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비드 고정화 (Bead Immobili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N-당쇄와 O-당쇄가 동시에 존재하는 당단백질에서 O-당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 및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N-당쇄와 O-당쇄가 모두 존재하는 당단백질을 비드에 고정시키고 N-당쇄만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특이적 효소인 PNGase F를 이용하여 N-당쇄를 제거한 후 β-제거 (β-elimination)를 통해 O-당쇄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파괴적인 O-당쇄 분리방법은 다양한 당단백질에서 O-당쇄 분석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타액 특이적 당사슬을 이용하여 인간 타액을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타액을 비롯한 인간 체액들과 쥐 타액 등을 대상으로 N-당사슬을 분리 및 정제하여 질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간 타액에는 네 개 이상의 퓨코스를 포함하는 고퓨코실화 N-당사슬이 50% 이상 함유되어 다른 인간 체액이나 다른 동물의 타액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어, 법의학 분야 등에 응용할 수 있다.
Abstract:
과제: 단백질의 당쇄화는 체내외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진단시스템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사슬을 이용한 질병진단 방법은 매우 효율적이나, 당사슬을 분리하여 진단에 사용할 경우 시료 전처리, 질량분석 및 데이터 처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원하지 않는 인공조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해결수단: 이를 최소화하고자 당쇄화된 단백질을 있는 그대로 분석하여 암진단에 적용하는 새로운 암진단 분석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다량체 구조의 햅토글로빈의 이황화 결합을 절단하여 알파 사슬과 베타 사슬로 분리한 후 전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베타 사슬의 당쇄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당사슬을 분리하지 않고 이황화 결합 절단이라는 최소한의 전처리만 수행한 후 10분 이내의 짧은 질량분석시간 소요 및 신속한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단백질의 당쇄화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질병진단시 빠르고 정확한 진단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미량의 혈액 시료에서 면역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당사슬의 조성과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퇴행성 질환인 골관절염을 진단하는 방법 및 그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초로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N-당쇄 지도, 인간 혈청 N-당쇄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혈청시료 200여 개로부터 당쇄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인과 환자 모두에게서 100% 발견되는 18개의 기본 당쇄를 찾아내었다. 이 기본 당쇄 18종의 존재는 인간 혈청시료가 채취 및 처리과정에서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a, 3b, 3c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글라이콤 지도 및 이를 이용하여 난소암 환자의 혈청 시료를 검증하여 얻어진 인간 난소암 마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N-당쇄 지도, 인간 혈청 N-당쇄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혈청시료 200여 개로부터 당쇄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인과 환자 모두에게서 100% 발견되는 18개의 기본 당쇄를 찾아내었다. 이 기본 당쇄 18종의 존재는 인간 혈청시료가 채취 및 처리과정에서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