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module integrated safety helmet device for guiding field work based on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o acquire an image through a camera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synthesizing the acquired image with virtual content, thereby improving understandability of a worker about environments and enhancing work efficiency. CONSTITUTION: A module integrated safety helmet device(1) comprises a camera(11), a sensor(12), a wearable display(13), a sound output unit(14), a voice input unit(15), a processor(16), and a command input unit(17). The camera acquires an image of the real environment that a worker sees, and the sensor senses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given work field. The processor analyzes the image and generates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synthesizing virtual content with the analyzed image. The wearable display provid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generated by the processor to the worker.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모바일 정보기기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품의 기획 및 디자인에서 생성된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제품으로 구동하고, 이를 실사 수준으로 가시화시키는 가상현실 기술, 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적 평가 현상을 공학적인 측면에서 체계화 시키는 감성공학 기술, 제품의 조작에 대한 신체적인 역학적 활동을 생체역학적인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인간공학 기술,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유형(tangible) 인터페이스와 실사 가시화가 동시에 지원되는 혼합현실 기술을 통합시킴으로써, 사용성에 대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제품 디자인 수정 등의 개선안을 얻을 수 있고, 제품의 전반적인 품질 향상 및 회사의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가상현실, 혼합현실, 증강현실, 사용성 평가, 가상 제품 동작 시뮬레이션, 실사 가시화, 부품 기반 자동 조립, 디자인 변경, 감성공학, 핸드 모델, 인체역학, 핸드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3차원 쾌속 조형, 제품-수명-주기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 체험이 가능한 특정지역에서의 체험을 현장감 있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지역내의 특정지역 정보를 서비스하는 체험 서버와;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부착되어 이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며, 자세를 추적할 수 있는 탈부착용 위치/자세 장치와; 상기 특정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탈부착용 위치/자세 장치로부터 이용자의 위치/자세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하는 특정지역 정보를 서비스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포함하는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 트래킹, 휴대용 정보단말기, 영상
Abstract:
A mixing reality system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verify efficiency of a process with only provided intrinsic data of equipment/parts and on-the-spot data, when the new process is introduced to a working field. Camera provides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in an arbitrary work environment. A sensing unit provides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camera. A process simulation unit(100) manages simulation of parts/facility/processing data of the arbitrary work environment within a processing information DB(400). A process arrangement unit(200) handles simulation information and an arrangement condition between data. A mixing reality visualizing unit(300) input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to determine a location of the process arrangement unit. A display-based input/output unit(14) displays mixing reality output information of the visualizing unit to the outside.
Abstract:
A hand base interaction system for supporting an interacting method to catch of the high reality is provided to provide direct interaction by simulating holding operation by using haptic equipment in order to catch the high reality. If the collision between an object and a virtual hand model generates, a conflict processor(152) produces the collision object information. A dynamic mechanics processing unit(154) provides the exercise information of the virtual hand model according to the crash occurrence and object based on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The hand joint information based on a physics based operation visualization unit(156) generates the change of the virtual hand model according to the update. A rendering unit controls the rotation repelling power of the hand by providing hand joint information to a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 모바일 장치의 3차원 데이터 모델이 저장된 캐드(CAD) 모델 저장부와, CAD 모델 저장부에서 가상 모바일 장치의 데이터 파일과 부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데이터 파일 및 부품을 가져오는 부품 DB 선택부와, 선택된 가상 모바일 장치 데이터에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는 디자인요소 설정부와, 설정된 가상 모바일 장치를 3차원 모델로 가시화하는 3D 모델 가시화부와, 가시화된 모델의 동작 및 기능을 시뮬레이션 하는 제품 동작 제어부와, 가시화 및 시뮬레이션된 가상 제품의 디자인 선호도 결과를 제공하는 디자인 선호도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환경에서 사용자가 색상, 재질, 모양 등의 디자인 요소를 빠르고 용이하게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고품질의 3차원 모델로 투영하고, 이 모델의 동작을 자연스러운 사용자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감성공학 기반 디자인 선호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평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상현실, 디자인 평가, 모바일 장치, 가시화
Abstract:
A geometric correc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image distortion of a curved image, an image distortion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control the correction of the curved image distortion by photographing an image projected on a semispherical screen through a high-resolution camera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mispherical screen and correcting a coordinate of a unit image to prevent an overlap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unit images. A high-resolution camera(300) photographs unit images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projectors(401-404) to a semispherical screen(400). A pan and tilt controller(301) controls the high-resolution camera to photograph the unit images successively. A geometric correction S/W mounting computer(302) includes an image distortion control S/W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image distortion degree between the unit images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the projectors to the semispherical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현실 환경을 위한 얼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으로, 사용자 주변의 실사 영상과 인공적으로 생성된 단수 또는 복수의 주변 입체 영상이 외부의 빛의 광량에 대한 투과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광투과량 조절부를 통해 입사되어 합성된 다중 외부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영상 처리부, 사용자의 위치, 눈의 위치, 시선의 방향 및 초점거리 등 상기 사용자의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사용자 정보 추출부, 추출된 사용자의 시각 정보에 따라 입체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추출된 사용자의 시각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외부 영상 신호 및 상기 입체 영상 신호를 동기화하여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 합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인공 영상과 외부 자연 영상이 합성되어 제시되는 혼합현실 환경에서, 얼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영상 정보와 개인용 영상 정보의 자연스러운 합성을 가능하게 하여, 개별적으로 제시되는 입체 영상 기술을 활용한 혼합현실 환경에서 발생되는 깊이감의 부자연스러움이나 실사 및 가상 개체들 사이의 부자연스러운 상호작용 관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입체 영상, 다중 영상 혼합, 시간 인터페이스, 휴대형 시각장치, FMD
Abstract:
뇌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반영하여 집중력 향상 및 유지에 관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훈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유지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집중력 향상 및 유지 방법은 (a) 뇌파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뇌파 신호중 알파 밴드의 신호와 베타 밴드의 신호의 파워값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계산된 파워값을 바탕으로 집중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계산된 집중도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스스로 지속적인 집중 상태를 유지토록 도와주므로 사용자의 업무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일 이벤트에 대한 뇌파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뇌파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를 뇌파(EEG)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동일 이벤트에 대한 뇌파 데이터를 정렬하여 동기화(같은 클래스끼리의 동기화 작업)함으로써, 패턴 분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뇌파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뇌파 데이터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동일 이벤트에 대해 발생된 적어도 두 개의 뇌파신호를 분석대상의 특징정보값으로 각각 변환하여, 변환된 특징정보값들을 정렬코드값들로 각각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정렬코드값들을 각각 정렬하기 위한 정렬수단; 및 상기 정렬수단을 통해 얻은 각각의 코드에 대한 정렬정보(코드정렬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특징정보값을 정렬하여, 동일 이벤트에 대해 발생된 뇌파 데이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뇌파를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고 인식하는 시스템 등에 이용됨. 뇌파, 패턴 분류, 동일 이벤트, 특징 추출, 동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