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14163421A1
公开(公告)日:2014-10-09
申请号:PCT/KR2014/002912
申请日:2014-04-04
Applicant: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N33/66 , G01N2030/8822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N-당쇄 지도, 인간 혈청 N-당쇄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혈청시료 200여 개로부터 당쇄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인과 환자 모두에게서 100% 발견되는 18개의 기본 당쇄를 찾아내었다. 이 기본 당쇄 18종의 존재는 인간 혈청시료가 채취 및 처리과정에서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a, 3b, 3c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人血清N-糖链图,人血清N-糖链文库,以及使用其进行血清样品检测的方法。 通过分离和分析来自正常受试者和患者的200多个血清样品的糖链的结果,确定了在正常受试者和患者的100%中发现的18个基本糖链。 这些18种类型的碱性糖链的存在可用于验证在人血清样品的收集和处理过程中没有问题。 此外,本发明人证明,尽管人血清蛋白的N-糖链具有大量理论上可能的糖链类型,但是仅有如图1所示的结构。 对于实际的N-糖链,3a,3b和3c是存在的。 此外,通过确定现有结构的N-糖链的出现百分比,本发明人证明,出现概率低的N-糖链可用作特定疾病的标记物。
-
公开(公告)号:KR1020140120651A
公开(公告)日:2014-10-14
申请号:KR1020130036748
申请日:2013-04-04
Applicant: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N33/66 , G01N2030/8822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N-당쇄 지도, 인간 혈청 N-당쇄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혈청시료 200여 개로부터 당쇄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인과 환자 모두에게서 100% 발견되는 18개의 기본 당쇄를 찾아내었다. 이 기본 당쇄 18종의 존재는 인간 혈청시료가 채취 및 처리과정에서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人血清N-糖链图,人血清N-糖链文库,以及使用其进行血清样品验证的方法。 通过分离和分析来自正常受试者和患者的大约200个血清样品的糖链的结果,确定了在正常受试者和患者的100%中发现的18个基本糖链。 这些18种碱性糖链可用于验证在人血清样品的收集和处理过程中没有问题。 此外,本发明人发现,尽管人血清蛋白的N-糖链包括大量理论上可能的糖链,但实际上仅存在如图3所示的结构。 此外,本发明人确定具有现有结构的N-糖链的出现百分比,从而发现具有低出现概率的N-糖链可用作特定疾病的标记物。
-
公开(公告)号:KR101456096B1
公开(公告)日:2014-11-03
申请号:KR1020130036748
申请日:2013-04-04
Applicant: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N33/66 , G01N2030/8822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N-당쇄 지도, 인간 혈청 N-당쇄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혈청시료 200여 개로부터 당쇄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인과 환자 모두에게서 100% 발견되는 18개의 기본 당쇄를 찾아내었다. 이 기본 당쇄 18종의 존재는 인간 혈청시료가 채취 및 처리과정에서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