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감칠맛 수용체의 리간드 바인딩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감칠맛 바이오센서, 보다 구체적으로 높은 민감도 및 선택도로 감칠맛을 실시간 감지 가능한 감칠맛 수용체 T1R1의 VFT(Venus fly trap) 만으로 이루어진 리간드 바인딩 도메인을 포함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감칠맛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감칠맛 수용체의 리간드 바인딩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감칠맛 바이오센서, 보다 구체적으로 높은 민감도 및 선택도로 감칠맛을 실시간 감지 가능한 감칠맛 수용체 T1R1의 VFT(Venus fly trap) 만으로 이루어진 리간드 바인딩 도메인을 포함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감칠맛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30Kc19α 세포 투과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카고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30Kc19α는 30Kc19 전체 도메인과 대등하거나 30Kc19 전체 도메인 보다 우수한 세포 투과성, 세포내 안정성, 또는 세포 투과성 및 세포내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세포 투과 펩티드로서 카고와 결합하여 카고를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가 포함된 나노디스크가 장착된 항체 스크리닝 키트 및 이를 이용하는 항체 의약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체 스크리닝 키트는 다양한 종류의 항체 중에서 유효한 항체만을 특이적으로 선별할 수 있으므로 항체 신약 개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소 유동 채널이 형성된, 고분자 소재의 애노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상에 증착된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애노드와 공기 유동 채널이 형성된, 고분자 소재의 캐소드용 엔드플레이트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상에 증착된 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포함하는 캐소드 및 표면에 촉매층이 부착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조립체(MEA)로서, 상기 막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한 면에 가스 확산층(GDL)이 구비된 막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소재는 접착성 고분자와 경화제가 4 : 1 내지 6 : 1의 비로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막전극 조립체는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되어 압착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막전극 조립체, 애노드 및 캐소드의 말단을 구부� ��서 인장 응력이 가해진 상태 또는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도파민 수용체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도파민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파민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을 제조하고, 이를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적용하여 상기 도파민과 도파민 수용체의 결합에 의한 컨덕턴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도파민의 농도와 전달 이상을 감지하여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인간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도파민 수용체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도파민 센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파민 수용체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의 도파민 바이오 센서는 도파민 물질의 신호 전달 기작과 유사하게 민감도 및 선택도가 우수하여 실시간으로 pM 범위까지 고특이적으로 도파민을 검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미각 수용체 기능화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전계효과 트랜지스터(swCNT-FET)에 기초하고 인간의 미각 시스템을 모사한 고선택성의 바이오 전자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최초로 미각 수용체 단백질을 인공혀에 적용하였으며 고선택성, 고민감성의 전자혀를 성공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는 인간의 미각 수용체 단백질을 전자혀의 1차 신호 변환기로 사용함으로써 인간의 미각 시스템을 모방하는 전자혀를 구현하였다. 또한 기존의 전자혀에 비해 선택성과 민감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 전자혀는 식품 산업에서 품질검사의 목적이나 맛 물질의 선별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