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네오스포라 캐니늄 감염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삼 또는 사상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N. 캐니늄 감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마우스에서 N. 캐니늄 감염을 방어할 수 있으며 임신 염소에 있어서는 유산 발생율을 경감시킬 수 있다. 네오스포라 캐니늄, 고삼, 사상자
Abstract:
A copper damascene formation method is provid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copper wire by preventing the void on the copper wire from being generated in a copper damascene formation process. A copper damascene form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 for forming the first insulation layer(322) on the top of the substrate; the step for etching selectively the first insulation layer in order to form the bottom trench; the step for filling the first copper layer on the bottom trench; the step for forming the second insulation layer on the first insulation layer and the first copper layer; the step for etching selectively the second insulation layer in order to form the via hole and upper trench; the step for filling the second copper layer(350) on the via hole and upper trench. The first copper layer fills the bottom trench with the state where a part of insulating layer which is not etched remains during the step for etching selectively the first insulation layer on the bottom trench.
Abstract:
보이드 발생을 억제하여 신뢰성이 높은 구리 배선을 제조할 수 있는 구리 다마신 형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 다마신 형성 방법은 기판(310) 상에 제1 절연층(320)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 트렌치(324)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절연층(32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하부 트렌치(324)에 제1 구리층(330)을 채우는 단계; 제1 절연층(322) 및 제1 구리층(330) 상에 제2 절연층(340)을 형성하는 단계; 비아홀(344) 및 상부 트렌치(346)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2 절연층(34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비아홀(344) 및 상부 트렌치(346) 상에 제2 구리층(350)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절연층(32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에서 식각되지 않은 일부 절연층(326)이 하부 트렌치(324) 상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하부 트렌치(324)에 제1 구리층(330)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 배선, 신뢰성, 구리 다마신, 배선 결함, 보이드
Abstra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s from T. Japonica and S. Flavescens is provided to improve a survival rate of mammals which are infected with neospora caninum and reduce an abortion rat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es low alcoh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T. Japonica and S. Flavescens. The low alcoho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aight-chain or branched methanol, ethanol, and butanol. The fractions from the T. Japonica and S. Flavescens are obtained by separating the low alcohol extracts through a HPLC(High-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HPLC fraction is TJ2 fraction of the alcohol extract from the T. Japonica or SF1 fraction of the alcohol extract from the S. Flavesc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