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GaAs MMIC 디지털직병렬변환기를구현함에있어서 D 플립플롭의동작이보다안정적으로수행되게하여회로의오동작을최소화하도록하는디지털직병렬변환기및 이를이용한 GaAs MMIC를제시한다. 제시된디지털직병렬변환기는입력받은 TTL의클럭신호와직렬데이터및 로드신호를 DCFL 신호로바꾸는변환부, 변환부를통해입력받은직렬데이터를변환부를통해입력받은클럭신호에의해다음단의 D 플립플롭에게로이동시키고다음단의 D 플립플롭의직렬데이터를변환부를통해입력되는로드신호에의해출력하는복수의 D 플립플롭, 및복수의 D 플립플롭으로부터직렬데이터를입력받아상보신호를생성하여출력하는복수의버퍼를포함한다.
Abstract:
신호의 위상을 천이하는 위상 천이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 천이기는 입력 신호를 위상이 다른 복수의 신호로 분리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신호의 크기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복수의 부하로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신호가 상기 복수의 부하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반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입력 신호와 미리 정해진 위상차를 갖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안테나는 복수 개의 제1 케이블들을 교차함으로써 구획되는 복수의 격자들을 포함하는 곡면 모양의 전면 네트 및 복수 개의 제2 케이블들을 교차함으로써 구획되는 복수의 격자들을 포함하는 곡면 모양의 후면 네트; 상기 전면 네트 아래에서 상기 전면 네트에 있는 복수의 격자들을 덮는 메시; 상기 메시 위에서 상기 전면 네트의 절점들 각각을 덮고, 상기 전면 네트의 절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케이블들 각각을 수용하는 절점 커버; 상기 전면 네트의 절점들 각각으로 인한 돌출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메시 아래에서 상기 메시 위에 있는 상기 절점 커버와 결합하는 절점 몸체; 및 상기 절점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후면 네트와 상기 전면 네트 사이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타이들 각각과 연결되는 텐션 타이 연결부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 CMOS switch for switching a high frequency band and switching isolation enhancing method are provided to enhance isolation features, thereby enhancing the operating features in a microwave band or a band whose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microwave band. CONSTITUTION: A serial switching unit configures an SPDT switch by first and second CMOS switches(304,305). N-type MOS transistors(306,307) configure a switching isolation unit which electrically isolates a non selection output terminal from a common input terminal. An isolation enhancing unit(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MOS switches between two output terminals in parallel. The isolation enhancing unit forms a parallel resonant circuit with the parasitic capacitor of the serial switching unit. The isolation enhancing unit enhances the switching isolation about the serial switching unit. The SPDT switch switches a signal of a microwave band.
Abstract:
An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microwave resonator having a tunable resonance frequency and a method for tuning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same are provided to obtain a desired resonance frequency by forming a resonance frequency variation unit at a microstrip feeding line. An upper dielectric plate(100) is used as an input/output port of a resonator. A microstrip feeding line(120,140) having a variable length is formed in the upper dielectric plate. An intermediate conducting plate(200) is positioned at a lower part of the upper dielectric plate. A lower dielectric plate(300) is positioned at a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conducting plate. A via barrier (320) is formed at the lower dielectric layer in order to form the resonator. A lower conducting plate(400) is positioned at a lower part of the lower dielectric plate. A resonance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of the length of the microstrip feeding lin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박막저항의 저항값 보정 기능을 가진 50 오옴 단락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주파수 회로용 가변 저항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박막저항의 특성상 얇은 평면구조 때문에 공정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박막저항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박막저항 공정 중에 추가적인 공정없이 와이어 본딩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저항값이 결정되어 오차 값을 보상할 수 있는 50 오옴 단락 장치와 간단한 구조의 박막저항 회로를 이용하여 수백 가지의 저항값을 본딩의 연결 상태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RF 회로용 가변저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박막저항의 저항값 보정 기능을 가진 50 오옴 단락 장치에 있어서, 접지와 연결하여 소정값의 저항을 배치하여 제1 노드와 연결하고, 상기 제1 노드와 직렬로 소정값의 저항을, 병렬로 소정값의 저항 2개를 배치하고, 상기 병렬 연결된 저항 2개 각각의 끝 부분에 차후 상호 연결을 위한 제1 패드를 배치하며, 상기 직렬 연결된 소정값의 저항 끝 부분의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노드와 마찬가지로 직렬 저항과 병렬 저항 2개를 배치하고, 각각의 끝 부분을 제2 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고주파 통신 부품 등에 이용됨. 50 오옴 단락, 박막저항, 와이어 본딩, 가변 저항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전력 고격리도 특성을 갖는 흡수형 RF 스위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병렬 접지 형태로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공진기를 삽입함으로써 고전력, 고격리도, 입출력 임피던스 정합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RF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RF 스위치로서, RF(Radio Frequency) 전송선로에 병렬 접지로 연결된 다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다수의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가 단락될 때 입출력 단자 간에 개방회로를 형성하여 삽입 손실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공진기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초고주파 및 마이크로파 대역의 통신 장치 등에 이용됨. RF 스위치, 고전력, 고격리도, 트랜지스터, 공진기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력 가변부를 구비한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방향성 결합기의 결합 선로에 감쇄 특성을 나타내는 전력 가변부를 결합함으로써, 시스템의 요구에 의해 결합 계수가 변경될 경우 결합 선로를 직접 이동시키지 않고 결합 계수가 변경된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력 가변부를 구비한 방향성 결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연결하며 입력된 무선 신호를 통과시키는 주 선로; 상기 주 선로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주 선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는 결합 선로; 상기 결합 선로가 추출한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포트; 및 상기 결합 선로와 상기 결합 포트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 계수를 가변시키는 전력 가변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RF 부품 등에 이용됨. 방향성 결합기, 전력 가변부, 박막 저항, 골드와이어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 모드 설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SP4T와 같은 스위치를 하이브리드 매트릭스에 적용함으로써, 고정된 입출력 관계에 의한 시스템 유연성 및 재구성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 환경에 따라 시스템의 증폭기나 기타 회로 구성에서 고장이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스위칭 모드에 따른 효율적인 분배 및 결합에 의한 포트 구성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다중 입출력 증폭기에 비해 출력의 가용도를 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고 시스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다중 입출력 증폭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