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탄소와 금속 초박막이 코팅된 전도성 단결정 실리콘 입자, 이를 포함하는 고용량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이 제시된다. 3(III)족 및 5(V)족 원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가 도핑된 전도성 단결정 실리콘 입자; 상기 전도성 단결정 실리콘 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금속 박층; 및 상기 금속 박층에 적층되어 코팅된 고전도성의. 탄소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단결정 실리콘 입자와 상기 탄소 코팅층의 사이에 미세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이 형성된 센서기판 및 상기 전극이 형성된 센서기판 상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박층의 센서소재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센서는 센서소재가 미세한 나노입자들로 구성된 금속산화물 박층으로 형성되어, 매우 큰 금속산화물 비표면적을 가지며 다공성이므로, ppb 레벨의 높은 감도(Sensitivity)와 우수한 반응속도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센서는 상온에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사 시간의 조절을 통해 센서소재의 두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박막 또는 후막 가스센서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합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비정질 탄소나노섬유와, 이를 분쇄하여 얻어진 구리를 포함하는 입자의 표면 전부 또는 일부가 비정질 탄소로 코팅되고 있는 구리복합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용액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비정질 탄소나노섬유는 구리 나노입자 또는 구리합금 나노입자인 구리를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구리복합 나노입자는 구리를 포함하는 입자의 표면 전부 또는 일부가 비정질 탄소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비정질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은 (a) 용매에 고분자 및 Cu 전구체를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용액을 방사하여 상기 고분자 및 상기 Cu 전구체를 포함하는 복합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합 나노섬유를 열처리하여, 상기 고분자가 탄화되고, 상기 Cu 전구체로부터 핵생성 및 성장하여 형성된 구리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비정질 탄소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금속 또는 금속염 전구체를 추가로 용해시켜 구리합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비정질 탄소나노섬유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구리복합 나노입자 분산용액 제조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정질 탄소나노섬유를 용매 속에서 초미분쇄하여, 구리를 포함하는 입자의 표면 전부 또는 일부가 비정질 탄소로 코팅되어 있는 구리복합 나노입자가 상기 용매 내에 침전 및 뭉침 없이 균일하게 분산된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율이 높은 이트륨옥사이드(Y 2 O 3 )를 함유하는 잉크젯 프린트용 유전잉크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잉크 조성물은 폴리머 기질 내에 높은 유전상수와 낮은 누설전류값을 갖는 이트륨옥사이드(Y 2 O 3 )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 잉크젯 프린트용 유전잉크의 유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잉크 조성물은 우수한 유전율을 갖는 인쇄소자용 유기 절연막 소재의 개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트륨옥사이드, 잉크젯 프린트, 유기 절연막, 유전잉크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상이한 2종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과 금속,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복합 산화물 형성용 전구체 1종 이상을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방사용액을 방사시킨 후 열처리함으로써, 금속,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복합 산화물의 나노입자가 최밀 충진되어 균일한 섬유 형상과 함께 우수한 구조적, 열적 및 기계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고분자 혼합물, 방사, 열처리, 나노섬유, 금속, 금속산화물, 금속 복합 산화물
Abstract:
PURPOSE: A nanofiber having a hollow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btain a micro tube shape of the metal or the metal oxide nanofiber by using different two kinds of mixed solvents with different boiling points in a spinning solution. CONSTITUTION: The nanofiber having a hollow structure is combined and filled with a nanoparticle(11a) of the metal or the metal oxide or a nanograin. The tube shaped hollow structure is formed and included by a porous network.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having a hollow structure includes following steps. More than one kind of a metal precursor or a metal oxide precursor and a polymer are put into more than two kinds of a mixed solvent with different boiling points, and are radiated. A composite fiber is obtained.(b) The composite fiber is dried, and the mixed solvent is volatilized successively.(c) The composite fiber is heat-treated, and the polymer inside of the composite fiber is eliminated. The metal precursor or the metal oxide precursor is reduced or oxidized. The nano particle or the nano grain is formed.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체 상면에, 금속전구체가 함유된 고분자 혼합용액을 방사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고, 열 압착 또는 열 가압한 후,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제조된 다공성 도체금속산화물 막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막은 나노그레인(nano-grain)/나노입자(nano-particl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공성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고, 특히 기계적, 열적,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상기 다공성 도체금속산화물 막 표면에 도체금속산화물의 코팅층을 형성한 전극은 전기전도 특성이 우수하여 수퍼캐패시터 등의 전극재료에 적용이 가능한 다공성 도체금속산화물 전극에 관한 것이다. 도체금속산화물 막, 나노섬유, 나노그레인, 나노입자 네트워크, 수퍼캐패시터, 전도성 전극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preparing porous polymer film is provided to simply prepare a porous polymer film for templates with desired porous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nd the size, and to insure independent properties of each pore. CONSTITUTION: A method of preparing porous polymer film using phase invers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forming a polymer film by coating a substrate with a polymer solution including polymer, solvent and co-solvent; forming a porous polymer film by performing phase inversion through dipping the substrate with a polymer film into a non-solvent solution; and opening the pore structure by etching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ous polymer film; and additionally, coating the surface of the porous polymer film with hydrophilic poly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