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FBG센서 모듈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주름형 판형스프링과 상기 주름형 판형스프링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일측 면에 형성되는 슬릿 사이로 FBG센서가 형성된 광섬유 케이블을 지나가게 하고, 프리스트레인을 주어 텐션이 가해진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양측을 광섬유 고정 접착제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형성되는 슬릿에 고정함으로써, 인장과 압축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FBG센서 모듈 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축 FBG센서 모듈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상기 FBG센서 모듈과 동일한 두 개의 센서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2축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는 2축 FBG센서 모듈 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FBG센서 모듈 을 제작하는 FBG센서 모듈 제작 장치와 상 기 FBG센서 모듈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DWT를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 감지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손상시 발생하는 음향 방출 신호의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 변환된 고주파 추출성분의 포락(envelop)의 수치 적분값을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 내부의 손상에 따른 음향방출 신호를 웨이블릿을 이용하여 구조물 내부에 발생된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로터블레이드 에어포일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로터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을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함으로서 풍력발전기의 운전 조건에 적합하면서도 표면 오염에도 성능 감쇄가 최소화되는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로터블레이드 에어포일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로터블레이드(3) 에어포일(6)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일(6) 설계 방법은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고, 새로운 에어포일(6) 형상을 생성하는 제1단계(S2); 목적함수를 계산하는 제2단계(S5);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제3단계(S6); 유전 알고리즘으로 최적화된 에어포일(6)의 후보 형상군을 도출하는 제4단계(S7); 및 상기 후보 형상군으로부터 최적 형상을 선정하는 제5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풍력발전기의 로터블레이드 에어포일 설계 방법를 제공한다. 풍력발전기, 로터블레이드, 익형, 에어포일, 최적화, 유전 알고리즘
Abstract:
본 고안은 풍력발전기에 장착되는 풍속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정확한 풍속을 얻을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발전 제어가 가능하며,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풍속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로터블레이드(200)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풍속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속 측장 장치의 측정용 프루브(410)는 상기 로터블레이드(200)의 허브 선단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풍력발전기의 풍속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풍력발전기, 풍속계, 허브, 장착, 측정
Abstract:
본 발명은 저풍속 실속제어/정속운전용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에어포일 형상, 블레이드의 비틀림각 및 시위선의 길이를 최적화하여 저풍속에서 효율이 향상되는 저풍속 실속제어/정속운전용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풍속 실속제어/정속운전용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에어포일은 앞전(Leading Edge)과 뒷전(Trailing Edge)을 잇는 시위선(Chord)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볼록한 윗면 및 아랫면을 가지며, 상기 아랫면의 중앙부에서 뒷전까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오목한 S테일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가장 긴 시위선을 갖는 루트에어포일;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을 형성하는 팁에어포일; 및 상기 루트에어포일과 팁에어포일 사이의 주에어포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에어포일의 형상, 비틀림각의 분포 및 시위선의 길이 분포를 따르는 블레이드로 인하여 국내 풍황에 적합한 풍속 3~5m/s의 저풍속 영역에서 0.4 이상의 효율을 가지며, 더불어 전체 풍속영역에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에어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