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4.
    发明公开
    골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审中-实审
    用于分析高尔夫运动的装置和方法

    公开(公告)号:KR1020160121379A

    公开(公告)日:2016-10-19

    申请号:KR1020160006966

    申请日:2016-01-20

    Abstract: 효율적으로고속촬영을구현하였으며, 스켈레톤정보추출로동작을세밀하게분석함으로써사용자에게보다정확하고다양한정보를제공할수 있는골프동작분석기술이개시된다. 이를위해,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골프동작분석방법은카메라부의영상센서에서사용자의동작에대한 2차원영상을획득하는단계; 2차원영상을획득하는것과시간적으로교대로카메라부의깊이센서에서 2차원영상의각 픽셀에대한깊이값을포함하는뎁스영상을획득하는단계; 소정시각에획득한기준 2차원영상혹은기준뎁스영상에대응하는대응뎁스영상혹은대응 2차원영상을생성하는촬영속도증가단계; 기준 2차원영상및 대응뎁스영상혹은기준뎁스영상및 대응 2차원영상을동작분석을위한출력데이터로출력하는단계; 출력데이터에대한분석을통해사용자의스켈레톤정보를추출하는단계; 및스켈레톤정보에기반하여사용자의동작을표시부에표시하는단계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5.
    发明公开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审中-实审
    用于输入文字和设备的方法

    公开(公告)号:KR1020140115060A

    公开(公告)日:2014-09-30

    申请号:KR1020130029656

    申请日:2013-03-20

    Abstract: A text input method and a text input device are disclosed. The text input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deciding a representative consonant of a consonant group and a representative vowel of a vowel group by group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llocating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and vowel by a predetermined order into independent keys and displaying the keys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the key of at least one family consonant which belongs to the same group in which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corresponding to selected keys belong to among the keys of representative consonan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touch screen. Therefore, the user easily inputs Korean characters without learning or training about the positions of the keys.

    Abstract translation: 公开了文本输入方法和文本输入装置。 文本输入装置包括以下步骤:通过分组韩语辅音和元音来确定辅音组的代表辅音和元音组的代表元音; 通过预定顺序将代表辅音和元音分配成独立的键并在键盘上显示键; 并且在触摸屏上的预定区域上显示属于与所选择的键对应的代表辅音的同一组的至少一个家庭辅音的键属于显示在触摸屏上的代表性辅音的键中的键。 因此,用户可以轻松地输入韩文字符,而无需学习或训练关键字的位置。

    터치스크린 기반 문자 입력 방법
    6.
    发明公开
    터치스크린 기반 문자 입력 방법 无效
    基于触摸输入文本的方法

    公开(公告)号:KR1020130017272A

    公开(公告)日:2013-02-20

    申请号:KR1020110079611

    申请日:2011-08-10

    Inventor: 정혁

    Abstract: PURPOSE: A touch screen-based character input device is provided to quickly input Korean and minimize a motion of a finger by fixing three columns of a keyboard arrangement, arranging function keys on the bottom of the keyboard arrangement, and arranging a character converting key on a second column of the keyboard arrangement. CONSTITUTION: A keyboard arrangement is composed of 4 columns x N rows and Korean consonants are arranged from the leftmost row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lumns of the keyboard arrangement to a specific row. Korean vowels are arranged from the specific row or next to a specific row to an N row. A function key is arranged in a fourth column of the keyboard arrangement. A character converting key is arranged in a keyboard among keys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Abstract translation: 目的:提供基于触摸屏的字符输入装置,以快速输入韩文,并通过固定键盘装置的三列来最小化手指的运动,在键盘布置的底部布置功能键,并将字符转换键放在 键盘排列的第二列。 构成:键盘装置由4列×N行构成,韩式辅音从键盘装置的第一,第二和第三列的最左行排列到特定行。 韩语元音从特定行或特定行旁边排列到N行。 功能键配置在键盘装置的第四列中。 在第二列中排列的键之间的键盘中设置字符转换键。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장치
    7.
    发明公开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장치 无效
    搜索多媒体内容的方法及其设备

    公开(公告)号:KR1020120064582A

    公开(公告)日:2012-06-19

    申请号:KR1020100125866

    申请日:2010-12-09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F17/30787

    Abstract: PURPOSE: A multimedia content searching method is provided to search video/audio comprising sample in rear time from large sized video/audio database and from video/audio sample. CONSTITUTION: A multimedia content searching method comprises: a step(S110) of pre-treating audio signals in indexing target multimedia contents by a multimedia contents search device; a step(S120) of extracting mute section of the pretreated audio signals; a step(S130) of extracting the audio characterization; a step(S140) of saving at least two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the multimedia cont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extracted audio, and the end-point of the mute section; a step(S150) of searching concerned contents.

    Abstract translation: 目的:提供多媒体内容搜索方法,从大尺寸视频/音频数据库和视频/音频样本搜索包括后面样本的视频/音频。 构成:多媒体内容搜索方法包括:通过多媒体内容搜索装置对索引目标多媒体内容中的音频信号进行预处理的步骤(S110); 提取预处理音频信号的静音部分的步骤(S120); 提取音频表征的步骤(S130); 保存关于多媒体内容的信息,所提取的音频的特征和静音部分的终点中的至少两个以上的步骤(S140); 搜索有关内容的步骤(S150)。

    이물기를 이용한 이동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8.
    发明公开
    이물기를 이용한 이동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有权
    用于控制使用异物的移动装置的设备和方法

    公开(公告)号:KR1020070045747A

    公开(公告)日:2007-05-02

    申请号:KR1020050102368

    申请日:2005-10-28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F4/00 A61B5/04888 A61B5/6814 A61G5/04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기를 이용한 이동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강내 치아를 깨무는 이물기 동작시 활성화되는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양측 근전도센서에서 감지하고, 이동기기 이전의 동작을 기준연산값으로 하여 상기 감지된 근전도 신호에 대해 이물기 위치, 이물기 지속시간, 이물기 연속동작을 포함한 이물기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기기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제어 명령 생성부에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어에 대해 제어 명령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이동기기 구동부에서 이동기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한된 개수의 이물기 패턴으로부터 이전 단계에서의 인식 패턴 및 이전 단계에서의 휠체어의 이동 명령어를 활용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지마비 장애인, 인터페이스, 전동 휠체어, 이동기기, 근전도, 관자근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一种使用异物的移动设备控制装置和方法,所述口腔牙齿的咬入检测的EMG信号从在两侧EMG传感器干燥操作期间被激活的肌肉,并且基于所计算的值的移动设备的先前的操作 对由检测得到的EMG信号,并咬的持续时间咬合位置时,所述水生成用于响应于该操作,包括从所述控制指令生成部的连续操作的咬合所述移动设备控制的命令,以及用于将所生成的命令的控制 通过控制在移动装置驱动在命令接口单元的移动装置的驱动器将输入电压,通过利用识别模式的轮椅移动指令,和从有限数目的自然轮椅的比的干燥图案前面的步骤之前的步骤 可以控制。

    마우스 포인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9.
    发明授权
    마우스 포인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有权
    用于控制鼠标指针的装置及其方法

    公开(公告)号:KR100628302B1

    公开(公告)日:2006-09-27

    申请号:KR1020040063095

    申请日:2004-08-11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F3/0338 G06F2203/0331

    Abstract: 마우스 포인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각각에 대응하여 화면상의 일정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명령을 생성하며,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면 포인터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생성한다. 이로써, 두 개의 스위치만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생체신호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10.
    发明授权
    생체신호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有权
    用于使用人体特征控制电子仪器的装置及其方法

    公开(公告)号:KR100554173B1

    公开(公告)日:2006-02-22

    申请号:KR1020030088408

    申请日:2003-12-06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좌측 치아를 깨물때 발생하는 제1근전도신호를 감지하는 제1내지 제2근전도센서와 상기 제1내지 제2근전도센서의 출력신호차를 증폭하는 제1증폭부, 우측치아를 깨물때 발생하는 제2근전도신호를 감지하는 제3내지 제4근전도센서와 상기 제3내지 제4근전도센서의 출력신호차를 증폭하는 제2증폭부, 그리고 상기 제1내지 제2증폭부의 기준전극을 포함하는 센서부;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1내지 제2근전도신호를 조합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탈부착이 쉽게 고안된 헤드밴드형 근전도감지부를 착용하여 좌우 깨무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정보기기로의 입력이 가능토록 한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기존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대체함으로써, 사지마비 환자와 같은 목 이하의 신체에 장애가 있어서 정보기기 또는 이동기기의 활용이 어려웠던 장애자들의 정보기기 활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의 경우에도 이동형 컴퓨터 환경에서 정보기기의 활용에 도움을 제공 할 수 있다.

Patent Agency Ranking