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non-medium microorganism fuel cell without a cation exchange membrane is provided, to allow the fuel cell to be operated without using an expensive cation exchange membrane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efficiency for treating the waste water. CONSTITUTION: The non-medium microorganism fuel cell has no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part; a negative electrode part; a glass wool and a glass bead separating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a negative electrode part; a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a device for supplying waste water to the negative electrode part. Preferably the non-medium microorganism fuel cell comprises further a distance control devi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Preferably the electrode of the positive electrode part uses a carbon nonwoven or a metal-coated carbon nonwoven.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연료전지형 BOD 계측기에 유입되는 시료에, 질산염환원 미생물의 질산염환원과 호기성 미생물의 산소 호흡을 저해하는 저해제를 첨가하는 단계(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저해제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형 BOD 계측기의 성능 향상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S1 단계는, 상기 저해제로서, 시아나이드 및 아자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호흡저해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S1 단계는, 상기 시아나이드 및 아자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호흡저해제를 염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흡저해제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형 BOD 계측기의 성능 향상 방법에 따르면, 미생물 연료전지 형태의 BOD 센서에 유입되는 측정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분위기로 전처리 하거나, 질산염, 아질산염을 별도로 제거하여야 하는 전처리가 없이도, 정확하게 시료의 BOD를 측정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연료전지형 BOD 계측기에 유입되는 시료에, 질산염환원 미생물의 질산염환원과 호기성 미생물의 산소 호흡을 저해하는 저해제를 첨가하는 단계(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저해제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형 BOD 계측기의 성능 향상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S1 단계는, 상기 저해제로서, 시아나이드 및 아자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호흡저해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S1 단계는, 상기 시아나이드 및 아자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호흡저해제를 염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흡저해제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형 BOD 계측기의 성능 향상 방법에 따르면, 미생물 연료전지 형태의 BOD 센서에 유입되는 측정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분위기로 전처리 하거나, 질산염, 아질산염을 별도로 제거하여야 하는 전처리가 없이도, 정확하게 시료의 BOD를 측정할 수 있다. 미생물연료전지, BOD, 호흡저해제, 시아나이드, 아자이드, 질산염, 산소
Abstract:
Disclosed is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comprising a cathode compartment, an anode compartment, with or without glass wool and glass bead for separating the two compartments, an element for feeding air to the cathode compartment, and an element for feeding wastewater to the anode compartment. The cell further comprises an element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thode compartment and the anode compartment. Graphite felt or graphite felt coated with a metal such as platinum is used as an electrode of the cathode compartment, and a buffer solution is used in the anode compartment.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without using an expensive cation-exchange membrane, of which efficiency is by no means inferior to prior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저농도 BOD 계측기용 미생물연료전지는, 호소 및 상수원의 저농도 BOD를 계측하기 위한 바이오센서로 이용되는 미생물연료전지로서, 양극, 음극, 이들 양극 및 음극의 전도매체 및 이들 두 극 사이의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양극은 산소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백금 또는 구리로 이루어진 전극이고, 상기 이온교환막의 막면적은, 음극부에서 양극부로 확산되는 수소이온이 제한인자로 작용하지 않도록, 최대 BOD 제거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되는 시간당 수소이온의 양을 막을 통한 수소이온의 전달 속도로 나눈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저농도 BOD 계측기는, 상기의 저농도 BOD 계측기용 미생물연료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PURPOSE: A microbial fuel cell for a low concentration BOD meter, its operation method, its high density cultivation and a low concentration BOD meter using the microbial fuel cell are provided, to improve sensitivity, precision, 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even at low concentration by decreasing the area of an ion exchange membrane fro reducing the diffusion of oxygen. CONSTITUTION: The microbial fuel cell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their conductive mediate,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is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 affinity to oxygen. Preferably the metal having a high affinity to oxygen is platinum or copper. Preferably the membrane area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hydrogen ion generated per time with the transmission velocity of hydrogen ion through a membrane based on the maximum BOD removing velo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