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bio-signal transmitting device, a bio-signal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ffer the information of a user about a physical state, degree of urgency, and location. CONSTITUTION: A bio-signal monitoring system (100) includes a bio-signal transmitting device (1100), receiving device (1200), and monitoring server (1300). The bio-signal transmitting system measures and analyzes a big-signal and transmits the analyzed bio-signal and first identification data. The receiv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receiver, and each receiver transmits the data sent by the bio-signal transmitting device and second identification data. The monitoring server analyzes the data received by each receiver, and identifies the location and physical state of a user. The first identification data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and a bio-signal identific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data includes a receiver identification. [Reference numerals] (1100) Bio-signal transmitting device; (1200) Receiving device; (1300) Monitoring server
Abstract:
운동량 측정 장치, 운동량 관리 시스템 및 운동량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운동량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부; 미리 정의된 주기마다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으로부터 주기별 운동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주기별 운동 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저장된 상기 주기별 운동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활동량, 소비 칼로리, 이동 통신 단말기, 건강 관리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생체신호 검출모듈 및 이를 포함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의복의 내측에 각종 생체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전도성이 좋은 건성전극으로 구현된 측정전극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모듈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측정전극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안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전극으로부터 검출된 각종 생체신호를 무선으로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간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착용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생체신호 검출모듈, 건성전극, 측정전극수용체, 탄성부재, 생체신호 처리모듈, 제어부, 무선통신부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 positive/negative intention using a brain wave is provided to discriminate a positive/negative intention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an output according to the time of a brain wave in a general computing environment, and by using a synchronization of the brain wave measured from the left/right brain. CONSTITUTION: A brain wave detection unit(21) detects a brain wave of left/right brain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subject's head. A brain wave signal amplification unit(22) amplifies a brain wave signal detected from the brain wave detection unit(21). An analog/digital signal conversion unit(23) converts the brain wave signal amplified from the brain wave signal amplification unit(22) into a digital signal. A brain wave analysis unit(24) obtains an increase/decrease variable according to an output analyzed from the brain wave analysis unit(24) and a time of synchronization. A positive/negative intention discrimination unit(25) discriminates a positive/negative intention on the basis of the output and the increase/decrease variable.
Abstract:
VI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기술을 이용한 디지탈 프로세서 설계에서, 신경망 전용 프로세서의 구현 또는 신경망 전용 병렬 프로세서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산의 파이프라인 동작을 위해서 분리된 메모리 구성(WM,XM)을 갖는 메모리 및 범용 레지스터 블럭(10), 프로그램 메모리 및 제어 블럭(11),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기 블럭(12) 및 프로세서 간 통신을 위한 통신 블럭(13)의 4개의 블럭; 그리고 프로그램용 버스(14)와 데이타용 버스(15)로 분리된 형태의 버스(BU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현재의 디지탈 방식의 VLSI 기술을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하드웨어(칩)를 안정성있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망 시스템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프로세서들을 소정의 영역에 격자 구조로 정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정렬되어진 프로세서를 각각 가로 또는 세로방향로 가장 인접한 다른 임의의 프로세서와 데이타 통신을 위한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신경망 시스템을 제공하면, 프로세서 보드의 갯수와 시스템의 프로세서 병렬 구조를 변환시키면서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신경망 모델의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신경망 모델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PURPOSE: A meal plate for appropriate feeding behavior and meal quantity management is provided to manage the health of a user in various points of view. CONSTITUTION: A meal plate for appropriate feeding behavior and meal quantity management comprises a container receiving unit, an input unit(120), a measuring unit(170), a controller(310), a storage unit(320), and a communication unit(330). A plurality of container receiving units is formed in order to receive containers containing food. The kind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measuring unit is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receiving unit. The storage unit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food measured in the measur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food to a user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해 뇌파의 시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사람의 긍정 또는 부정의 의사를 알아내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적어도 두 곳 이상으로부터 피검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뇌파에 혼입되어 있는 잡파를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피검자가 인지적 긍정/부정의 의사 결정을 내렸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d) 상기 피검자가 인지적 긍정/부정의 의사 결정을 내린 경우, 상기 뇌파의 시공간적 특징을 나타내는 동기율(synchronization rate), 편향성(polarity) 평균, 편향성 요동폭, 상호상관도(cross-correlation), 및 정규화된 상호상관도(normalized cross-correlation) 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e) 이미 학습이 되어 있는 인공신경회로망에 상기 (d) 단계에서 계산된 변수들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긍정/부정 의사를 분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