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동·조절되는 유기물 전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물 전기 발광소자와 그 소자를 구동하는 유기물 전계효과 소자가 하나의 소자로 결합함으로써, 유기물 트랜지스터를 유기물 전기 발광소자의 구동 및 조절에 응용할 경우, 무기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첫째 기계적 구부림이 가능하고, 둘째 진공 증착 또는 스핀 코팅을 이용하여 무기물 트랜지스터 제작시에 비해 완화된 조건하에서 쉽게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기물 전기발광소자와의 결합을 통해 유기물 전기 발광 개별 화소의 구동 및 조절이 용이한 대면적 유기물 전기 발광 표시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박막 전기 발광소자에서 박막화에 따른 소자의 소형화에 있어서도 무기물 트랜지스터에 비해 간단한 공정과 저가로 구동 부분을 소형, 박막화함과 더불어 집적화를 통해 전체적인 발광소자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소형 박막 표시 소자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발광소자의 구동 및 조절을 위한 부분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유기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부림이 가능한 전기 발광소자의 제작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물질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1,4-페닐렌비닐렌) (PPV) 및 그 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있어 티오페녹시 선중합체 (thiophenoxy precursor polymer)를 이용하여 PPV 유도체의 컨쥬게이션 (conjugation) 길이와 발광 색상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티오페녹시 (thiophenoxy) 선중합체가 공기 중에서 아주 안정하고 300 o C 이상에서만 제거 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을 이용하여 PPV 유도체의 컨쥬게이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즉,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PPV 나 PPV 유도체들을 물에 녹는 수용성 선중합체를 합성한 다음, 합성되어진 수용성 선중합체에 원하는 당량의 소듐 티오페녹사이드를 반응시켜, 가하여 준 티오페녹시의 당량 만큼 티오페녹시로 치환된 선중합체를 생성한 다음, 이 중합체를 200 o C 에서 진공 열처리하여 제거 반응하면 수용성 선중합체 부분은 완전히 제거 반응되어 컨쥬게이션되고, 티오페녹시로 치환된 부분은 이 온도에서는 제거 반응이 전혀 되지 않으므로 컨쥬게이션되지 않고 남게된다. 이렇게 해서 PPV 유도체의 컨쥬게이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컨쥬게이션 조절을 통해 PL 과 전기 발광 소자의 발광 파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 수송 능력을 갖고 금속 전극과 화학 결합을 할 수 있는 전하 이동 물질(charge transfer complex, charge transfer salt)을 그대로 혹은 고분자에 분산시킨 것을 두 금속 전극, 한 금속 전극과 유기물 또는 고분자 발광층 사이에 박막층으로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도록 한 유기물/고분자 발광 소자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이오노머(ionomer)로 만들어진 고분자를 전하 수송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오노머는 이온화된 금속 염을 함유하고 있고, 이 금속을 중심으로 고분자가 물리적인 가교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기계적 성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 적 안정성도 뛰어나다. 그리고 전기장 하에서는 이온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이온 전도도를 보이며 치환된 이온의 농도에 따라 그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오노머의 박막은 스핀 코팅 방법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오노머 박막을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코팅하여 안정된 계면을 형성함으로서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오노머 역시 고분자로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부림이 가능한 전기 발광 소자의 제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동·조절되는 유기물 전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물 전기 발광소자와 그 소자를 구동하는 유기물 전계효과 소자가 하나의 소자로 결합함으로써, 유기물 트랜지스터를 유기물 전기 발광소자의 구동 및 조절에 응용할 경우, 무기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첫째 기계적 구부림이 가능하고, 둘째 진공 증착 또는 스핀 코팅을 이용하여 무기물 트랜지스터 제작시에 비해 완화된 조건하에서 쉽게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기물 전기발광소자와의 결합을 통해 유기물 전기 발광 개별 화소의 구동 및 조절이 용이한 대면적 유기물 전기 발광 표시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박막 전기 발광소자에서 박막화에 따른 소자의 소형화에 있어서도 무기물 트랜지스터에 비해 간단한 공정과 저가로 구동 부분을 소형, 박막화함과 더불어 집적화를 통해 전체적인 발광소자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소형 박막 표시 소자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발광소자의 구동 및 조절을 위한 부분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유기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부림이 가능한 전기 발광소자의 제작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이오노머(ionomer)로 만들어진 고분자를 전하 수송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오노머는 이온화된 금속 염을 함유하고 있고, 이 금속을 중심으로 고분자가 물리적인 가교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기계적 성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 적 안정성도 뛰어나다. 그리고 전기장 하에서는 이온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이온 전도도를 보이며 치환된 이온의 농도에 따라 그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오노머 박막은 스핀 코팅 방법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오노머 박막을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코팅하여 안정된 계면을 형성함으로서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오노머 역시 고분자로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부림이 가능한 전기 발광 소자의 제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발광소자의 발광 물질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1,4-페닐렌비닐렌) (PPV) 및 그 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있어 티오페녹시 선중합체 (thiophenoxy precursor polymer)를 이용하여 PPV 유도체의 컨쥬게이션 (conjugation) 길이 조절방법과 전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티오페녹시 (thiophenoxy) 선중합체가 공기 중에서 아주 안정하고 300℃ 이상에서만 제거 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을 이용하여 PPV 유도체의 컨쥬게이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즉,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PPV 나 PPV 유도체들을 물에 녹는 수용성 선중합체를 합성한 다음, 합성되어진 수용성 선중합체에 원하는 당량의 소듐 티오페녹사이드를 반응시켜, 가하여 준 티오페녹시의 당량 만큼 티오페녹시로 치환된 선중합체를 생성한 다음, 이 중합체를 200℃에서 진공 열처리하여 제거 반응하면 수용성 선중합체 부분은 완전히 제거 반응되어 컨쥬게이션되고, 티오페녹시로 치환된 부분은 이 온도에서는 제거 반응이 전혀 되지 않으므로 컨쥬게이션되지 않고 남게된다. 이렇게 해서 PPV 유도체의 컨쥬게이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컨쥬게이션 조절을 통해 PL 과 전기 발광소자의 발광 파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 synthetic method of soluble poly(1,4-phenylenevinylene)(PPV) derivatives capable of emitting green light and easily dissolving in an organic solvent and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herefore, the final polymer shows a measured absolute PL quantum efficiency of 60%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PV having 25%. Also, it provides an outstanding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light-emitting device. CONSTITUTION: A magnesium is added to 2,5-dibromo-para-xylene to give a Grignard reagent and then halotrialkyl silane to give 2,5-bis(trialkylsilyl)-para-xylene, which is reacted with N-bromosuccinimide to give 2,5-bis(trialkylsilyl)-1,4-bis(bromomethyl), which is reacted with a base to give £2,5-bis(trialkylsilyl)-1,4-phenylenevinylene|. The obtained compound makes it possible to be applied as material of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발광 소자에 이용될 수 있는 실리콘기가 두개 치환된 용해 가능한 폴리(1,4-페닐렌비닐렌) (PPV) 유도체의 합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PPV는 용해 가능한 선 중합체로부터 합성되어지지만 200 o C 이상의 고온에서 제거 반응 과정을 거쳐야하며, 이러한 고온 열처리 과정 때문에 제조 공정의 난점과 함께 구부림이 가능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는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새로이 합성된 폴리[2,5-비스(디메틸옥틸실릴)-1,4-페닐렌비닐렌] (BDMOS-PPV)는 최종 고분자가 일반적인 유기 용매에 잘 녹으며, 측정된 절대 PL 발광 효율이 60 % 로서 PPV의 25 % 보다 월등히 높아 전기 발광 소자의 재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기판에 제작한 전기 발광 소자에서도 밝은 녹색이 발광되어 구부림이 가능한 전기 발광 소자에 직접 이용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