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영상 품질에 기초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은, 제1 카메라가 촬영한 기준 영상과 제2 카메라가 촬영한 참조 영상을 연결하기 위한 매칭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매칭점을 기초로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참조 영상 간의 호모그래피를 결정하여 참조 영상을 기하학적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기하학적 변환한 참조 영상의 영상 품질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품질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기하학적 변환한 참조 영상을 상기 기준 영상과 연결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스케일러블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복호화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된 텍스처 영상, 부호화된 기하 영상, 부호화된 occupancy map 정보 및 부호화된 Auxiliary patch-info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텍스처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파티션에 대한 복호화된 텍스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기하 영상, 상기 부호화된 occupancy map 정보 및 상기 부호화된 Auxiliary patch-info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하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파티션에 대한 텍스처 영상 및 상기 기하 영상을 이용하여 포인트 클라우드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장면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실 세계에 대해서 감지한 감지 정보 전체를 장면으로 전송하지 않고, 감지 정보를 의미적으로 해석한 의미 있는 정보인 기하 정보를 생성하여 기하 정보만을 장면으로 전송함으로써, 과도한 정보의 전송으로 인한 장면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내부(internal) 또는 외부(external)에 존재하는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를 참조하여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수행하기 위한 규격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규격에 기초하여 구조화된 정보를 참조하여 장면을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Abstract:
BER을 이용하여 레이트 어댑테이션(rate adaptation)을 함으로써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이 가능하며, BER은 MAC 계층에서 신호세기와 모듈레이션 정보(도 7 내지 9)를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하며, 메시지 규격화를 통하여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향상된 사용자 상호작용 인터페이스(Advanced User Interaction: AUI) 방법은 기본패턴타입 및 합성패턴타입 중에서 객체로부터 입력된 물리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패턴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합성패턴타입은 상기 기본패턴타입 중 적어도 두 개의 패턴타입의 조합이고, 상기 기본패턴타입은 기하 도형 기반(geometric) 패턴타입, 심볼(symbolic) 패턴타입, 터치(touch) 패턴타입, 핸드 포스처(hand posture) 패턴타입 및 핸드 제스처(hand gesture) 패턴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패턴타입은 동일한 객체(object)에 의해 생성된 합성패턴타입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터치 장치, 모션 센싱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은 진화된 타입의 사용자 인터랙션 장치들에 대한 향상된 사용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은 AUI(Advanced User Interaction) 패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미리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입력받은 AUI 패턴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액션 장치와 Scene Description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구현 방법을 정의함으로서 사용자 인터액션 장치에서 발생한 소정의 AUI(Advanced User Interaction) 패턴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Abstract:
비디오 패킷 스트림을 전송하는 서버와 유무선망을 통해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망에서의 무선 채널 상태 추정 방법은 수신된 비디오 패킷에 대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비트 에러율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비트 에러율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망의 채널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연결된 무선망에 대한 무선망 정보, 변조 방식 정보 및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에서는 상기 추정된 무선망에서의 채널 용량 정보 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피드백 받아서 무선망에서의 최적의 비디오 코딩 레이트 또는 최적의 소스 코딩 레이트를 조정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화질 손실을 줄여 무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비디오의 수신 품질(QoS)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BIFS(Binary Format for Scenes)나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와 같은 장면 기술자에서 복수의 MPEG-2 전송스트림을 하나의 미디어로 간주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장면과 복수의 MPEG-2 전송스트림을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포맷 구조의 미디어 파일로 기록하는 콘텐츠 저작장치, 상기 ISO 포맷 구조의 미디어 파일로부터 장면을 추출하여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 재생장치를 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제어를 분석하여 제어의 타입을 나타내는 이벤트 타입 정보 및 이벤트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드래그 이벤트(Drag event)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처리부 및 드래그 이벤트 정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에 제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드래그 엘리먼트(Drag element)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처리부를 포함하고, 드래그 엘리먼트 정보는 상기 동작의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 및 동작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표준 규격에 정의된 다양한 데이터 포맷들을 다른 표준 규격 및 인터랙션 디바이스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