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파라미터 측정에 기초한 이차전지 거동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 거동 예측 시스템은, 시험 대상의 이차전지 셀과 연결되어 상기 이차전지 셀의 동작을 제어하여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성능, 발열 및 열화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정보를 산출하는 파라미터 테스터, 및 상기 파라미터 테스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한 거동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 셀의 성능, 발열 및 열화에 대한 거동 정보를 예측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LPSCl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리튬 폴리설파이드(Li2Sx, 여기서 2≤x≤8)를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1 용액에 P2S5를 혼합하여 Li3PS4+y (여기서, 02S와 LiX(X=Cl, Br 또는 I)을 혼합한 제3 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d) 혼합된 용액을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계 나노복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메탄올계 용매 분위기에 위치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실리콘계 와이어를 장착하고, 고전압 펄스방전을 통해 실리콘계 나노입자가 분산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용액의 실리콘계 나노입자와 이종재료를 복합화하여 실리콘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계 나노복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실리콘계 나노복합 음극 활물질을 리튬이차전지에 사용함으로서 고용량 특성의 실리콘계 나노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이종재료에 의해 전자전도와 리튬이온전도를 향상시키고 충방전에 따른 활물질의 부피팽창을 완충함으로써 전지의 용량과 충방전 싸이클 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금속이온 전도성 칼코게나이드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체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알칼리금속 함유 물질, 알칼리금속을 이온화하여 이온과 전자를 전달하는 전달촉매, 칼코겐 원소, 주기율표 2 내지 15족 및 17족 중 하나 이상의 원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칼리금속이온 전도성 칼코게나이드계 고체전해질 원료를 극성 비양자성 용매에서 반응시켜, 알칼리금속 함유 물질로부터 이온과 전자가 칼코겐 원소로 전달되면서 생성되는 알칼리금속 폴리칼코게나이드를 매개로 하여 알칼리금속이온 전도성 칼코게나이드계 고체전해질 전구체가 현탁, 용해 또는 이들의 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구체 용액으로부터 알칼리금속이온 전도성 칼코게나이드계 고체전해질 전구체를 분말 형태로 회수하는 단계; 알칼리금속이온 전도성 칼코게나이드계 고체전해질 전구체 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a) 리튬황(Li2S), 황(S), 황화인(P2S5), 염화리튬(LiCl)을 혼합하여 고체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고체 전해질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교반한 용액을 건조 및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LPSX계 고체전해질의 원료인 황화리튬(lithium sulfide, Li 2 S), 황화합물(sulfur compound), 리튬화합물(lithium compound)을 5 내지 40시간 동안 습식 기계적 밀링을 통해 혼합하여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140 내지 200℃에서 열처리하여 리튬이온전도도가 높은 유리결정질의 고체전해질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원료의 조성, 기계적 혼합, 열처리 온도 등 제조 조건을 조절하여 결정질과 유리결정질이 적절하게 혼재하게 함으로써 비정질 상태 또는 결정성이 높은 상태보다 이온전도도가 높은 유리결정질의 고체전해질 재료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출원은 디지털트윈 장치 및 디지털트윈 기반의 배터리 온도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배터리 온도감시방법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부터 배터리 유닛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유닛에 대응하는 디지털트윈에 상기 실시간 상태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 내부에 대한 온도분포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BMS로부터 요청받은 가상측정지점에 대한 가상온도값을 상기 BMS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의 단락 특성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지의 충전상태(SOC)에 따른 고유 특성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전지의 단락 시, 상기 도출된 전지의 고유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지의 단락에 대한 온도 변화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온도 변화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지의 단락에 대한 전압 및 전류 변화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다이아몬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있어서, 액체가 담긴 챔버 내의 전극부(Electrodes)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소재(Carbon material)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이격되어 전극부(Electrodes)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소재 또는 도전재(Conductive material)의 제2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극부에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여 액중 전기폭발에 의한 충격파 및 전자기적 힘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간의 충돌을 통해 나노 다이아몬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탄소재 간 또는 탄소재와 도전재 간의 전자기적인 힘에 의한 가속 충돌과 전기폭발에 의한 충격파를 서로 충돌시켜 나노 다이아몬드를 생성가능하며, 생성된 나노 다이아몬드는 정제 및 분산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소재 잔여물로부터 순수한 나노 다이아몬드를 분리하기 용이하며, 서로 뭉치지 않고 분산된 나노 다이아몬드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의 표면에 나노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고전계 양극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해액 내에 금속 양극과 상대전극을 침지하고 금속을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시켜 표면에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양극산화장치에 있어서, 전해액 중의 금속 양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일정 패턴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극 및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제어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고 전류치에 따라 전해질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전류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반응속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계 양극산화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전계 양극산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금속의 급속한 용해나 산화막의 절연파괴에 의한 나노구조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구조체의 성장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노구조체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