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저 지연 부호화 구조에서 참조 영상으로 사용하지 않는 비참조 P프레임들의 양자화 파라미터(QP)를 참조 영상으로 사용하는 P프레임보다 크게 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도록 한 비참조 P프레임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움직임 예측부; 상기 움직임 예측부에서 예측한 움직임 벡터로 상기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움직임을 판단하지 못하는 프레임에 대해 이전 비참조 P프레임의 비트율을 기초로 비트 발생량을 판단하는 비트율 판단부; 상기 움직임 판단부 및 비트율 판단부의 움직임 판단 결과 및 비트율 판단 결과를 기초로 비참조 P프레임을 결정하는 비참조 프레임 결정부; 상기 비참조 프레임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비참조 P프레임 부호화 또는 저 지연 P프레임 부호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저 지연 구조와 비교하여 시간적 상관성이 높은 경우에는 보다 높은 양자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특별한 화질저하 없이 부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트 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bstract:
DC 화면내예측부호화시 참조화소값을평활하여새롭게생성하고, 주변블록간의공간적상관성을고려한예측화소값을이용하여 DC인트라예측부호화를함으로써압축효율을높이도록한 DC 화면내예측부호화장치및 그방법에관한것으로서, 부호화대상인현재매크로블록에인접한주변매크로블록의존재여부로공간적상관성정보를탐색하는공간적정보판단부; 상기공간적정보판단부에서탐색한공간적상관성정보에따라참조화소값을생성하는참조화소생성부; 상기공간적정보판단부에서탐색한공간적상관성정보에따라인트라예측부호화를결정하는인트라예측결정부; 상기인트라예측결정부의화면내예측부호화결정에따라상기참조화소생성부에서생성된참조화소로현재매크로블록을 DC 인트라예측부호화하는 DC 인트라예측부로영상부호화기를구현한다.
Abstract:
렌즈 왜곡 보정 시 메모리 접근 횟수를 줄여서 메모리 접근 시에 발생하는 시간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렌즈 왜곡 보정을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 왜곡 보정용 픽셀 데이터가 저장된 DIS(distorted image space) 메모리; 상기 DIS 메모리로부터 픽셀 데이터를 추출할 때마다 각각의 주소와 이에 대응되는 픽셀 값을 별도로 저장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에 별도로 저장된 픽셀 값을 기초로 이중 선형 보간을 통해 렌즈 왜곡을 보정 하고, 보정 결과로 얻어진 렌즈 왜곡 보정 데이터를 CIS 메모리에 저장하는 렌즈 왜곡 보정기를 구비함으로써, 메모리 접근 횟수의 감소로 메모리 접근에 따른 시간 지연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속, 저전력의 렌즈 왜곡 보정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렌즈 왜곡 보정 시 메모리 접근 횟수를 줄여서 메모리 접근 시에 발생하는 시간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렌즈 왜곡 보정을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 왜곡 보정용 픽셀 데이터가 저장된 DIS(distorted image space) 메모리; 상기 DIS 메모리로부터 픽셀 데이터를 추출할 때마다 각각의 주소와 이에 대응되는 픽셀 값을 별도로 저장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에 별도로 저장된 픽셀 값을 기초로 이중 선형 보간을 통해 렌즈 왜곡을 보정 하고, 보정 결과로 얻어진 렌즈 왜곡 보정 데이터를 CIS 메모리에 저장하는 렌즈 왜곡 보정기를 구비함으로써, 메모리 접근 횟수의 감소로 메모리 접근에 따른 시간 지연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속, 저전력의 렌즈 왜곡 보정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조립체 및 컨테이너 모듈을 포함하는 다단 세포 분리 장치로서, 상기 모듈 조립체는 상부로부터 수직 채널 모듈 및 복수의 분리 모듈로 결합되고, 상기 수직 채널 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리 모듈 중 최상부 분리 모듈 사이에는 전기장을 인가하여 세포 혼합 수용액을 분리하는 어레이 전극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 모듈 사이 각각에는 전기장을 인가하여 세포 혼합 수용액을 분리하는 어레이 전극 기판이 배치되는 다단 세포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연속 유체 플라스마 공정법을 이용한 백금 기반 합금촉매 및 그 제조장치와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유체를 수용하는 제1 반응기, 상기 제1 반응기에서 생성된 씨앗 물질(seed)을 함유한 제2 유체를 수용하는 제2 반응기, 상기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응기와 제2 반응기에서는 연속 유체 플라스마 공정법에 의해 백금 기반 합금촉매를 나노 크기로 합성하고 분산시켜 제조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하며, 대량생산할 수 있다.
Abstract:
구동 몸체부와; 상기 구동 몸체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내시경 헤드; 및 상기 구동 몸체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대장내시경 로봇으로서, 상기 구동 몸체부와 상기 내시경 헤드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시경 헤드는 내시경 카메라, 내시경 조명 및 생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몸체부는 외주에 상기 구동 몸체부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캐터필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캐터필러는 상기 구동 몸체부 내부의 종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웜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스프링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굴곡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방향제어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캐터필러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검장치는 상기 웜기어의 개구부와 튜브를 관통하여 외부로 추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내시경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n adaptive HTTP streaming service using metadata of content. The metadata includes a minimum buffer time attribute indicating a minimum amount of initially buffered media content. A terminal receives content from a server before playing the content, and buffers the content by at least the minimum amount. The metadata includes a range attribute designating a range of a target indicated by a URL. The terminal receives bytes designated by the range attribute from the URL, and plays the content using the received byt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MOS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ty of clock signals, which is provided to a pair of NMOS switches arranged on a bridge circuit, is controlled based on monitored voltage values by monitoring output voltages, rectified into direct currents in the CMOS bridge circuit. The output voltages of the bridge circuit are monitored; turn-off timing of the clock signals, which are provided from a comparator to a gate terminal of the NMOS switch based on the maximum value monitore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turn on/off timing of the NMOS switch, reverse leakage currents are minimized, thus efficiency of the rectifier can be maxim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