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malfunction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side mirror is provided to check if the side mirror for preventing dazzling of drivers by detecting the light of peripheral illuminance and a rear vehicle and changing the color of the mirror is operated normally. CONSTITUTION: In an inside mirror(5) and left and right side mirrors(7,9) of which the color is changed according to voltage output from an illuminance sensing unit(3) for detecting the light of illuminance around the front part of a vehicle and a rear vehicle, a malfunction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side mirror is composed of a first voltage detecting unit(30) installed between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and the left side mirror to detect voltage applied on the left side mirror; a second voltage detecting unit(32) mounted between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and the right side mirror to detect voltage applied on the right side mirror; a control unit(34) for deciding operation stat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by using voltage detection value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etecting units, and outputting the result; and display devices arranged on a cluster to display each operation state of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bstract:
PURPOSE: A passenger air bag door structure of a vehicle is provided to prevent a passenger from injuries caused by broken pieces of glass and to prevent an air bag door from obstructing the inflation of an air bag by opening the air bag door with a fixing device connecting the air bag door to an air bag module when inflating the air bag. CONSTITUTION: A passenger air bag module(20) is mounted in a crash pad(10) and deployed above the crash pad through an air bag door(11). Sinc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air bag module, the air bag door is opened with the air bag module. A fixing device(40) consists of a supporting member(41) fixed in the air bag door and a locking hook(42) whos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air bag module. The supporting member contains two insertions(43) with two fixing holes(44)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s. When the lock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a protrusion(45) of the locking hook is locked with the fixing hole of the insertion. Thus, the air bag door is opened with the air bag module.
Abstract:
에어백 도어에 탑승자감지센서를 마련하여 조수석에 탑승자가 있을 때에만 에어백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의 재장착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자동차의 충돌 및 감속양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100)와,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200)와, 인플레이터의 전면에 장착되며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인스트러먼트 패널과 탑승자 사이에 전개되는 조수석 에어백(400)과, 조수석 에어백(400)을 인스트러먼트 패널(300)상에 밀폐시키는 에어백도어(500)와, 자동차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조수석 승객의 탑승유무를 판별하는 탑승자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탑승자감지수단은 에어백도어상에 탑승자감지센서(600)가 마련되어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조수석 탑승자의 유무를 판별하여 인플레이터(200)의 가스 발생을 제어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는 조수석 탑승자의 유무에 따라 조수석 에어백(400)이 작동/미작동되어 조수석에 탑승자가 없을 때에는 운전석 에어백(410)만 작동되는 구조로서 차량 사고로인한 에어백 재장착에 따른 수리비를 절감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Abstract: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팔걸이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상태로 자동차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의 자동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스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팔걸이의 이동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설정 스위치와; 상기 구동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스위치와 방향설정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의해 팔걸이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제1스위칭 수단과; 상기 구동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스위치와 방향설정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의해 팔걸이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제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스위칭 수단의 동작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팔걸이가 최고 또는 최저로 이동할 경우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