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산화방식의 유독가스 스크러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독가스 스크러버는 스크러버 캐비넷 내에, 공기, 질소 및 수소의 가스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스압력 조절기와 유량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유량조절기 및 밸브로 이루어진 가스압력 및 유량 조절수단과,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배출되어 공정가스 라인을 통해 유입된 유독성 공정가스를 흡착제거시키고, 상기한 가스 압력 및 유량조절수단에 의행 유량이 조절되어 유입된 공기 및 질소를 사용하여 탈착이 이루어지는 활성탄 저장용기로 구성되어 유독성 가스를 1차 산화시키기 위한 제1산화수단과, 일단은 상기한 제1산화수단과 직렬로 연결되고 타단은 열 배기관과 연결되며, 상기한 가스 압력 및 유량조절수단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어 유입된 공기 및 수소를 사용하여 점화연소시키는 연소기로 구성되어 상기한 제1산화수단을 거쳐 배출된 유독성 가스를 2차 산화시키기 위한 제2산화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광도파로 소자의 무반사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도파로의 빛이 방사되는 절개면 근처를 반응성 이온 식각(RIE)법등의 건식 식각방법을 이용하여 110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을 갖도록 식각하므로써 광도파로의 절개면에서의 광 반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광도파로 소자의 무반사면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금속기상에피택시 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량의 포스핀을 사용하는 유기금속기상에피택시 장치에서 배출되는 독성가스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진공펌프에서 발생되는 오일미스트에 의한 독성가스의 제독능력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금속기상에피택시 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은, 반응실을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한 로타리 배인펌프(101)와, 전기한 로타리 배인펌프(101)의 후단에 형성되어 반응실로부터 배출된 PH 3 의 분해산물인 포스포러스를 흡착시켜 오일미스트 필터(103)의 막힘을 방지하며 오일미스트를 흡착시키기 위한 주 활성탄 스크러버(102)와, 전기한 주 활성탄 스크러버(102)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기한 주 활성탄 스크러버(102)에서 흡착되지 못한 오일미스트를 흡착 및 응축시키기 위한 오일미스트 필터(103)와, 오일미스트 필터(103)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기한 오일미스트 필터(103)에 응축된 펌프오일로부터 발생하는 독성가스를 제독하기 위한 보조 활성탄 스크러버(104)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n optical device provided with a current protection layer with a buried ridg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alize a current protection effect with high a multi-layer waveguide. CONSTITUTION: An optical device provided with a current protection layer with a buried ridge structure includes active layers(402a,402b) formed in the form of mesa structure on an N type InP substrate(401), a first current protection layer(500) formed in the structure of PNP for covering the mesa structure and a second current protection layer(410) formed a buried ridge structure by arranging to encompass around the first current protection layer(500). The optical device basically employs a buried ridge structure as the current protection layers(410) by using a hydrogen ion implantation and further introduces the current protection layer(500) with the PNP structure for minimizing a leakage current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active layers(402a,402b).
Abstract:
PURPOSE: A vertically coupled wavelength variable optical fiber having double lattice structure is provided to have a double lattice structure where an interval between two lattices is spatially different at a center portion and both ends of a filter. CONSTITUTION: An n-type InP buffer layer is formed an n-type InP substrate(21), and the first waveguide layer(22) is formed on the n-type InP buffer layer. The first waveguide layer(22) is spatially limited so as to have a width of 1-3 micrometers and a length of 3-10nm. An n-type InGaAsP lattice layer(23) is formed on the first waveguide layer(22), and is spatially limited so as to have a double lattice period of 20 to 60 micrometers. A distance between two lattices forming the double lattice is limited spatially. An n-type InP(24) is deposited on the n-type InGaAsP lattice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waveguide layer(25) of a p-type InGaAsP is deposited on the n-type InP(24). The second optical waveguide layer(25) is spatially limited so as to have a width of 1 to 5 micrometer and a length of 3 to 10mm. A p-type InP clad layer(26) is deposited on the second optical waveguide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선택성을 갖는 반도체 광여과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 두 도파로의 간격이 너무 밀집되었기 때문에 광섬유를 부착할 경우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n-형 InP 기판(1)과 그 위에 적층된 n-형 InP 완충층(2), 그 위에 출력단 근처에서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공간적으로 제한된 형태로 적층된 InGaAsP 제 1광도파로층(3), 그 위에 적층된 InP(4), 그 위에 적층되고 10~20 의 주기를 갖도록 공간적으로 제한된 InGaAsP 회절격자층(5), 그 위에 적층된 InP(6), 그 위에 적층되고 공간적으로 제한된 InGaAsP 제 2광도파로층(7), 그 위에 적층된 n-형 InP 클래드층(8), 그 위에 적층된 도핑하지 않은 InGaAs 옴 접촉층(9), 그 위에 도핑하지 않고 제 2광도파로층보다 1~10 더 넓은 창폭을 갖도록 적층된 InP 표면보호층(10)으로 구성된 웨이퍼 상에 제 2광도파로 층보다 1~10
Abstract:
본 발명은 광도파로 구조의 반도체 소자와 플랫-엔드(flat-end) 단일모드의 광섬유를 접속하는 반도체 소자의 테이퍼형(tapered) 광도파로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은 일반적인 광도파로 구조의 반도체 소자와 플랫-엔드(flat-end) 단일모드의 광섬유를 접속할 때에 단일모드 광섬유와 광도파로 소자 사이의 광모드 크기의 차이에 기인한 삽입손실을 줄이는 데에 있다. 그 방법은 테이퍼형 광도파로가 집적된 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광도파로층과 접속하기 위한 반도체 레이저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클래딩층과 접속하기 위한 반도체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에 반도체 기판 위에 스페이서층을 형성하고, 스페이서층 위에 절연박막을 형성하고, 절연박막 위에 습식에칭과 건식에칭을 수행하여 절연박막이 브리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트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와 절연박막으로 된 브리지를 갖는 기판을 이용하여 유기금속 기상증착법으로 광도파로층을 성장시키고, 트렌치의 밑바닥에 광도파로 방향을 따라 성장두께가 상이한 광도파로를 성장시킨다.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유기금속성장을 이용하여 테이퍼(taper) 구조의 출력단을 갖는 광결합효율이 향상된 광변조기 집적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광변조기 집적소자에 있어서, 선택적 MOVPE 결정성장과 조절식각을 이용하여 수직형 테이퍼 광모드 변환기를 InGaAsP 광흡수층의 양쪽 광섬유가 결합되는 부위에 집적화 한 데에 있고, 그 다른 특징은 상기 광모드 변환기를 광변조기가 집적된 분포궤환(DFB) 레이저에 동시에 집적화 한 데에 있으므로, 광모드 변환기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무반사 박막 제작 조건을 상당히 완화시켜 무반사 박막 공정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결국 광변조기 집적 DFB 레이저 소자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