 스테레오 정합함으로써, 차폐 영역에 의한 오정합을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더욱 정확한 변이지도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객체/배경 분리 및 영상분할을 이용한 양안/다시점 스테레오 정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안/다시점 영상의 영역을 객체 영역 및 배경 영역으로 각각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양안/다시점 영상에 대한 객체 및 배경 분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영역 판단 수단; 상기 양안/다시점 영상을 유사 영역별로 영상분할하고, 상기 영상분할된 양안/다시점 영상과 상기 생성된 객체 및 배경 분리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 변이지도 및 배경 변이지도를 개별적으로 구하기 위한 변이 추정 수단; 및 상기 객체 변이지도와 상기 배경 변이지도를 합성하여 상기 양안/다시점 영상에 대한 장면 변이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변이지도 합성 수단을 포함한다.
변이지도, 다시점 스테레오 정합, 양안 다시점 영상, 3차원 영상 처리, 차폐영역, 객체 영역, 배경 영역, 영상분할, 오정합, 세그먼트 기반 스테레오 정합-
2.
公开(公告)号:KR1020080052363A
公开(公告)日:2008-06-11
申请号:KR1020070106174
申请日:2007-10-22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T7/194 , H04N2013/0092
Abstract: A binocular/multi-view stereo matching apparatus using object/background separation and image segmentation and a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classify a binocular/multi-view image acquired from a video device into an object region and a background region, segment the binocular/multi-view image according to the classified regions, and perform stereo matching on the basis of the segmented regions to reduce mismatching by a shielding region. A region judging unit(130) classifies and judges a region of a binocular/multi-view image into an object region and a background region, and generates object and background separation information for the binocular/multi-view image according to the judged result. A disparity estimating unit(140) segments the binocular/multi-view image according to a similar region, and separately obtains an object disparity map and a background disparity map by using the segmented binocular/multi-view image and the generated object and background separation information. A disparity map synthesizing unit(150) synthesizes the object disparity map and the background disparity map, and generates a scene disparity map for the binocular/multi-view image.
Abstract translation: 提供了一种使用对象/背景分离和图像分割的双目/多视角立体匹配装置及其方法,用于将从视频装置获取的双目/多视图图像分类为对象区域和背景区域,将双目/ 根据分类区域的多视点图像,并且基于分割区域执行立体匹配以减少屏蔽区域的失配。 区域判断单元(130)将双目/多视点图像的区域分类并判断为对象区域和背景区域,并根据判断结果生成双目/多视点图像的对象和背景分离信息。 视差估计单元(140)根据类似的区域分割双目/多视点图像,并且通过使用分割的双目/多视图图像和生成的对象和背景分离单独地获得对象视差图和背景视差图 信息。 视差图合成单元(150)合成对象视差图和背景视差图,并生成双目/多视点图像的场景视差图。
-
公开(公告)号:KR1020050007626A
公开(公告)日:2005-01-21
申请号:KR1020030047093
申请日:2003-07-11
Applicant: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IPC: G06T15/00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restoring a 3D(three-Dimensional) form using a graph cut is provided to restore a 2D brightness image to a 3D form information by utilizing an energy minimizing technique such as the graph cut. CONSTITUTION: A total energy function, formed by a brightness limitation condition and a smooth limitation condition from a 2D brightness image, is supplied to an energy minimizing part(202). A local energy minimizing value is found out by using a combinational energy minimizing technique of a graph cut in the total energy function, and thereby a normal vector of object surface is obtained(205). A 3D form of an object is restored by utilizing the normal vector of the object surface which is given to each pixel(207).
Abstract translation: 目的:提供一种使用图形切割恢复3D(三维)形式的方法,通过利用能量最小化技术(如图形切割)将2D亮度图像恢复为3D格式信息。 构成:通过亮度限制条件和来自2D亮度图像的平滑限制条件形成的总能量功能被提供给能量最小化部分(202)。 通过使用在总能量函数中切割的图形的组合能量最小化技术来发现局部能量最小化值,从而获得物体表面的法向矢量(205)。 通过利用给予每个像素(207)的对象表面的法向量来恢复对象的3D形式。
-
公开(公告)号:KR100511718B1
公开(公告)日:2005-09-02
申请号:KR1020030047093
申请日:2003-07-11
Applicant: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IPC: G06T15/00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프 컷을 이용한 3차원 형상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2차원 밝기 영상으로부터 밝기 제약 조건과 평탄화 제약 조건으로 구성시킨 전체 에너지 함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전체 에너지 함수를 그래프 컷이라는 조합적 에너지 최소화 기법을 사용하여 국소적 에너지 최소화 값을 찾아내어 물체 표면 법선 벡터를 얻어내어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각 픽셀마다 주어진 표면 법선 벡터를 사용해서 물체의 3차원 형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체의 자세한 특성들은 복원할 수 있으며, 기존 광역적 방법의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내지만 수행 시간이 길다는 단점과, 국소적 방법의 빠른 결과를 낼 수 있지만 전체적인 오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