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IoT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온라인 커피 주문이 가능하며, 각종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진단할 수 있는 커피 디스펜서 및 이의 원격 제어 시스템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피 디스펜서는, 클라우드 서버와 IoT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IoT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커피 주문에 따라 커피 파우치 및 물/음료탱크로부터 각각 정해진 양만큼 액상커피와 물/음료를 토출하는 커피토출 제어모듈, 상기 커피 파우치의 액상커피 토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커피 공급유로 및 토출구를 세척하는 커피청소 제어모듈, 필터 및 내부 구성품들의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고장 진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동작하는 교통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동영상, 시간, 위치, 차량 상태 등의 데이터를 분산 관리하는 교통 데이터 관리 모듈 및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 도로지도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승하차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 버스 내지 지하철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비콘(beacon),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고정 단말기 및 상기 고정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내지 환승 내역을 수신하여 이용요금을 결제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콘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원 평면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massiv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에서, 제한된 양의 하향링크 전파 자원만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이차원 공간채널 추정을 위한 채널상태 정보 기준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이차원 공간채널에서 공간분할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SM)와 공간분할 다중접속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기술을 최적 선택하여 수행하는 hybrid SM & SDMA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수평 차원(horizontal dimension)에서 하향링크 채널 간 공간상관도가 높은 공간 원소(space element,SE)들과 이에 대응하는 vertical dimension의 SE들을 묶어서 space resource block(SRB)을 정의하고, 매 transmit time interval(TTI) 마다, 각 SRB에서는 선택된 하나의 horizontal SE에 대응하는 vertical dimension SE들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CSI-RS들을 전송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UE(user equipment)가, 다른 TTI에서 수신되는 동일한 SRB에 속하는 서로 다른 수평 차원(horizontal dimension)의 SE들의 채널간 공간 상관도와 동일 TTI에서 수신되는 다른 SRB에 속하는 수평 차원(horizontal dimension)의 SE들의 채널간 공간 상관도를 추정하고, 해당 UE의 SRB의 크기를 최적의 크기로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eNodeB로 피드백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UE는 각 SRB에서 전송되는 CSI-RS들을 통해 하향링크 채널을 추정하고, 각 UE는 선호하는 SRB의 index와 해당 SRB의 vertical dimension에서의 랭크 및 channel quality information(CQI)를 eNodeB로 피드백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각 UE는 랭크를 결정할 때, vertical dimension에서는 full 랭크까지 전송 가능하며, 수평 차원(horizontal dimension)에서는 각 SRB에서 단일 랭크만 전송하도록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안전 서비스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2 차량의 상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제1, 2 차량 모의 주행 기구; 상기 제1, 2 차량 모의 주행 기구로부터 상기 제1, 2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2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2 교통 시뮬레이터; 상기 제1, 2 교통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제1, 2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2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Sim2OBU(Simlulator to OBU) 서버; 및 상기 Sim2OBU(Simlulator to OBU) 서버로부터 상기 제1, 2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2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2 BSM(Basic Safety Message)를 생성하는 제1, 2 가상 GPS 서버를 포함하는 제1, 2 OBU(On Board Unit);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2 OBU(On Board Unit)는 상호간에 상기 제1, 2 BSM(Basic Safety Message)를 교환하고, 상기 교환한 상기 제1, 2 BSM(Basic Safety Message)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량과 상기 제2 차량의 간의 충돌 가능성을 계산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표준을 이용한 보행자 교통안전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는 OBE(On Board Equipment), 보행자가 휴대하는 보행자 단말, 상기 OBE와 보행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게이트 웨이(RSE) 및 교통정보를 차량에 송신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단말은 상기 차량(OBE)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보행자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OBE)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적 차원과 수직적 차원을 동시에 고려하는 이차원 안테나 배열에 의한 M*N개의 빔들에 의해 마크로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마크로 서비스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스몰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이종 망에서 상기 마크로 서비스 영역에서의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상기 M*N개의 빔들을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M*N개의 빔들에 의해 송신될 신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몰 서비스 영역에서의 송신 신호에 대해 간섭을 미칠 수 있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 예상 빔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한 적어도 하나의 간섭 예상 빔에 의해 송신될 신호로 인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몰 서비스 영역에서의 셀 간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M*N개의 빔들 각각에 대한 빔 성형을 수행한다.
Abstract:
PURPOS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maximize transmission capacity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by giving feedback 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biased transmission by using minimum uplink wireless resources. CONSTITUTION: An orthogonal polarization antenna(110) receives one or more reference signals. A channel state estimation unit(130) estimates a wireless biased channel based on the reference signal. A transmission biased state selection unit(150) selects a transmission bias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wireless biased channel from the defined transmission biased states. The transmission biased state selection unit gives feedback on the selected transmission biased state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100) Terminal; (130) Channel state estimation unit; (150) Transmission biased state selection unit; (170) CQI estimation unit; (200) Base station; (210) Scheduler; (230) Code and modulation unit; (250) Transmission polarized state control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