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단말 자판기(Keyboard)의 상단, 하단 및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위치에 보조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를 장착하거나, 별도의 접속 장치로(클립 보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를 컴퓨터 단말 자판기에 부착하여 인간과 기계간의 인터페이스(Man Machine Interface)를 개선 한 캐디(Caddie) 컴퓨터 단말 자판기(Keyboard)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중심적으로 정의된 이에프에스엠(EFSM)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타가 고려된 시험열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모듈 EFSM 모델인 프로토콜 명세(스펙)를 단일 모듈 EFSM 모델로 변환된 후 시험 케이스를 자동생성하기 위해 데이터 부분을 관찰중심적으로 관점에서 재정의하여 새로운 EFSM모델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EFSM 모델에 대해 "top-down search"를 수행하는 제3과정과, all-du-paths 범주에 상응하는 데이터 부분에 대한 경로를 선택하는 제4과정과, 경로에 대해 각 상태와 이전 시험열에 대한 정보의 저장을 통해 루프처리 방법으로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제5과정과, 실행 가능한 경로가 되도록 입력안의 매개변수 값을 선택해주고 출력매개변수 값을 구하는 제6과정과, 데이타 부분 시험경로를 통해 포함되지 않은 제어 부분을 시험하 경로를 구하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detecting protocol specification based on finite automata is provided so that completeness of specification can be certified by specify protocol requests as a finite automata type. CONSTITUTION: A method for detecting protocol specification based on finite automata includes several steps. A step is to detect safety whether deadlock or live lock states exits. A step is to detect determination whether non-deterministic character exists. A step is to detect a state arrival character represented by a logic formula as a Moda mu-calculus.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gestion is provid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by improving the congestion control function of a transport control protocol(TCP) protocol in the Internet. CONSTITU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gestion by using a transport control protocol Vegas(TCP-Vegas) includes the steps of: adding a value χ1 being smaller tha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α of the TCP-Vegas and a value χ2 being larger tha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α of the TCP-Vegas, calculating(S511) the congestion of a current network by using a predicted congestion and a practical measured congestion, increasing(S515) the index of the transmission speed when the congestion degree is smaller tha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χ1, increasing(S519) the transmission speed when the congestion degree exists betwee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α and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χ1, maintaining(S523) the current transmission speed when the congestion degree exists betwee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α and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β, reducing(S527) linearly the transmission speed when the congestion degree exists betwee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β and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χ2 and reducing(S529) the transmission speed when the congestion degree is larger than the congestion degree threshold value χ2.
Abstract:
이 발명은 실시간프로토콜의 개발에 있어서 요구사항을 시간오토마타 (1) 형태로 명세화하고 명세화를 거친 시간오토마타명세모델이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를 구현전에 확인하는 실시간검증방법에서 명세의 무결성 및 완전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지역모형검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지역모형검사를 적용한 실시간프로토콜 검증방법(13)은, 시간오토마타(1)의 명세모델과 시간적 뮤우계산법 논리식(8)을 기반으로 지역프러덕트그래프(9)를 구성하고 지역프러덕트그래프의 초기노드의 논리값에만 초점을 두어 실시간검증을 수행하는 실시간지역모형검사알고리즘(14)을 이용하며, 또한, 시간오토마타명세모델이 시간적 뮤우계산법의 논리식으로 표현된 실시간안전성특성(30)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실시간안전성 검증방법(15)을 이용 하여 시간오토마타명세모델에서 논리적, 시간적 정확성이 결여되어 천이가 발생하지 않는 시간적 교착상태나 상태의 부분집합만을 무한히 반복하여 실시간프로토콜모델의 초기상태로 돌아가지 못하는 시간적 라이브락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실시간안전성검증을 행하고, 시간오토마타명세모델이 시간적 뮤우계산법의 논리식으로 표현된 실시간필연성 특성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실시간필연성 검증방법(16)을 이용하여 시간오토마타명세모델에서 한 행위가 발생한 후 임의의 시간 내에 원하는 행위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실시간필연성검증을 행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한 오토마타 기반의 프로토콜 명세에 대한 검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토마타 모델내에 어떠한 천이도 존재하지 않는 deadlock 상태와 상태의 부분집합만을 무한히 반복하여 초기상태로 돌아가지 못하는 livelock 상태 혹은 상태집합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안전성 검정 과정과, 상기 오토마타 모델의 임의의 상태에서 같은 행위에 의한 둘 이상의 천이가 존재하는 비결정성을 검정하는 결정성 검정 과정과, 상기 오토마타 모델 내의 임의의 상태에서 입력 행위와 출력 행위의 발생여부를 검사하는 상태도달성 검정을 위하여 Modal mu-calculus의 논리식으로 표현된 상태도달성 특성을 오토마타가 만족하는지를 모형 검사의 기법을 통하여 확인하는 상태도달성 검정 과정과, 상기 오토마타 모델에서 연속적인 세가지 행위가 명세내에서 과연 발생� �는지를 검사하는 행위도달성 검정을 위하여 Modal mu-calculus의 논리식으로 표현된 행위도달성 특성을 오토마타가 만족하는지를 모형 검사의 기법을 통하여 확인하는 상태도달성 검정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유한 오토마타 기반의 프로토콜 명세에 대한 검정 방법이 개시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규격으로부터 시험시퀀스의 자동생성시 내부사건 개념 도입에 의한 에프에스엠(FSM;Finite State Machine)의 상태공간 축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상태중에서 외부 신호를 입력으로 받았을때 내부 신호를 출력하고 상태를 이동한 후 이 내부 신호를 다시 입력으로 하여 외부 신호를 출력으로 하는 경우 적합성 시험의 관점에서 시험자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는 상태를 제거하고 남은 앞과 뒤의 두 상태가 병합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프로토콜의 기술이 명확해지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개발자들에게 프로토콜 규격의 의미가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규격화된 프로토콜로부터 시험시퀀스를 자동생성하여 적합성 시험을 자동화 하기가 한층 용이한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통신망 환경에서 사용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다지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D/A변환수단으로 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음성데이타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출력하는 소정갯수의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들에서 출력되는 소정갯수의 아날로그 음성데이타를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합성하여 A/D변환수단에 입력하는 소정갯수의 선택적 오디오 합성수단 및 다지점 제어장치내의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적 오디오 합성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음성 및 영상회의를 위한 선택적 음성 합성모듈의 구현 장치를 제공하면, 근래 제안되어진 음성처리모듈의 방식을 유지하면서 이용자가 무조건 전체신호를 합성한 신호를 취한다든지 또는 임의의 특정한 하나의 신호만을 취하는 것 대신 선택적으로 원하는 신호를 합성하도록 함으로써 음성 및 화상회의의 구현시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ofing protocol at a real time by using an area model checking provided to reduce the cost for develop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by performing a real time proofing process and a suitability test process. CONSTITUTION: A request for protocol is specified to a time automata model(1). It is determined at a real time whether the specified time automata model(1) is accorded with the request. In the specification st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tocol is described by applying formal logic and time logic. In the determination state, modal mu-calculus(8) is used. The modal mu-calculus(8) identifies the true and false of the value for proofing by a fixed time calculating method.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통신망 환경에서 사용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다지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D/A변환수단으로 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음성데이타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출력하는 소정갯수의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들에서 출력되는 소정갯수의 아날로그 음성데이타를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합성하여 A/D변환수단에 입력하는 소정갯수의 선택적 오디오 합성수단 및 다지점 제어장치내의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적 오디오 합성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음성 및 영상회의를 위한 선택적 음성 합성모듈의 구현 장치를 제공하면, 근래 제안되어진 음성처리모듈의 방식을 유지하면서 이용자가 무조건 전체신호를 합성한 신호를 취한다든지 또는 임의의 특정한 하나의 신호만을 취하는 것 대신 선택적으로 원하는 신호를 합성하도록 함으로써 음성 및 화상회의의 구현시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