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페어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는 장치의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먼저, 제1 장치가 페어링이 요청된 제2 장치의 보안 코드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장치의 보안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장치가 제2 장치의 밀리미터파 대역 통신을 지시하는 활성화 명령, 장치 ID 및 제2 장치의 보안 코드를 RFID 통신을 통해 제2 장치에 전송한 후, RFID 통신을 통하여 제2 장치로부터 밀리미터파 대역의 통신 준비가 완료됨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장치가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는 장치의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용이하고 편리하게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도래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수신단을 동기화하기 위한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생성부,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요소 중 3개를 선택하고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에 따라 상기 안테나 요소와의 연결을 절체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호 상관을 구하기 위해 상기 두 신호를 믹싱하는 믹서부 및 상기 믹싱된 신호에서 위상차 또는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배열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의 도래각을 계산하는 방향탐지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 출력에서 선형성을 만족시키면서, 최대 사용빈도를 갖는 영역에서 효율을 증대시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저소비 전력 시스템에서의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증폭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피던스 정합시키기 위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부; 상기 입력 임피던스 정합부를 경유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출력 증폭부 및 저출력 증폭부; 상기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고출력 증폭부 및 저출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증폭기 제어부; 상기 고출력 증폭부 및 저출력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임피던스 정합시키기 위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부; 및 상기 저출력 증폭부에 가변적인 동작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다이나믹 전압 공급부를 포함를 포함하되, 상기 고출력 증폭부는 선형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저출력 증폭부는 최대 사용 빈도 영역에서 효율이 높으며 비선형 특성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라, 최대 출력에서 선형성을 만족시키면서, 최대 사용빈도를 갖는 영역에서 효율을 증대시켜 휴대기기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력증폭기, 이동통신 단말기, 임피던스 정합부, 증폭기 제어부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ultra power-saving mode in a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ultra power-saving mode to inactivate the call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If the user of a mobile terminal selects ultra power-saving mode(303), the control part of the mobile terminal inactivates the call function(305). Then the control part extracts "k", a DRX(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length coefficient(307). Also the control part determines "Ni", a class specific DRX cycle length coefficient depending on a preappointed value(309). The control part replaces k1 with Ni in order to modify a paging response cycle(311). The control part periodically responds to paging signals according to Ni(313).
Abstract:
A low-complexity and low-power consumption turbo decoder using a variable scaling factor is provided to decrease the power consumption rate by reducing the average number of iterative decoding times. A low-complexity and low-power consumption turbo decoder using a variable scaling fa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component decoders(210,230) for iteratively decoding bits encoded by a turbo code according to the variable scaling factor; an initial stop judging unit(250) for checking an SDR(Sign Difference Ratio) value and variably restricting the number of iterative decoding times according to the SDR value; and a variable scaling factor calculating unit(260) for calculating the variable scaling factor in each decoding convergent region according to the SDR value.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형 RFID 태그의 저전력 디지털 회로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동형 RFID 태그의 디지털 회로부를, 명령어 수신에서부터 명령어 분석 및 실행, 그리고 응답 신호를 생성하기까지 데이터 흐름에 따라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 각 블록이 순차적으로, 그리고 그 블록에 최적화된 클럭으로 동작하도록, 각 블록의 클럭을 공급하는 수동형 RFID 태그의 디지털 회로부 구조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형 RFID 태그 디지털 회로부의 각 블록들을 서로 다른 시간에 동작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하드웨어가 줄어 전체 소모되는 파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RFID, RFID 태그, 가변 클럭, 저전력, 디지털
Abstract:
A digital-controlled circulator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ecure convenience for high integration in an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 Circuit) or an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 Circuit) form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being composed of lumped elements such as an inductor, a resistor, and a capacitor. In a digital-controlled circulator, first and second variable inductors(311,312) are connected between a first terminal(P1) and a second terminal(P2) in series. Third and fourth variable inductors(313,314)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P1) and a third terminal(P3) in series. A variable resistor(320) is connected between a first node(N1) and a second node(N2), wherein the first node(N1) is a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inductors(311,312). The second node(N2) is a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and fourth variable inductors(313,314). First, second, and third variable capacitors(331,332,333)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P1), the first node(N1), and between the second node(N2) and a ground respectively. A logical control unit(350) provides a control value for varying each value of the first to the fourth variable inductors(311,312,313,314), the variable resistor(320), and the first to the third variable capacitors(331,332,333).
Abstract:
본원발명의 패킷구조는 초광대역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PLCP 프리앰블과 프레임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PLCP 프리앰블은 프리앰블, 싱크워드 및 채널추정시퀀스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PLCP 프리앰블 중 채널추정시퀀스와 프레임 페이로드는 OFDM 변조된 심볼로 구성되고, PLCP 프리앰블 및 싱크워드는 OFDM 변조가 아닌 다른 변조 방식, 예컨대 BPSK 변조, QPSK 변조, DBPSK 변조 또는 DQPSK 변조에 의해 변조된 심볼로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속 푸리에변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직렬구조와 병렬구조를 적절히 혼합하여 고속으로 신호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조를 단순히 할 수 있어 하드웨어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직렬로 입력되는 복수의 신호를 소정 개수의 부집합으로 그룹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신호처리부, 상기 제1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부집합 각각에 대하여 레딕스 알고리듬에 따라 제 1 버터플라이 연산을 병렬 수행하는 복수의 변환처리부, 상기 복수의 변환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각각에 대하여 제 2 버터플라이 연산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병렬로 출력되는 신호를 직렬로 변환하는 제 2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1 신호처리부, 상기 복수의 변환처리부,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고속 푸리에 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OFDM, 푸리에, 변환, 버터플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