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soybean extract and blueberry extract is provided to have nutrition to hair follicle and to strengthen hair follicle. CONSTITUTION: A 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black soybean extract and bluebe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black pearl extract or royal jell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volume ratio of the black soybean extract and blueberry extract is 5:5-9:1. The composition is used in the form of hair tonic, hair essence, hair serum, scalp treatment, hair treatment, hair conditioner, hair shampoo, or hair lotion.
Abstract:
PURPOSE: A kit for diagnosing hyperpigmentation is provided to sensitively and quickly predict pigmentation using a marker gene for pigmentation. CONSTITUTION: A kit for diagnosing hyperpigmentation contains a gene selected from gene. The gene expression is enhanced by UV irradiation. A marker for diagnosing hyperpigmentation contains a protein selected from proteins of table 1. The protein expression is also enhanced by UV irradiation. A diagnosis kit contains a polynucleotide having 10 polynucleotides or conplementary polynucleotide thereof, and a solid phase support coupled on the surface. A method for screening a hyperpigmentation inhibitor comprises: a step of treating a test material to the protein and a step of confirming promotion or suppression of protein acti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톡시페닐이소크로메논(3-(4-methoxy-phenyl)-isochromen-1-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말라스 나무(Homalium longifolium)에서 추출한 메톡시페닐이소크로메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세포 표면 단백질인 씨-킷트(c-kit)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노사이트 내 세포의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Abstract:
본 발명은 검버섯 발생 진단 키트 및 검버섯 발생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검버섯 발생에 따라 발현 패턴이 변화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여 검버섯 발생을 진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자 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혼성화하는 프로브로서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유전자 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프라이머 쌍;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코딩되는 폴리펩티드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검버섯 발생 진단 키트 및 그를 이용하는 검버섯 발생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버섯 발생에 따라 피부세포에서 정상치 이상으로 발현이 증가되는 64종의 유전자 및 발현이 감소되는 118종의 유전자를 검버섯 발생 마커 유전자로 하여 피부에서의 검버섯 발생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 검버섯, 피부, 키트, 유전자 발현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D-fructose 1,6-diphosphate)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세포를 이용한 실험 결과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가 자외선에 의한 글루타치온 생성감소를 억제하였고, 멜라닌 색소의 합성양을 감소시켰으며 동시에 자외선에 의한 세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증가를 방지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물시험을 수행한 결과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인체시험에서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줄이고, 자외선이나 염증에 의한 색소 침착을 차단할 수 있다.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 미백제,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바륨염, 마그네슘염, 트리사이클로 헥실아민염
Abstract:
A composition comprising methylhalfordynol is provided to show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signal transduction of cells in melanocyte through inhibition of a c-kit protein of the melanocyte.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es 0.0001-10 wt.% of methylhalfordynol represented by a formula(1) as an effective ingredient, wherein the methylhalfordynol is extracted from Aegle marmelos and inhibits the activity of a c-kit protein.
Abstract:
본 발명은 벤즈이미다졸 아민 유도체 및 아미노퀴놀린 유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씨-킷트(c-kit) 단백질 저해용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벤즈이미다졸 아민 유도체는 1-(4-메톡시페닐)-N-(1-나프탈레닐메틸)-1H-벤즈이미다졸-5-아민이고, 상기 아미노퀴놀린 유도체는 2-아미노-3-(3,4-디메톡시페닐)-퀴놀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아미노퀴놀린 유도체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세포 표면 단백질인 씨-킷트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이 있으며, 이에 의해 씨-킷트 단백질이 관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 세포의 신호 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기능을 조절하고, 궁극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함유하는 씨-킷트 단백질 저해용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아민, 아미노퀴놀린, 씨-킷트, 미백, 멜라노사이트, 멜라민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닐 이미다졸 술폰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하기 화학식 1의 페닐 이미다졸 술폰아미드 유도체는 c-kit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의 색소침착을 개선시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밍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아닌(theanine)과 카페인(caffeine),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카르니틴(L-carni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데아닌과 카페인, 제니스테인 및 카르니틴을 단독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함유하여 우수한 지방 분해효과 및 셀룰라이트의 제거 효과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